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 버섯339

거친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scabrum (추정) 갓 표면은 회백색~황갈색으로 살은 백색이나 공기에 닿으면 분홍색(자루 위쪽은 청색)이 된다. 관공은 회백색~회갈색으로 자루는 위쪽이 가늘고 회백색 바탕에 흑색의 세로로 늘어선 작은 인편으로 덮여 있다. 비슷한 비늘모래그물버섯(Leccinellum pseudoscabrum=Leccinum pseudoscabrum)은 갓 표면에 요철이 있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나며 식물과 공생생활을 한다. 자작나무와 균근성 연관성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2023. 09. 23. 지리산 ● 거친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scabrum | rough-stemmed bolete, scaber stalk, birch bolete ↘ 그물버.. 2023. 12. 5.
우산광대버섯 Amanita vaginata 백무동으로 내려오는 등산로 곁에서 만난 광대버섯속 버섯이다. 갓 색깔이 황색끼가 많아 황색줄광대버섯으로 의심되기도 했지만 갓 가장자리 주름살이 짧고 떨어진주름살이 뚜렷한 점으로 우산광대버섯으로 동정한다. 여름~가을 숲속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나 비슷한 모양의 버섯 중에 독버섯이 많아 위험성이 있어 식용으로 추천하지 않는다. 2023. 09. 23. 지리산 ● 우산광대버섯 Amanita vaginata | grisette, grisette amani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6cm로 종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는 끈적기가 있고 쥐회색, 회갈색 또는 회청색이며 중앙부의 색깔은 더 진하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의 .. 2023. 12. 5.
비늘버섯 Pholiota squarrosa 장터목에서 백무동으로 하산하는 등산로 옆 나무 밑동에 무리로 난 비늘버섯을 만난다.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갓 표면은 비늘로 덮여 있고 자루에도 비늘조각이 촘촘하고 위쪽에 양털 같은 턱받이가 있다. 늦봄~늦가을에 활엽수나 침엽수의 고사목 또는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하는 버섯이지만 사람에 따라 구토와 복통,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북한명은 '비늘갓버섯'이다. 2023. 09. 23. 지리산 장터목 하산길 ● 비늘버섯 Pholiota squarrosa | shaggy scalycap, shaggy Pholiota, scaly Pholio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1cm이며 종 모양 또는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형으로 되지만 .. 2023. 12. 4.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영어 이름도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3. 09. 23.  지리산    2023. 10. 21.  대전 계족산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 2023. 12. 4.
흰둘레그물버섯 Gyroporus castaneus 황소둘레그물버섯과 색감이 좀 비슷한 듯하다. 흰둘레그물버섯 갓과 자루 표면은 벨벳 모양이며 밤색-계피색이고 관공은 흰색-연한 노란색이다. 갓과 자루 색이 밤색이라 북한 이름은 '밤색그물버섯'이고 영명도 'chestnut bolete'(밤그물버섯)이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하며 여름~가을 잣나무, 활엽수, 혼효림의 땅에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22.  지리산 덕평봉      ● 흰둘레그물버섯 Gyroporus castaneus | chestnut bolete  ↘  그물버섯목 둘레그물버섯과 둘레그물버섯속균모는 육질로 지름이 2~6cm이며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고 중앙부가 편평하거나 약간 오목하게 된다. 표면은 비로드 모양이며 계피색-밤갈색, 가장자리는 색깔이.. 2023. 11. 27.
끈적끈끈이버섯(끈적민뿌리버섯) Oudemansiella mucida 서늘한 가을을 맞이하며 지리산 능선 나무 줄기에는 끈적끈끈이버섯이 흰 꽃처럼 환하게 피었다. 하얀 갓은 둥글거나 편평하며 중앙은 담갈색이다. 주름살은 완전붙은형으로 성글며 대는 원기둥 모양이며, 살은 아교질로 맛과 냄새가 좋다. '끈적뿌리버섯' '끈적긴뿌리버섯' '끈적민뿌리버섯' 북한 이름 '진득고리버섯' 등 이름이 다양하다. 뽕나무버섯과 긴뿌리버섯속의 버섯이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쓰러진 나무에 무리로 또는 뭉쳐서 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9. 22. 지리산 ● 끈적끈끈이버섯 Oudemansiella mucida | porcelain fungus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끈끈이버섯속 갓은 지름 2~8cm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차차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고 .. 2023. 11. 25.
