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377

노루삼 Actaea asiatica 금대봉 ● 노루삼 Actae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70cm이다. 잎은 2-3장이 줄기에 붙는데, 2-4번 3갈래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톱니가 있고, 3갈래로 갈라지기도 하며, 길이 4-10cm, 폭 2-6cm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에 자라는 길이 3-5cm의 총상꽃차례.. 2015. 5. 22.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동의나물은 산지의 습지나 계곡 주변 물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속에 분포한다. 청계산 ●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 Marsh marigold, kingcu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여러해살이풀 흰색의 굵은 뿌리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은 심장모양의 원형 또는 달걀모양의 심원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은 꽃잎이 없으며 꽃받침 조각이다.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줄기 끝에 1∼2개씩 달리고 작은꽃가지가 있다. 열매는 골돌(利咨)로 4∼16개씩 달리고 길이 1cm 정도이며 끝에 암술대가 남아 짧은 부리 모양을 한다. ※ 동의나물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 10종 정도가 .. 2015. 4. 27.
만주바람꽃 Isopyrum mandshuricum 골짜기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만주바람꽃이 활짝 피었다. 계곡으로 불어오는 봄바람에 살랑살랑 춤을 추는 작고 하얀 꽃송이들이 눈꽃처럼 아름답다. 미나리아재비과의 바람꽃들이 다 그러하듯 만주바람꽃도 꽃잎으로 보이는 것이 실상은 꽃받침일 뿐이다. 꽃받침 위에는 수술과 암술을 감싸고 있는 아주 작은 꽃잎이 흔적처럼 남아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2015. 04. 11. 천마산 ● 만주바람꽃 Isopyrum mandshuricum ↘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20cm이다.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달린 땅속줄기 끝에서부터 잎과 줄기가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흰색 막질이고 넓어지며, 원줄기 밑에는 비늘 같은 조각과 흰 털이 조금 난다. 줄기에 달린 잎은 2∼3개이고 짧은 잎자.. 2015. 4. 14.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꿩의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높은 산지의 습한 숲속에 자생한다. '은련화(銀蓮花)', '양두첨(兩頭尖)'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껑충하니 자라는 꽃대 끝에서 한 송이의 하얀 꽃을 피우는데,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잎이 아니라 꽃받침잎이며 꽃잎은 퇴화되어 없다. 8-13장으로 펼쳐지는 꽃잎은 꽃봉오리 때에는 붉은 빛이 감돌지만 꽃이 피어나면서 순백색으로 바뀐다. 천마산 ●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 Radde Anemone ↘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길이 1.5∼3cm이며 육질이고 굵다. 꽃줄기는 높이가 15∼20cm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길이 4∼15cm의 잎자루에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 3개씩 달리며(2회 3출겹잎),.. 2015. 4. 14.
흰노루귀, 청노루귀 Hepatica asiatica 긴 솜털이 보송보송한 꽃줄기 끝에 세 개의 잎이 쫑긋 펼쳐진 모습이 노루의 귀를 연상시켜 노루귀란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속명 Hepatica는 잎이 간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꽃의 색깔은 흰색과 푸른 보라색, 그리고 분홍색 세 종류가 있다. 2015. 04. 11. 천마산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이 난다. 또한 꽃대에도 솜털이 많이 달린다. 잎몸 길이 5cm 정도, 잎자루 길이 약 25cm이다. 이른봄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꽃이 .. 2015. 4. 14.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이 피었네 3월 들어 추운 날씨가 계속되어 꽃소식이 언제나 올까 싶었는데, 대모산 양지바른 언덕에 할미꽃이 피기 시작했다. 며칠 전부터 갑작스레 따뜻해진 날씨, 하얀 솜털 보송보송한 붉은 꽃잎을 조심스레 열었다. 다시 차가워진 공기 속에 잔뜩 움츠린 앙증스런 모습이 사랑스럽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야생화, 할미꽃! 2015. 03. 22. 서울 ●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 Korean pasque flower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엽병이 길고 5장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모양겹잎으로서 깊게 갈라지며 전체에 긴 백색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30-40mm로서 2-3개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폭 6.. 2015. 3. 25.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너도바람꽃이 있으니 나도바람꽃도 있다. 가장 이른봄에 피는 바람꽃이 너도바람꽃이라면 나도바람꽃은 비교적 늦은 5월에 이르러서야 핀다. 나도바람꽃이 한 송이만 피는 작은 꽃이라면 나도바람꽃은 여러 송이가 피는 큰 꽃이다. 가장 이른 시기, 눈 속에 피고 한 송이만 피는 작은 꽃.. 2015. 3. 24.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중부 이북에 자생하는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만주바람꽃! 자생지와 개체수가 매우 적은 북방계 식물로 원뿌리에서 많은 가지뿌리가 나오며 보리알같은 덩이뿌리가 달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자라고 끝에서 잎과 줄기가 자란다. 아직도 싸늘한 기운이 느껴지는 이른 봄, 건너편에 쌓인 눈을 바라보며 골짜기 볕 잘 드는 계곡 바위 틈에서 꽃을 피운다. 2015. 03. 21. 천마산 ●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키는 15~20㎝이고, 잎은 한 잎에서 3갈래로 갈라지고 다시 잎은 2~3개로 갈라진다. 뿌리부분은 마치 고구마 줄기처럼 많은 괴근이 달려 있다. 어린 싹이 올라올 때는 마치 개구리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올라온다... 2015. 3. 24.