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377

작약 작약 Paeonia lactiflor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작.. 2006. 5. 28.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살이풀 습지에서 자라고, 흰색의 굵은 뿌리에서 잎이 뭉쳐난다. 줄기는 매끈하고, 높이 30-60cm에 이르며, 연약하기 때문에 아래쪽은 옆으로 비스듬히 눕기도 한다. 잎은 심장 모양의 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심원형이며 가.. 2006. 5. 16.
매발톱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미나리아재비과 매발톱속 여러해살이풀로, 맑은 자주색 꽃받침과 연한 노란색 꽃잎이 교대로 나 있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은 뒤로 길게 부리 모양으로 뻗어 있다. 양지바른 계곡과 풀밭에 자란다.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2006. 05. 08.  대모산   2006. 05. 04.  대모산    ● 매발톱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ㅣ Columbine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다. 줄기 윗부분이 조금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며 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다. 작은잎은 넓은 쐐기꼴이고 2∼3개씩 2번 갈라지며 뒷면은 흰색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꽃은 6∼7월.. 2006. 5. 14.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다른 이름으로 놋동이, 바구지라고도 한다. 줄기 속이 비어 애기가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서 애기젓가락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뺀 풀 전체를 모간(毛茛)이라 부르며, 황달을 고치고 눈에 낀 백태를 없애는데 약용한다. 마치 코팅이라도 한 듯이 꽃.. 2006. 5. 10.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흰털이 밀생하며 속은 비어있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짧은 근경에서 가늘고 긴 뿌리와 뿌리잎이 뭉쳐난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오각상 원심장형으로.. 2006. 5. 6.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곧게 들어간 굵은 뿌리 머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3∼4cm이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꼭대기의 갈래조각은 나비 6∼8mm로 끝이 둔하다. .. 2006. 4. 24.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 닮은 풀'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비슷한 점이 거의 없다. 줄기 속이 비어 있어 애기가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다는 이유에서 애기젓가락풀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그 외에도 놋동이, 자래초, 수랑, 모랑, 바구지, 야근채, 모건초, 묘조초 등 수많은 .. 2006. 4. 24.
할미꽃(강원도 횡성) Pulsatilla koreana , 할미꽃 전설 꽃이 필 때 허리가 구부러진 모습도 그렇거니와 꽃이 지고 나면 열매에서 자란 털이 할머니의 흰 머리카락처럼 보이기 때문에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손녀의 집을 눈앞에 두고 쓰러져 죽은 할머니의 넋이 산골짜기에 핀 꽃이라는 애절한 정설이 담겨 있는 꽃이기도 하다. ※ 할미.. 2006. 4. 23.
다시 찾은 대모산 할미꽃 2006. 4. 8.
동강의 절벽에 핀 보랏빛 동강할미꽃 동강할미꽃 Pulsatilla tongkangensis 해가 뜨면 하늘을 향하여 닫혔던 꽃잎을 여는 할미꽃, 동강 상류의 석회암 지대에 자라는 한국 특산의 할미꽃. 석회암 바위 틈에 자라니 절로 키가 낮아지고 염기성 토양이니 꽃색은 선연한 보랏빛. 키는 꽃 핀 후에 더 자라고, 전체에 흰 털이 많다. 뿌리에.. 2006. 4. 4.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이른 봄 양지바른 언덕에 흰 솜털 가득 달고 고개를 숙이고 붉은 보랏빛 꽃을 피우는 할미꽃! '한국의 아네모네'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 특산의 아름다운 꽃이다. 2006. 03. 19 대모산 기슭에서 2006. 03. 26 대모산 기슭에서 ●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 Pasqueflower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 2006. 4. 3.
너도바람꽃, 꿩의바람꽃 2006. 03. 26 화야산에서 <너도바람꽃> 꽃잎이라고 생각하는 5갈래의 하얀 잎은 꽃받침이고, 사이로 보이는 하얀 막대 같은 것이 진짜 꽃잎이랍니다.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반그늘에서 자라는데,. 덩이줄기는 공 모양이고 수염.. 2006. 3. 30.
노루귀의 꽃과 열매 2006. 03. 19. 2006. 03. 26. 06. 05. 07. 남한산에서 노루귀의 열매 노루귀 잎 노루귀 Hepatica asiatic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세 갈래로 갈라져 새로 난 잎이 두껍고 털이 많은데, 솜털이 보송보송한 어린 노루의 귀를 닮아 노루귀라고 부른답니다. 속명 Hepatica는 라틴어 Hepaticus.. 2006. 3. 30.
세복수초 Adonis multiflora 제주도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복수초로 잎이 나고 꽃이 피며 꽃이 셋 이상 여럿 달리는 점에서 다른 복수초와 구별된다. 2006. 03. 26. 대모산 자연학습원에서 ● 세복수초 Adonis multiflor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많이 분지한다. 줄기잎은 엽병이 없거.. 2006. 3. 30.
복수초, 또는 얼음새꽃 복수초 복과 장수를 가져다 주는 꽃이라 해서 복수초. 이른 봄 뿌리에서 줄기가 나오고, 보라색 잎과 꽃받침에서 꽃을 피우고 햇빛을 많이 받은 뒤에 꽃은 피는데, 해가 지면 꽃잎을 닫는다. 꽃 피고 나서 자란 줄기 여름이면 시들고 가을이면 벌써 땅속에서 싹을 틔운다. 보통 한 꽃대에 꽃이 하나씩 .. 2006.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