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 버섯339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란 영명도 있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26.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oo.. 2024. 11. 13.
베타글루칸이 풍부한,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americanus 갓 표면은 끈적하고 황색 바탕에 주변부로 갈색 인편이 촘촘히 붙어 있다. 내린 관공은 황색을 띠고 비교적 크며, 황색 자루에는 입자 모양의 담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가을철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의 침엽수림에서 발생한다. 동아시아, 유럽, 러시아, 북미, 히말라야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10. 16-23.  경기 구리           ●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americanus | chicken fat mushroom, American suillus, American slipperycap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2.5~10cm로 처음에는 다소 원추형이다가 후에 편평형이 된다. 표면은 황색 또는 담회갈색으로 점성이 있고 갈.. 2024. 11. 11.
끈적쓴맛그물버섯 Mucilopilus castaneiceps(Tylopilus castaneiceps) 3년 전 가을에 지천으로 발생했던 버섯인데 이후에는 흔적조차 없이 사라졌던 버섯. 뜻밖에 저무는 하늘 아래 리기다소나무가 늘어선 혼합림 언덕에서 한 무리가 발생하고 있다. 아쉽게도 황분균으로 보이는 속버섯에 감염된 듯 자실층의 그물 조직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버섯은 전체적으로 끈적거리는 점성이 강하다. 갓은 밤갈색이고 살은 붉은빛이 감도는 흰색이며 관공은 흰색에서 연한 붉은색으로 변하며 자루에는 노란 반점이 있다.  여름~가을 혼합림, 활엽수림에서 발생한다. 한국, 일본, 타이완, 오세아니아 등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4. 10. 21.  서울         ● 끈적쓴맛그물버섯 Mucilopilus castaneiceps  ↘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쓴맛그물버섯속 .. 2024. 11. 10.
'프라이드 치킨',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갓 표면은 회색 또는 회갈색으로 매끈하고 마르면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굽는다. 살은 가운데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으며 탄력이 있다. 만가닥버섯과의 맛 좋은 식용 버섯이다. 식감이 치킨 비슷하다 하여 영명은 fried chicken mushroom이다.  여름~가을에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의 습한 땅에 홀로 또는 뭉쳐난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전 세계 온대~냉대지역에 분포한다.    2024. 10. 16.  경기 구리       2024. 10. 20.  서울     ●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 fried chicken mushroom, clustered domecap  ↘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만가닥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6~10cm로.. 2024. 11. 3.
비단그물버섯 Suillus luteus 표면은 암적갈색의 심한 점액 표피로 덮였다가 차차 색이 연해진다. 자루에 턱받이가 있고 턱받이 윗부분은 황색으로 미세한 알맹이가 있고 아랫분분은 흰색 또는 갈색의 반점과 얼룩이 있다. 북한 이름은 '진득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소나무숲 땅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잎갈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2024. 10. 16.  경기 구리          ● 비단그물버섯 Suillus luteus | slippery jack, sticky bun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5~15cm, 반구형이다가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돌출한다. 표면은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강한 끈적임이 있다. 끈적한 액이 .. 2024. 11. 2.
황소비단그물버섯 Suillus bovinus 큰마개버섯과 공생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비단그물버섯속의 버섯이다. 갓은 적갈색에서 황갈색이며 자실층은 녹황색이다. 북한에서는 '그물버섯'으로 부르고 있다.  식용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까지 소나무 숲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소나무, 전나무, 참나무 등에 외생균근을 만든다. 유럽과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서 흔히 자라며 북미와 호주, 남아프리카에서는 외래종이다.      2024. 10. 11.  합천 삼가          ● 황소비단그물버섯 Suillus bovinus | Jersey cow mushroom, bovine bolete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육질이 두껍고 지름 3~10cm로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하게 된다. 중앙부는 편평하거나 약간 오목하다. .. 2024. 10. 30.
검은비늘버섯(chestnut mushroom), 유균 영어 이름이 'chestnut mushroom', 맛보다는 잘 구운 군밤알을 연상시키는 듯한 검은비늘버섯 유균을 만난다. 금빛으로 화려한 성균에 비해 검은빛이구나 싶을 정도로 어두운 적갈색을 띤다. '비늘이 검은 버섯'이 아니라 '검은빛을 띤 비늘버섯'임을 알 수 있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4. 10. 09.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5~10cm로 .. 2024. 10. 29.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의 버섯으로, 갓은 황갈색으로 표면은 습하고 점성이 있으며 갓 전면에 삼각형의 흰 비늘조각들이 있고 점차 갈황색으로 변한다. 영어 이름은 'chestnut mushroom'인데 맛보다는 까 놓은 군밤 같은 모양을 표현한 이름인 듯하다. 북한 이름은 '기름비늘갓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4. 10. 09.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 2024. 10. 28.
그늘버섯 Clitopilus prunulus (추정) 낙엽이 쌓인 숲속 빈터에 2개체만 발견되었다. 비교적 온전한 편이지만 약간 말라서 갓이 말린 모습으로 회갈색 갓에 희고 구부러진 자루가 유난히 눈에 띈다. 주름살은 내린 듯한 바른 주름살인데 붉은빛이 비쳐 외대버섯과의 특징을 보인다. 그늘버섯과 비교적 부합하는 특징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나 비슷한 독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02.  경기 구리       ● 그늘버섯 Clitopilus prunulus | miller, sweetbread mushroom  ↘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그늘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5~9cm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접시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고, 회백색이며 미.. 2024. 10. 26.