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 모양이 왜젓가락나물과 비슷하지만 털이 있고 열매 모양이 개구리미나리와 비슷하여 구형이고 쐐기 모양의 돌기가 촘촘히 박혀 있다. 잎이 1회 3출엽이고 작은잎이 넓다는 점에서 2회 3출엽이고 작은잎이 가늘고 좁은 개구리미나리와 구별된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양양 낙산사 ●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80㎝이고 털이 밀생한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며 세잎나기이고 작은잎은 2~3개로 갈라지며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윗부분의 것은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고.. 2014. 7. 13.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i 이름처럼 꽃도 자주색이고 줄기도 자주색이며, 수술대와 꽃밥도 자주색으로 전체가 아름답다. 그래서 원예용으로 기르기도 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서울 근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제주도에서 함경남도·함경북도까지 분포하지만 흔하지는 않다. 물기가 많은 돌 틈이나 반그늘인 곳의 유기질 함량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제주도 영실 ●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 | seoul meadow-rue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60cm 내외이다. 전체에 털이 없으며 뿌리에 가늘고 양끝이 길고 뾰족한 모양의 뿌리가 여러 줄 있다. 줄기는 곧게 섰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세 갈래로 갈라지며 뒷면이 다소 분백색이다. 가장 나중에 갈라진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둥근 .. 2014. 7. 13.
바위미나리아재비(구름미나리아재비) 제주도 한라산 고지 풀밭에 자생하는 미나리아재비속의 한국 고유종이다. 미나리아재비와 비슷하지만 식물체의 크기가 높이 10cm 정도로 전체적으로 작은 점으로 구별된다. '구름미나리아재비'라고도 불린다. 유독식물이다. 제주 뿌리잎은 3개로 갈라지고 깊게 패어져 있거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날카롭다.(신구대식물원) ●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 Hallasan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높이 10cm이고 전체에 갈색의 융털이 퍼져 난다. 근경은 짧고 비대하며 수염뿌리가 많다.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고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의 가장자리에 결각상 또는 거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선형이며 3개로 갈라진다. 꽃은 5-7월에 피며, 꽃받침은 5장으로 .. 2014. 7. 13.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한라산 영실 ●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5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어진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1개이고 잎자루가 길며 3개씩 2∼3회 갈라진다. 작은잎은 얇고 뒷면.. 2014. 7. 13.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개구리자리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두해살이풀로 '놋동이풀', '늪바구지'라고도 한다. 낮은 지대의 논과 개울 등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잎의 모양이 개구리 물갈퀴를 연상시키는데, 잎이 수면에 퍼져 있는 모양이 개구리가 앉을 만한 모습이어서 개구리자리라는 이름이 붙은 듯하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 cursed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두해살이풀 희고 가느다란 뿌리를 많이 가지고 있다. 줄기는 연하지만 곧게 서며 높이 50cm 안팎으로 자라나 많은 가지를 친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여러 장이 한 자리에 뭉쳐 자란다.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는 잎의 몸은 세 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잎 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가 나 있다... 2014. 6. 12.
연잎꿩의다리 Thalictrum coreanum 연잎꿩의다리는 솜다리·금강봄맞이·바람꽃과 함께 설악산의 특산식물로, 환경부에서 지정한 보호식물이자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이기도 하다. 강원 영월, 정선; 충북 단양, 제천; 경북 영양, 청송에 자생지가 있다.> 잎자루가 잎의 중간에 달라 붙어 있고 둥근 잎 모양이 연잎을 닮아 연잎꿩의다리라 부른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흰빛이 나는 붉은색의 꽃받침이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연잎꿩의다리 Thalictrum corean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비후하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가지는 나누어지고 높이 60c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1∼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다. 작은잎은 방패 모양의 원형이고 깊이 패어 들.. 2014. 6. 12.
나도바람꽃 Enemion raddeanum 나도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 이북의 산지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바람꽃 종류 중에서 꽃이 많이 피고 개화기가 길다. 만주바람꽃(I. mandshuricum)에 비해 줄기가 더 크고 튼튼하며 꽃이 더 늦게 피고 꽃이 줄기 끝에서 산형꽃차례를 이루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2013. 05. 18. 오대산 한 송이의 꽃에 4개의 꽃잎만 달린 특이한 나도바람꽃 ● 나도바람꽃 Enemion raddean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나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30cm이다. 뿌리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길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줄기 위쪽에 달리고 잎자루가 짧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겹잎이며, 작은잎은 다시 3갈래로 갈라진다... 2014.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