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버섯339 뽕나무버섯 Armillariella mellea 산길 주변에는 뽕나무 버섯이 자주 눈에 띈다. 나무가 아닌 땅에서 자라는 뽕나무버섯을 천마뽕나무버섯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한 이름은 '개암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와 침엽수의 그루터기, 풀밭 등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버섯이다. 2012. 09. 22. 과산 산막이옛길 ● 뽕나무버섯 Armillariella melle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버섯갓은 지름 4~15㎝로 처음에 반구 모양이다가 나중에는 거의 편평하게 펴지지만 가운데가 조금 파인다. 갓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이고 가운데에 어두운 색의 작은 비늘조각이 덮고 있으며 가장자리에 방사상 줄무늬가 보인다. 살은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조금 쓴맛이 난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 2012. 10. 27. 붉은점박이광대버섯 Amanita rubescens 마귀광대버섯과 비슷한 모습이나, 갓과 자루가 적갈색을 띠고 갓 변두리에 주름살이 전혀 보이지 않는 점으로 쉽게 구별된다. 여름~가을에 침엽수 또는 활엽수림의 땅 위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지만 생식하면 중독된다. 2012. 09. 02. 괴산 ● 붉은점박이광대버섯 Amanita rubescens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6-18cm로 둥근 산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하게 되며 가장자리가 위로 올라간다. 표면은 적갈색에서 회백색 또는 연한 갈색으로 되고, 가루 모양인 외피막의 파편이 붙는다. 살은 백색인데 상처를 입으면 적갈색으로 변색한다. 주름살은 끝붙은 주름살로 백색이나 적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자루의 길이는 8-24cm이고 굵기는 0.6-2... 2012. 10. 17. 노란턱돌버섯 Descolea flavoannulata 한라산에서 만난 노란 버섯, 노란턱돌버섯으로 추정해 본다. 노란턱돌버섯은 주름버섯목 소똥버섯과 돌버섯속의 버섯으로 턱받이가 황색의 막질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가을 숲속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나며 다른 식물과 공생 한다. 식용할 수 있는 버섯이다. 한라산 ● 노란턱돌버섯 Descolea flavoannulata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돌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8cm이고, 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한 모양으로 되는데 가운데는 볼록하다. 표면은 끈적거리지 않고 방사상의 주름이 있으며 황토색 또는 검은 황갈색이다. 황색 솜털 모양의 외피막 파편이 흩어져 있다. 살은 백색 또는 연한 황갈색이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로 나중에 자루에서 떨어지며 황갈색 또는 검은 계피색이고 성기다. 가장자리에는 황색 .. 2011. 10. 15. 황금무당버섯(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 Russula aurea 갓 표면은 황적색, 등황색 등이 섞이고 습하면 끈적끈적하며 표피는 주변부로부터 잘 벗겨진다. 자루는 처음에는 흰색, 나중에는 레몬색으로 된다. 북한 이름은 '감빛노란갓버섯'. 여름부터 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 발생하며 참나무에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 버섯이다. 2011. 07. 31. 합천 가회 ● 황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지름 4~8cm 정도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성장하면서 오목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황색 또는 연한 황색이나 습하면 점성이 나타난다. 조직은 백색이나 표피 밑은 황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형이며, 빽빽하고, 처음에는 백색이나 성장하면서 연한 황색이 되며, 주름살 끝은 황색이다. 대의 길이는 5~9cm .. 2011. 9. 3. 구근광대버섯 Amanita gymnopus 여름~가을에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의 땅에 발생하며, 향기가 아주 좋은 광대버섯속 식용 버섯이다. 2011. 07. 31. 합천 가회 ● 구근광대버섯 Amanita gymnopus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8~15cm로 어릴 때 큰 둥근 기부 위에 반구형의 작은 균모가 생긴다. 