노루궁뎅이 Hericium erinaceus 종주 능선길 아름드리 참나무 높은 줄기에 달린 노루궁뎅이를 몇 차례 만난다. 이름처럼 정말 노루궁뎅이를 닮은 버섯이다. 자실체는 공 또는 달걀형 공 모양으로 윗면에는 털이 있고 옆면과 아랫면에는 무수한 바늘모양의 돌기가 늘어져 있다. 이 바늘 모양의 돌기 표면에 자실층이 발달하고 공 모양의 포자가 생긴다. 만져 보니 수분을 흠뻑 머금고 있다. 여름~가을 살아 있는 졸참나무·떡갈나무 등 활엽수의 줄기, 또는 고사목 줄기에 한 개씩 자란다. 인공 재배 쓴맛으로 맛은 좋은 편이 아니지만 항암효과가 있고 치매를 억제하며 당뇨병 개선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23. 09. 22. 지리산 ● 노루궁뎅이 Hericium erinaceus | lion's mane, bearded tooth fungus, bea.. 2023. 11. 24.
끈적끈끈이버섯(끈적긴뿌리버섯) Oudemansiella mucida(Mucidula mucida) 서늘한 가을을 맞이하며 지리산 능선 나무 줄기에는 끈적끈끈이버섯이 흰 꽃처럼 환하게 피었다. 하얀 갓은 둥글거나 편평하며 중앙은 담갈색이다. 주름살은 완전붙은형으로 성글며 대는 원기둥 모양이며, 살은 아교질로 맛과 냄새가 좋다. '끈적뿌리버섯' '끈적긴뿌리버섯' '끈적민뿌리버섯' 북한 이름 '진득고리버섯' 등 이름이 다양하다. 뽕나무버섯과 긴뿌리버섯속의 버섯이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쓰러진 나무에 무리로 또는 뭉쳐서 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9. 22. 지리산 ● 끈적끈끈이버섯 Oudemansiella mucida | porcelain fungus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끈끈이버섯속 갓은 지름 2~8cm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차차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고 .. 2023. 11. 23.
다람쥐눈물버섯 Psathyrella piluiformis 지리산 반야봉 아래를 지나며 만난 눈물버섯속 다람쥐눈물버섯. 짙은 갈색의 둥근 갓 표면은 매끄럽고 가장자리에는 흰 외피막 찌꺼기가 두르고 있다. 주름살은 어린 버섯은 연한 회갈색, 성균은 흑갈색으로 짙어졌다. 봄~초겨울 썩은 고목 및 그 부근의 땅에서 무리지어 자라거나 뭉쳐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나 양질은 아니라고 한다. 2023. 09. 22. 지리산 반야봉 아래 ● 다람쥐눈물버섯 Psathyrella piluiformis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6cm로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한 모양으로 되지만 중앙은 돌출한다. 표면은 흡수성으로 습기가 있을 때는 갈색 또는 암갈색이고 매끄럽다. 방사상의 요철 홈선이 있으며 마르면 연한 계피색 또는 황갈색이며 가루로 다.. 2023. 11. 22.
흰비늘버섯 Pholiota lenta 돼지령 능선에서 운해의 장관을 감상하고 난 다음 등산로 곁에서 여명 속에서 처음으로 흰비늘버섯을 만난다. 전체적으로 흰빛이 감도는 속에 갈색의 갓에는 흰비늘이 있다. 다행히 어린 버섯과 어른 버섯을 함께 만나 관찰이 용이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아시아와 유럽, 북미에 분포하는 비늘버섯속 버섯이다. 소나무 숲이나 참나무 숲속의 땅 또는 썩은 고목에 적은 수로 무리지어 나거나 뭉쳐 난다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9. 22. 지리산 ● 흰비늘버섯 Pholiota lenta | Slimy scalycap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9cm의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평평하게 펴진다. 표면은 현저히 끈적기가 있고 황토 백색-백색이며 중앙은 회갈색으로 진하다. 백색 솜털 .. 2023. 11. 22.