접시껄껄이그물버섯 Rugiboletus extremiorientalis(Leccinum extremiorientale) 갓 표면이 마르고 색깔도 짙어진 노균 상태의 접시껄껄이그물버섯을 만난다. 동아시아에만 분포하는 그물버섯과의 비교적 큰 버섯이다. 최근 주름과 골이 지는 갓의 특성으로 껄껄이그물버섯속에서 분리되어 Rugiboletus라는 새로운 속으로 변경되었다.  늦여름~가을에 주로 활엽수림 내에 홀로 나며 활엽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한국, 일본, 베트남에 분포한다.    2024. 10. 02.  경기 구리        ● 접시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extremioriental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껄껄이그물버섯속갓은 10~25cm의 대형으로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후에 둥근산형에서 평평형이 된다. 가장자리는 관공보다 약간 밖으로 막 모양으로 돌출되나 후에 탈락된다. 표면은 오렌지 황갈색을 띠고 표면.. 2024. 10. 26.
붉은그물버섯(황갈색해그물버섯) Hortiboletus rubellus 붉은 갓이 특징으로 영명도 'ruby bolete(루비그물버섯)'이다. 자루에 붉은색의 줄무늬가 그리 선명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2015년 그물버섯속에서 해그물버섯속(정원그물버섯속). 국립수목원에서는 '황갈색해그물버섯', 조덕현은 '붉은정원그물버섯' 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국명 미정의 동속 Hortiboletus amygdalinus, 분홍그물버섯(Boletus bicolor) 등이 아주 유사하다.  초여름~가을 활엽수림, 산지 주변, 풀밭 등의 땅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향이 좋은 식용 버섯이나 살짝 비누 맛이 있다고 한다.     2024. 10. 02.  경기 구리         ● 황갈색해그물버섯 Hortibolet.. 2024. 10. 25.
표고버섯 Lentinula edodes 해마다 그 장소 그 재목에서 나는 표고버섯, 작년 가을에 비해 개체수가 줄었지만 기나긴 무더위를 이겨내고 이렇게 3개체나마 발생해 준 것이 고맙다. 서울에서 자연산 표고버섯이 어디 쉬운 일인가! 내년 봄에는 겨울을 난 백화고를 만나길 기대해 본다.  봄과 가을 참나무 등 활엽수 고목에서 발생하며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동양 특산이지만 재배되면서 유럽과 북미 등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북한 이름은 '참나무버섯'이다.    2024. 09. 29.  서울        ● 표고버섯 Lentinula edodes | fragrant mushroom  ↘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표고버섯속균모의 지름은 4~10cm이고 중앙은 언덕처럼 올라오나 가장자리로 갈수록 차차 편평해진다. 가장자리는 안.. 2024. 10. 23.
당귀젖버섯 Lactarius subzonarius 왜당귀향이 난다는 젖버섯으로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연한 살색이나 연한 적갈색이며 계피 갈색의 테 무늬가 여러 개 둘려져 있다. 주름살은 아주 촘촘하며, 상처 시 유액은 연한 흰색을 띠는 물처럼 나온다. 부드러워 부서지기 쉬운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나며 활엽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9. 23.  서울        ● 당귀젖버섯 Lactarius subzonari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갓은 2.5~4cm의 중·소형으로 반구형이나 차차 오목 편평형이 되며, 습할 때 표면에 점성이 있다. 연한 살색~연한 적갈색을 띠며 계피 갈색의 환문이 여러 겹으로 둘려져 있다. 살은.. 2024. 10. 18.
붉은갓주름버섯 Agaricus subrufescens 비단 같은 섬유질 인편으로 덮인 커다란 갓은 실비듬주름버섯(Agaricus augustus)과 닮았다. 커다란 턱받이는 디스크 모양인데 가장자리가 아래로 굽어진 모습이다. 주름버섯속의 대형 버섯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식용 버섯이다.  아몬드 향기가 나는 맛 좋은 버섯으로 영어권에서는 almond mushroom(아몬드 버섯), almond agaricus(아몬드주름버섯), mushroom of the sun(태양의 버섯), God's mushroom(신의 버섯), mushroom of life(생명의 버섯), royal sun agaricus(로얄 태양 주름버섯) 등 찬사의 뜻이 담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재배되기도 한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숲속 부엽토가 많은 비옥한 땅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2024. 10. 17.
뿔나팔버섯 Craterellus cornucopioides 회색꾀꼬리버섯인 줄 알았는데 자실층에 주름이 없다. 뿔나팔버섯이다. 가을 가뭄으로 대체로 작은데 마르면서 갈라지고 비를 맞은 탓인지 갓의 가는 비늘조각들도 밋밋해졌다.  10cm 크기까지 자라는 나팔 모양 버섯으로 중앙부는 대 밑부분까지 뚫려 있다. 살은 매우 얇고 유연한 가죽질이며, 표면은 미세한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회갈색을 띤다.   늦여름~가을 혼합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2~3개씩 다발로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 일본, 중국 남서부, 호주 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말려서 오래 보관할 수 있다.      2024. 09. 22.  경기 구리       ● 뿔나팔버섯 Craterellus cornucopioides | horn of plenty, black chanterelle, b.. 202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