본문 바로가기

식용 버섯339

뽕나무버섯부치 Armillaria tabescens 북한 이름은 '나도개암버섯'이다. 뽕나무버섯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턱받이 고리가 없는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여름~가을에 참나무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 살아 있는 나무의 밑동 등에 뭉쳐서 자란다. 동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지만 설사를 유발하는 등 소화가 잘 안 되므로 과식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약 재료로 약용하며, 항암식품으로도 이용한다. 외생균근 형성균으로 천마와 공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천마를 인공 재배하기도 한다.    2024. 08. 08.  합천 오도산        ● 뽕나무버섯부치 Armillaria tabescens | ringless honey mushroom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10cm로 처음에 반구가 반으로 잘린 .. 2024. 8. 23.
'흰그물쓴맛그물버섯'='흰망유사남방그물버섯' Pseudoaustroboletus valens 휴양림에서 자고 난 아침 숲길 산책을 나섰다 만난 첫번째 버섯은 흔하지 않은 '흰망유사남방그물버섯'이다. 자루의 흰 그물 무늬가 특징인 버섯으로 회색망그물버섯과 그물 색깔이 좀 다를 뿐 아주 유사하다.  국명 없는 쓴맛그물버섯속으로 Tylopilus valens라는 학명을 쓰다 2014년 속명이 Pseudoaustroboletus로 바뀌었고, '한국야생버섯도감'에서는 '흰망유사남방그물버섯'이라는 신칭을,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는 '흰그물쓴맛그물버섯'이라는 임시명을 쓰고 있다. 그냥 '흰그물버섯'이라는 이름을 쓰면 좋을 텐데 속명을 붙여 쓰는 원칙 때문에 둘 다 이름에 '그물'이 두번씩이나 들어가는 번거롭고 이상한 이름이 되었다.  말레이반도,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특산의 그물버섯으.. 2024. 8. 23.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꾀꼬리버섯과 비슷한 모양으로 갓 윗면을 비롯하여 주름살과 자루는 붉은빛이 도는 주황색인 점에서 구별된다. 턱수염버섯과에서 꾀꼬리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혼효림에서 무리지어 난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좋은 식용 버섯이다.    2024. 08. 07.  합천 오도산        ●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 red chanterelle  ↘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갓 지름은 2.0-4.0cm로, 편평형에서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색에서 등담홍색을 띠며, 평활하고,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자실층은 내린형이며, 담홍색의 맥상 주름살이 나타난다. 대의 크기는 2.0-5.0×0.5-1.0cm이며, 원통형.. 2024. 8. 22.
흰둘레그물버섯 Gyroporus castaneus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늘어선 휴양림 샛길을 따라 걷다가 굵은모래 절개지에 홀로 난 흰둘레그물버섯을 만난다. 서울에서도 이 버섯들은 특이하게 이런 마사토 절개지에서 종종 발견된다. 버섯이 작고 약해서 만지는 과정에서 자루가 부러져 버린다.  갓과 자루 표면은 벨벳 모양이며 밤색-계피색이고 관공은 흰색-연한 노란색이다. 갓과 자루 색이 밤색이라 북한 이름은 '밤색그물버섯'이고 영명도 'chestnut bolete'(밤그물버섯)이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하며 여름~가을 잣나무, 활엽수, 혼효림의 땅에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8. 07.  합천 오도산      ● 흰둘레그물버섯 Gyroporus castaneus | chestnut bolete  ↘  그물버섯목 둘레그물버섯과 둘레.. 2024. 8. 22.
진갈색멋그물버섯(황금씨그물버섯) Xanthoconium affine 갓은 균열에 의해 흰살이 노출되기도 하는데, 이 버섯 갓은 벌레 먹어 노출된 점박이 무늬로 보인다. 영명 'spotted bolete'에 잘 어울리는 모습이다. 자루에 대하여 홈 파진 관공은 작고, 유백색-옅은 오렌지색에서 황갈색이 되며 상처 시 진한 색이 된다. 자루는 그물무늬가 아닌 세로줄 무늬가 있는 황갈색이다.  여름~가을 낙엽활엽수림, 특히 자작나무 숲의 땅에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일본, 대만, 호주 동부,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황금씨그물버섯'으로 널리 불려온 식용 버섯이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진갈색멋그물버섯 Xanthoconium affine | spotted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멋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5~10cm, 처음.. 2024. 8. 18.