독송이 Tricholoma muscarium 지리산 능선 등산로 주변에서 종종 만난 버섯으로 삿갓 모양의 갓은 올리브갈색의 섬유질 무늬로 덮여 있다. 살충성과 마취 효과가 있는 이보텐산과 트리콜롬산이 있어 파리를 잡는 데 쓰므로 북한에서는 '파리잡이무리버섯'이라 부른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는 송이속의 버섯이다. 가을에 주로 활엽수림 내의 땅 위에서 한 개씩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단맛이 있는 식용 버섯이나 가벼운 독성이 있어 과식은 삼가는 것이 좋다. 2023. 09. 22. 지리산 노고단-세석 종주 능선 ● 독송이 Tricholoma muscarium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송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6cm로 원추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중앙부는 항상 돌출한다. 표면은 연한 황색 바탕에 올리브 갈색의 섬유 무늬로 덮여 있다. 중.. 2023. 11. 22.
등색주름버섯 Agaricus abruptibulbus 등산로 곁 숲에서 눈에 띈 유난히 노란 갓의 작은 버섯 하나, 담황색주름버섯이다. 담황색주름버섯(Agaricus silvicola)과 아주 유사하여 구별이 쉽지 않은 버섯이다. 구별이 쉽지 않아 같은 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었다. 종명 abruptibulbus와 영명 abruptly-bulbous agaricus는 이 버섯의 자루 밑부분이 납작하게 돌출된 구근상인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담황색주름버섯은 구근상이나 얕거나 밋밋한 모습이다.(그러나 자루 형태의 변이가 커서 적용이 쉽지는 않다) 등색주름버섯(갓 크기 4~8cm)은 담황색주름버섯(갓 크기 5-15cm)에 비해 비교적 소형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이나 혼효림, 죽림 등 낙엽이 많은 땅에 흩어지거나 무리지어 난다. 아니스 향과 아몬드 향이 나는 .. 2023. 11. 20.
밀꽃애기버섯 Collybiopsis confluens (Gymnopus confluens) 갓 표면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으로 비교적 매끄럽고 중앙부는 짙은 색이나 차차 퇴색하여 담황색~담회갈색이 된다. 낙엽버섯과 밀버섯속에서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으로 재분류되었고, 다른 꽃애기버섯속 버섯들과 함께 2021년 다시 선녀버섯속(Collybiopsis)으로 재배치되었다. '애기밀버섯', '밀애기버섯'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북한 이름은 '나도락엽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침엽수림 또는 활엽수림, 혼합림의 땅 또는 낙엽 사이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뭉쳐서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9. 19. 서울 ● 밀꽃애기버섯 Gymnopus confluens | clustered toughshank ↘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 갓은 2.5~5cm로 처음.. 2023. 11. 14.
붉은알버섯 Rhizopogon roseolus 지하생 균으로 울퉁불퉁한 둥근 덩어리 모양이며 지름은 1∼5cm이다. 표면은 매끄럽고 흰색이나 땅 위로 파내면 누런 갈색에서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자실체 밑면에는 뿌리 모양의 균사다발이 달라붙어 엉켜 있다. 자실층은 미로처럼 생긴 작은 방 내부로 만들어진다.  봄~가을 소나무숲 아래 땅, 특히 해변의 모래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땅속에서 자라지만 후에 반만 땅속에 묻혀 노출된다. 냄새와 맛이 좋아 식용할 수 있다. '송로(松露)'라고도 하는데, 서양송로(truffle)는 다른 종으로 Tuber속 버섯 중 일부(Tuber melanosporum, Tuber magnatum)를 가리킨다.    2023. 09. 18.  서울    2023. 10. 16.  서울     ● 붉은알버섯 Rhizopogon .. 2023. 11. 13.
흰망유사남방그물버섯('흰그물쓴맛그물버섯') Pseudoaustroboletus valens 자루의 흰 그물 무늬가 특징인 버섯으로 회색망그물버섯과 아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데 그물 모양이 좀더 엉성하고 색깔이 희거나 연한 갈색을 띠는 점에서 구별된다. '흰그물버섯'이라는 이름을 쓰면 좋을 텐데 속명을 붙여 쓰는 원칙 때문에 이름이 길어지고 부자연스럽다. 2017년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에서 유사남방그물버섯속(Pseudoaustroboletus)으로 바뀌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베트남, 말레이지아 등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그물버섯으로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림 땅에서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2023. 09. 18. 서울 ● '흰그물쓴맛그물버섯' Pseudoaustroboletus valen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Pseudoaustroboletus속 .. 2023.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