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377

흰노루귀 Hepatica asiatica 세 갈래로 갈라져 꽃을 감싸고 있는 포의 잎에는 털이 많은데, 솜털이 보송보송한 어린 노루가 귀를 쫑긋 세운 듯하여 노루귀라고 부른다. 가까운 산에 청노루귀 흰노루귀가 대군락을 이루어 꽃을 피우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행복하다.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속명 Hepatica는 라틴어 Hepaticus(肝腸)의 여성형으로 잎이 갈라진 모습이 간장과 비슷한 데서 붙여진 듯... 깊은 산속 골짜기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데 뿌리가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검은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어 바닥으로 넓게 퍼져 자란다. 4월에 잎이 나기 전에 꽃이 먼저 피는데 뿌리에서 난 꽃대 끝에 한 송이씩 달리고 색깔은 보라, 진분홍, 흰색 등 다양하다. 꽃은 지름 1.5c.. 2007. 4. 12.
노루귀(청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 2007. 4. 12.
눈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for. decumbens 잎의 모양이 곰취와 비슷하지만 곰취에 비해서는 잎이 훨씬 작다. 이름으로는 나물이지만 약한 독성이 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풀이다. 산속 부식질이 풍부하고 햇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잘 자란다. 아래의 동의나물은 줄기가 누워 있는 것으로 보아 동의아눔릐 품종인 눈동의나물( for. de.. 2007. 4. 11.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한국 특산종 노루귀로 울릉도에서 자란다. ●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비스듬히 서며 흑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심장형이고 큰 것은 길이 8 cm, 나비 15 cm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 2007. 4. 1.
노루귀(분홍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 2007. 3. 28.
세복수초 Adonis multiflora 제주도에 자생하는 복수초로, 줄기와 가지가 많이 벌어지고 잎이 난 뒤에 꽃이 피고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점으로 복수초나 개복수초, 가지복수초와 구별된다. ● 세복수초 Adonis multiflor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줄기가 많이 분지한다. 줄기잎은 엽병이 없거나 매우 .. 2007. 3. 20.
가장 이르게 피는 바람꽃, 변산바람꽃 혹시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지만 쉽게 만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진 않았다. 아무런 정보도 준비도 없이 무작정 변산이란 이름만 듣고 떠난 길이었길래... 소문으로만 듣고 이미지로만 보며 나도 다른 이들처럼 몰래 사랑을 키웠던, 변산바람아씨라고 불리던 변산바람꽃을 변산의 어느 골.. 2007. 2. 27.
등잔불처럼 환하게 핀 가지복수초(Adonis ramosa) 변산바람꽃 만나러 간 길에 만난 복수초. 꽃이 큰 개복수초다. 그런데, 개복수초는 이명으로 되어 있어 기재문도 없고 정명은 가지복수초로 되어 있는 모양이다. 1. 2. ● 가지복수초 Adonis ramos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뿌리줄기는 짧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 2007. 2. 26.
외대으아리 열매 Clematis brachyura 열매에 날개가 없고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는 으아리에 비해, 외대으아리는 열매에 날개가 있으며 돌기 같은 짧은 암술대가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대모산 ● 외대으아리 열매 Clematis brachyura | Korean virgin`s bower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 낙엽 반관목으로 높이 1m에 달하고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잎자루와 작은잎자루는 길어 덩굴처럼 물체에 감긴다. 소엽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광채가 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 또는 암수딴그루로 6~9월에 백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1~3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4~5개이며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12~20mm이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006. 12. 1.
좀꿩의다리 열매 Thalictrum kemense var. hypoleucum 서울 대모산 ● 좀꿩의다리 Thalictrum kemense var. hypoleuc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12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능선이 있으며 상부에서 분지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3회 3출엽으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짧거나 없고 탁.. 2006. 12. 1.
개버무리 꽃 진 뒤 Clematis serratifolia 개버무리는 경북과 강원 이북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식물. 지상부가 월동하는 덩굴줄기에 세잎나기인 점이나 열매의 모양이 사위질빵과 아주 비슷한데, 잎 모양이나 꽃의 색깔이 다르다. 꽃버무리라고도 하며 숲의 가장자리나 냇가에서 자란다. 횡성 안흥 ● 개버무리 Clemati.. 2006. 11. 12.
그늘돌쩌귀(투구꽃으로 통합) 깊은 산지 응달에서 자라며 전체에 털이 없고 매끄럽다. 투구꽃으로 통합되었다. 남한산성 꽃자루에는 털이 있으나 씨방에는 털이 없다. (씨방에 털이 있으면 투구꽃) ● 그늘돌쩌귀 Aconitum uchiyamai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높이는 1m이다. 뿌.. 2006. 10. 20.
투구꽃(그늘돌쩌귀) Aconitum jaluense 투구꽃은 선투구꽃, 개싹눈바꽃, 진돌쩌귀, 싹눈바꽃,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등 여러 이명들로 불리던 초오속의 통합된 명칭이다. 그늘돌쩌귀는 암술대와 씨방에 털이 없는 점으로, 진돌쩌귀는 가지가 벌어지는 점으로 투구꽃과 구별하였지만 투구꽃으로 명칭이 통합되었다. 천마산에.. 2006. 10. 12.
외대으아리 Clematis brachyura 처음 봤을 때는 무슨 으아리꽃이 이렇게 생겼나 싶었다. 그도 그럴 것이, 꽃(사실은 꽃받침이다!)이 깊게 갈라지지 않은 모습을 본 적 없었으니... 다른 종이거나 변이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아무래도 갓 핀 모습이 아닐까 싶다. 꽃잎(꽃받침)이 길게 갈래지지 않아 더욱 청초해보인다. 풀.. 2006. 10. 4.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자주조희풀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소관목으로 병조희풀과 구아주 유사한데 꽃이 없는 시기에는 구별하기 어렵다. 중부 이북에 분포하며 뿌리는 병조희풀과 더불어 약용한다. 운길산 남한산성 ●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소관목 잎.. 2006.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