애기젖버섯 Lactarius gerardii 짙은 갈색의 갓과 자루, 알맞게 성기고 가지런한 흰 주름살의 대비가 선명하고 해서 깔끔한 이미지를 주는 버섯이다. 하얀 유액도 풍부하게 분출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비로드상이며 흑갈색~암황갈색을 띠고 살은 흰색이고 변색성이 없다. 주름살은 흰색으로 흔히 날 부분은 암갈색을 띠고 폭이 넓고 성기며 대에 끝붙은형에서 점차 내리붙은형이 된다. 대 속이 비어 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 여기저기 흩어져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참나무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우리나라, 일본, 북미, 동남아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4. 07. 29.  서울       2024. 09. 16.  남한산성     ● 애기젖버섯 Lactarius gerardii | Gerard's milky  ↘  .. 2024. 8. 15.
당귀젖버섯 Lactarius subzonarius 왜당귀향이 난다는 젖버섯으로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연한 살색이나 연한 적갈색이며 계피 갈색의 테 무늬가 여러 개 둘려져 있다. 주름살은 아주 촘촘하며, 상처 시 유액은 연한 흰색을 띠는 물처럼 나온다. 부드러워 부서지기 쉬운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나며 활엽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7. 28.  서울      2024. 08. 15.  서울       ● 당귀젖버섯 Lactarius subzonari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갓은 2.5~4cm의 중·소형으로 반구형이나 차차 오목 편평형이 되며, 습할 때 표면에 점성이 있다. 연한 살색~연한 적갈색을 띠며 계피 갈색의.. 2024. 8. 14.
털귀신그물버섯 Strobilomyces confusus 귀신그물버섯(S. strobilaceus)에 비해 갓이 더 작고 비늘조각이 서 있는 점이 구별되는 특징이다. 귀신그물버섯의 비늘조각은 털이 많고 부드럽다. 갓 윗면은 회흑색 바탕에 가시 모양의 흑색 섬유질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회백색~흑색이다. 우리에겐 귀신 버섯이지만 서구인에게는 '숲속의 노인'이었던 듯 영명은 'Old Man of the Woods'이다.  이 버섯은 리기다소나무가 많은 곳에서 발생하였는데,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과 소나무 등 침엽수 등이 섞인 숲속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7. 28.  서울       ● 털귀신광대버섯 Strobilomyces confusus | old man of the woods  ↘  그물버섯.. 2024. 8. 14.
붉은그물버섯(황갈색해그물버섯, 붉은정원그물버섯) Hortiboletus rubellus(Boletus fraternus) 자루에 붉은색의 줄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는 점이 특이하지만 붉은그물버섯으로 보인다. 2015년 그물버섯속에서. 국립수목원에서는 '황갈색해그물버섯', 조덕현은 '붉은정원그물버섯' 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국명 미정의 동속 Hortiboletus amygdalinus, 분홍그물버섯(Boletus bicolor) 등이 아주 유사하다.  초여름~가을 활엽수림, 산지 주변, 풀밭 등의 땅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향이 좋은 식용 버섯이나 살짝 비누 맛이 있다고 한다.     2024. 07. 28.  서울       ● 황갈색해그물버섯 Hortiboletus rubellus | ruby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해그물버섯속.. 2024. 8. 14.
