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377

큰꽃으아리, 위령선(클레마티스=꽃으아리)) 위령선은 꽃으아리라고도 하는데 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기른다. 원래는 흰 꽃으로 피는 것인데 자주색이나 만첩꽃으로 원예화하여 재배하기도 한다. 큰꽃으아리와 위령선을 교배하여 만든 것을 클레마티스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 위령선(威靈仙) Clematis florida / 미나리아재.. 2008. 1. 1.
으아리(두타연) 2007. 12. 31.
병조희풀(두타연) Clematis heracleifolia 양구 두타연 계곡 상류 ●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관목 높이 1m 내외로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지만 윗부분은 죽는다. 잎은 마주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거칠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나 .. 2007. 12. 30.
금꿩의다리 Thalictrum rochebrunianum ● 금꿩의다리 Thalictrum rochebrunian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70∼10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보통 자줏빛이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3∼4회 세 장의 작은잎 나온 잎이며 턱잎은 밋밋하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 2007. 12. 30.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밑부분과 꽃이삭에 털이 나지만 대부분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 2007. 12. 29.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밑부분과 꽃이삭에 털이 나지만 대부분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 2007. 12. 29.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밑부분과 꽃이삭에 털이 나지만 대부분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 2007. 12. 29.
좀꿩의다리 Thalictrum minus var. hypoleucum ● 좀꿩의다리 Thalictrum minus var. hypoleuc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2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2∼4회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오는 겹잎이고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1∼3cm로서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지고 뒷면에 흰빛이 돈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록색.. 2007. 12. 29.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동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주변에서 바이칼 물빛보다도 더 푸르게 피어 있던 꽃, 델피니움이라 불리는 제비고깔을 처음 만났을 때의 그 경이로움. 그런데 큰제비고깔이 내가 사는 이 땅 산 언덕에 자생하고 꽃을 피우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큰제비고깔은 경기도 이북에 자생하는 미나리아.. 2007. 12. 29.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풀과 나무의 성질을 다 가지고 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소관목이다. 병조희풀의 변종으로 꽃이 호리병 모양인 병조희풀에 비해, 꽃부리가 길게 갈라지면서 젖혀져 수평이 되는 점이 특징적이다. 주로 황해, 경기, 강원 등 중부 지방에 분포하지만 북부지방 일부에도 자생한다. ● 자주조.. 2007. 12. 26.
울릉도 왜젓가락나물=왜젓가락풀 Ranunculus silerifolius 열매가 둥글고 털이 보이지 않으니 개구리미나리를 닮았는데, 암술대 끝이 구부러져 있어 나를 혼란에 빠뜨리는 풀. 개구리미나리는 "암술대 끝이 거의 구부러지지 않는다."고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울릉도 특유의 개구리미나리로 봐야 하나... 검색하다 보니 왜젓가락나물이라는 게 있다. 열매가 둥글고 암술대는 약간 가늘고 뒤로 젖혀진다고 하는데, 울릉도와 제주도 그리고 일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고 하니 이 이미지에 잘 부합하는 사실로 보인다. 봉래폭포 가는 길 이름은 줄기가 젓가락처럼 가늘고 억센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줄기에 비스듬히 나는 털이 있거나 거의 없으며 암술은 약간 가늘고 끝부분이 밖으로 굽는다. 유독성 식물이다. 나리분지 ● 왜젓가락나물 Ranunculus silerif.. 2007. 12. 14.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열매 섬노루귀는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으로 상록성이며, 노루귀에 비해 잎과 꽃, 열매 등이 훨씬 크다. 나리분지 ●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비스듬히 서며 흑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심장형이고 큰 것은 길이 8 cm, 나비 15 cm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을 띠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 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진다. 잎자루는 길이 14∼28 cm, 지름 4∼5 mm이고 긴 털이 있다. 꽃은 지름 1.5 cm 정도이고 4월에 백색으로 잎이 나오기 전에 핀다. 총포(總苞)는 3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큰 것은 길이와 .. 2007. 12. 11.
좀꿩의다리 울릉도 도동 산 능선 산책로 바위 절벽에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웠다. 좀꿩의다리 Thalictrum minus var. hypoleucum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야에서 자란다. 높이 40∼12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2∼4회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오는 겹잎이고 작은잎은 달걀 .. 2007. 12. 8.
가는돌쩌귀 Aconitum villosum 가는돌쩌귀는 북부지방에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러시아, 몽골, 중국 등 동북아시아 일대에 분포한다. ● 가는돌쩌귀 Aconitum villosum /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1m쯤으로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며 3갈래로 완전히 갈라.. 2007. 12. 4.
하늘매발톱 염주황기 열매들과 어울린 하늘매발톱꽃 오랑캐장구채, 씨범의꼬리 등이 밭을 이룬 곳에서 꽃을 피웠다. 하늘매발톱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뿌리가 굵고 깊게 들어가며 줄기는 30cm 내외로 자란다. 뿌리에서 잎이 무.. 2007.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