성숙하면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하게 펴지고 결국에는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진다. 표면은 끈적기가 없고 크림색에서 황토색으로 된다. 연한 황색-연한 갈색의 얇은 막질의 외피막 파편이 다수 부착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찌꺼기가 늘어진다. 살은 황백색이며 상처를 받으면 연한 적갈색으로 변하고 강한 냄새가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 주름살로 황토색이고 상처를 받으면 약간 적갈색으로 변한다. 약간 밀생하거나 성기고.. 2011. 9. 3. 대나무밭 하얀 면사포를 쓴 망태버섯=망태말뚝버섯 Phallus indusiatus 고향집 뒤안 대밭에서 흰 망태버섯을 만난다. 노란 망태를 두른 노랑망태버섯은 산속 잡목림에서 자라는 데 비하여, 순백의 면사포를 쓴 듯한 망태버섯은 주로 대나무 숲에서 자란다.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의 버섯으로 국생정 균류도감에서는 망태말뚝버섯을 표준명으로 정하고 있다. 처음에는 땅속에 지름 3∼5cm의 흰색 뱀알처럼 생긴 덩어리가 생기고 밑부분에 가지친 긴 균사다발이 뿌리같이 붙어 있으며 점차 위쪽 부분이 터지면서 버섯이 솟아나온다. 2010. 08. 11. 합천 가회 버섯대는 주머니에서 곧게 높이 10∼20cm, 굵기 2~3cm로 뻗어 나오고 순백색이다. 버섯대는 속이 비어 있고 수많은 다각형의 작은 방으로 되어 있다. 버섯갓은 주름 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고 강한 냄새가 나는 올리브색.. 2010. 10. 13. 끈적비단그물버섯(노른자비단그물버섯) Suilus americanus '노른자비단그물버섯'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끈적거리는 버섯의 질감이 끈적비단그물버섯이라는 이름이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 밑면의 그물눈이 비단그물버섯속에서는 가장 크다. 식용 버섯이다. 가을 잣나무 등 침엽수림 땅 위에 흩어져 난다. ↓ 광릉 봉선사 앞 연못가 ●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us americanus ↘ 주름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버섯갓은 지름이 2.5~10㎝이고 어릴 때는 원뿔 모양과 비슷하다가 자라면서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노란색이나 연한 회갈색으로 끈적끈적하고 갈색의 비늘조각이 붙어 있다. 갓의 아랫면에는 어릴 때 연한 노란색의 막질 피막이 있으나 피막이 찢어지면 갓 가장자리에 매달리기도 하고 때로는 줄기의 위쪽에 파편처럼 붙은 것도 있다. 살은 선명한 노란색이고 .. 2009. 10. 26. 황금무당버섯(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갓 표면은 황적색, 등황색 등이 섞이고 습하면 끈기가 있으며 표피는 주변부로부터 잘 벗겨진다. 자루는 주름 모양의 세로 선이 있으며, 흰색에서 레몬색으로 변한다. 북한명은 '감빛노란갓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전나무, 잣나무, 혼합림의 땅에 무리지어 자라거나 홀로 흩어져 난다. 참나무에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식용 버섯이다. ↓ 소금강 계곡 ● 황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지름 5~9cm로 처음에 만두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편평하게 펴지면서 가운데가 오목해진다. 표면은 혈적색 또는 황적색, 등황색 등이 섞이고, 습하면 끈적끈적하며 주변부에 알맹이모양으로 된 선이 있고 표피는 주변부로부터 잘 벗겨진다. 주름살은 약간 빽빽하고 끝붙은 형이며 처음에는 흰색이나.. 2009. 9. 11. 큰갓버섯 Macrolepiota procera '갓버섯'이라고도 한다. 식용할 수 있고 제주도에서는 '초이버섯'이라고 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숲 속, 대나무밭, 풀밭의 땅에서 한 개씩 자란다. 한국 등 전세계에 분포한다. ↓ 하회마을 솔숲 ● 큰갓버섯 Macrolepiota procera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큰갓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8~20cm이고 처음에 달걀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조금 봉긋하다. 갓 표면은 연한 갈색 또는 연한 회색의 해면질이며 갈색 또는 회갈색의 표피가 터져서 비늘조각이 된다. 살은 흰색의 솜처럼 생겼으며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이고 흰색이다. 버섯대는 굵기 1.2~2cm, 길이 15~30cm이고 뿌리부근이 불룩하며 속이 비어 있다. 버섯대 표면은 회갈색의 비늘조각이 있어서 얼룩무늬가 생긴다. 홀씨(포자)는 1.. 2009. 9. 6. 이전 1 ···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