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과377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금매화란 이름표를 달고 있는 꽃! 한눈에 봐도 미나리아재비인데... 이런 착오는 홍릉수목원에서는 한둘이 아닌 듯하다. 2007. 04. 30. 남한산 ●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흰털이 밀생하며 속.. 2007. 5. 12. 할미꽃 사진 모음 4월말 충북 음성의 어느 산골에서 만난 할미꽃입니다. 2007. 5. 7. 북한의 천연기념물, 하늘매발톱꽃 함경도와 평안도 사이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산맥이 낭림산맥이다. 이 낭림산맥 이북의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꽃이 바로 하늘매발톱꽃이다. 북한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귀한 꽃이다. 고산지대 특유의 하늘새게 가까운 보랏빛꽃이 매발톱꽃보다 훨씬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꽃의 키가 아담하여 관상용으로는 더없이 기르기에 좋은 꽃이어서 야생화인 이 꽃을 육종하여 원예용으로 많이 보급한 탓일 것이다. ● 하늘매발톱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매발톱꽃속 여러해살이풀 뿌리가 굵고 깊게 들어가며 줄기는 30cm 내외로 자란다. 뿌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온다. 잎은 2회 작은잎이 3장씩 나온 잎이며 뿌리에서 나온 것은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삼각형을 .. 2007. 5. 6. 매발톱꽃 Aquilegia buergariana var. oxysepala 속명인 아킬레기아(Aquilegia)는 '매'가 아닌 '독수리'를 뜻하는 aquila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꽃잎 뒤쪽의 '꽃뿔'이라고 하는 꿀주머니가 매의 발톱처럼 안으로 굽은 모양이어서 매발톱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반적인 꽃의 경우 꽃잎이 화려하고 꽃받침은 녹색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매.. 2007. 5. 6. 가는잎할미꽃 Pulsatilla cernua 할미꽃의 잎이 2~3갈래로 갈라지는 데 비해 가는잎할미꽃은 작은잎이 2~5갈래로 더 가늘게 갈라지고 꽃대의 길이가 짧으며, 할미꽃에 비해 꽃잎(꽃받침) 길이가 조금 짧고 꽃 색깔이 더 어둡다. 제주도에 자생한다. ● 가는잎할미꽃 Pulsatilla cernu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 2007. 5. 3. 개구리갓 =>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왜미나라아재비는 계룡산, 강원 이북 햇볕이 잘 드는 서늘한 깊은 산속 부엽질이 풍부한 토양에서 자란다. 2007. 04. 21. ●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가 15~20cm이며, 곧게 서지만 연약하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고 세 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3갈래 선형으로 깊게 갈라진다. 4~5월에 줄기 끝에서 노란 꽃이 피는데 한두 송이가 달리고 꽃잎은 5개, 꽃받침도 5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여러 개가 모여 둥글게 달리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2007. 5. 3.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운봉의 모데미 마을에서 발견되어 모데미풀로 불리게 되었다. 미나리아재비과의 희귀식물로서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한 1속 1종의 한국 특산식물이다. 모데미풀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른 꽃들이 대개 그러하듯이 흰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이고 꽃잎은 그 속에 퇴화하여 너도바람꽃처럼 작고 노란 꿀샘형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꽃자루 밑에 가장자리가 깊이 패인 1개의 큰 총포가 달렸을 뿐 다른 잎이 없다. 2007. 04. 21. 한택식물원 ●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모데미풀속 여러해살이풀높이 20∼40cm이며,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다시 2∼3개로 갈라진 다음 깊이 .. 2007. 5. 3.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한 개의 꽃대에 한 송이의 꽃이 외로이 피어있는 모습 때문에 홀아비바람꽃이란 이름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희고 청초한 꽃이 바람에 한들거리는 모습에 은연화(銀蓮花)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모습만을 놓고 본다면 은연화라는 이름이 더 잘 어울린다. 경기도와 강원도에만 분포.. 2007. 5. 3. 만주바람꽃 Isopyrum mandshuricum ● 만주바람꽃 Isopyrum mandshuric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20cm이다.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달린 땅속줄기 끝에서부터 잎과 줄기가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흰색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넓어지며, 원줄기 밑에는 비늘 같은.. 2007. 4. 17.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한국산 아네모네! 이른 봄, 눈이 녹기 시작할 무렵에 마치 봄을 기다렸다는 듯이 일제히 꽃을 피우는 모습이 아름답다. 얼레지가 피는 곳에서 무리지어 자라고 꽃이 피는 시기도 비슷해서, 꿩의바람꽃의 흰색 꽃과 얼레지의 연보라색 꽃이 한데 어울려 피어 있는 모습이 장관을 이루기도 .. 2007. 4. 17. 노루귀 Hepatica asiatica 세 갈래로 갈라져 꽃을 감싸고 있는 포의 잎에는 털이 많은데, 솜털이 보송보송한 어린 노루가 귀를 쫑긋 세운 듯하여 노루귀라 부른다. 이곳의 노루귀는 꽃대가 하나인 것이 많고 어쩌다 2~3개인 것이 있다.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잎은 길이 5cm 정도로.. 2007. 4. 17. 복수초 Adonis amurensis 복수초는 줄기 끝에 하나의 꽃을 피우며 개복수초에 비해 꽃이 작고 꽃잎만큼 긴 꽃받침이 8~9개가 꽃을 감싸고 있다. 개복수초(가지복수초)가 서해안 가까운 비교적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데 비해 백두대간과 가까운 높은 산지에 주로 분포한다. 멧돼지에게 물려죽은 아도니스의 슬픈 전.. 2007. 4. 17.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꽃과 씨앗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과 함께 너도바람꽃속의 3대 자생종이다. 바람꽃 종류 중에서 가장 일찍 개화하는 종이다. 천마산 2007. 04. 08 가리왕산 2007. 05. 05 ●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덩이줄기는 공 모양이고 수염뿌리가 많이 있다. 줄기.. 2007. 4. 17. 할미꽃(남한산성) Pulsatilla koreana ●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엽병이 길고 5장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모양겹잎으로서 깊게 갈라지며 전체에 긴 백색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30-40mm로서 2-3개로 갈라지.. 2007. 4. 13. 개복수초 Adonis pseudoamurensis 남부지방에서는 3월에 꽃을 피우는 복수초인데, 이곳은 이제야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가지가 벌고 꽃받침이 다섯 개인 개복수초인데, 개화가 늦다. 개복수초는 복수초에 비해 가지가 벌어지고 꽃이 훨씬 크다. 복수초는 8개의 붉은 빛이 도는 길고 좁은 꽃받침이 꽃을 감싸고, 개복수초.. 2007. 4. 1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