털귀신그물버섯 Strobilomyces confusus 귀신그물버섯(S. strobilaceus)에 비해 갓이 더 작고 비늘조각이 서 있는 점이 구별되는 특징이다. 귀신그물버섯의 비늘조각은 털이 많고 부드럽다. 갓 윗면은 회흑색 바탕에 가시 모양의 흑색 섬유질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회백색~흑색이다. 우리에겐 귀신 버섯이지만 서구인에게는 '숲속의 노인'이었던 듯 영명은 'Old Man of the Woods'이다.  이 버섯은 리기다소나무가 많은 곳에서 발생하였는데,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과 소나무 등 침엽수 등이 섞인 숲속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7. 25.  여주 영릉       ● 털귀신광대버섯 Strobilomyces confusus | old man of the woods  ↘  그.. 2024. 8. 12.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영릉 산책로를 걷다 붉은꾀꼬리버섯을 처음으로 만난다. 꾀꼬리버섯과 비슷한 모양으로 갓 윗면을 비롯하여 주름살과 자루는 붉은빛이 도는 주황색인 점에서 구별된다. 턱수염버섯과에서 꾀꼬리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혼효림에서 무리지어 난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좋은 식용 버섯이다.    2024. 07. 25.  여주 영릉        ●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 red chanterelle  ↘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갓 지름은 2.0-4.0cm로, 편평형에서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색에서 등담홍색을 띠며, 평활하고,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자실층은 내린형이며, 담홍색의 맥상 주름살이 나타난다. 대의.. 2024. 8. 12.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Russula adusta) 세종대왕릉 바로 옆 잔디밭에 발생한 절구무당버섯이다. 살은 단단하고 주름살은 두꺼우며 성긴 편이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겉모습은 아주 유사해서 구별이 어렵지만 자루나 주름살에 상처를 내면 빠른 시간에 붉은색으로 변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차차 검게 변한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시 변화가 거의 없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 붉어지나 검게 변하지 않는다. 애기무당버섯은 변색 과정이 유사하나 주름살이 매우 촘촘한 점이 다르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성긴주름버섯' 또는 '성긴주름검은갓버섯'이라고 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숲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이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맛은 맵다.     2024. 07. 25.  여주 영릉     2024. 07.. 2024. 8. 11.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갓도 자루도 관공도 살도 모두 노란색~오렌지 갈색인 그물버섯이다. 갓 표면은 노란색에서 갈색빛이 강한 편이고 노란색 살은 공기에 노출되면 색이 더 진해진다. 촘촘한 황색 관공과 자루 위쪽으로 그물무늬가 있는 점 등도 특징이다. 자루 밑부분에는 흰색~황백색 균사가 있고 이를 반영한 듯한 종명 auripes는 '황금발'이란 뜻이며, 영명은 butter-foot bolete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북동부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7. 17-29.  서울             ●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 butter-foot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균.. 2024. 7. 31.
황소둘레그물버섯(노랑둘레그물버섯) Gyroporus balloui 갓과 자루 등 전체적으로 황갈색으로 비교적 큰 버섯이다. 관공은 흰색이나 상처가 나면 갈색으로 변하고 자루 위쪽에는 그물무늬가 있다. '황소쓴맛그물버섯(Tylopilus ballouii)'이라 불려오던 버섯으로 쓴맛그물버섯속에서 둘레그물버섯속으로 바뀌었다. 조덕현은 '노랑둘레그물버섯'이란 국명을 쓰고 있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 등 활엽수림이나 소나무 등 침엽수림 안의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일본, 북중미, 동남아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중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쓴맛이 있으나 열을 가하면 사라지며, 구이나 볶음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2024. 07. 17.  서울       2024. 08. 14.  서울     ● 황소둘레그물버섯 Gyroporus balloui.. 2024. 7. 31.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전체가 순백색의 반투명한 젤리 모양이며 기부에서 겹꽃 모양 또는 닭볏 모양을 하고 있다. 자실층은 투명한 우무질의 두꺼운 층 속에 파묻혀 있다. '은이(銀栮)'라고도 한다.  여름과 가을에 각종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나뭇가지에서 자란다. 열대, 아열대성 균류로 전 세계 남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일본·중국·북미 동부 등 온대지역에까지 분포한다. 상업적으로 재배하기도 하며 중국 요리에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식용 및 약용 버섯이다.     2024. 07. 17.  서울       ●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 snow fungus, snow ear, white jelly mushroom  ↘  흰목이강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 자실체는 순백색, 지름 3~8cm, 높이 2~5cm,..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