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버섯126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갓이나 넓고 두꺼운 주름살이 절구버섯R. nigricans)과 매우 비슷하지만, 상처 시 적색으로 변한 후 회색으로 변하지 않는 점으로 구별된다. '무변색무당버섯', '절구버섯아재비'로 불리기도 한다. 식용 가능한 절구버섯과 달리 독버섯이다. 아마톡신계열의 독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독 증상은 버섯 섭취 후 보통 10~12시간 정도에 갑자기 복통을 동반하며 오심, 구토, 출혈성 설사가 나타남. 버섯 섭취 후 3~4일이 경과 후 황달, 의식장애 등의 간부전증 징후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사망률이 상승한다. 2022. 09. 07. 서울 대모산 100분쯤 지난 뒤에도 아래처럼 변색이 거의 없다. ●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서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 2022. 9. 20.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으로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맹독성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많은 양을 먹으면 체질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웃음독벗은갓버섯'이라는 별칭처럼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데 즐겁거나 불안한 상태, 갑작스런 웃음, 환각,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최근 연구에서 이 버섯에서 폐암 세포와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이 발견되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고사목 그루터기 주위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뿌리 주위에 뭉처서 발생한다. 2022. 09. 06. 서울 대모산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 2022. 9. 18.
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작은 버섯으로 표면은 평활하고 흡습성으로 분홍색, 홍자색, 연 보라색, 연한 자갈색 등 변화가 크고 가장자리는 연하다. 습할 때는 방사상으로 줄무늬가 나타난다.  봄에서 가을에 이르기까지 산림 내 낙엽 사이에 뭉쳐나며 자실체의 색에 의해 구분된다.    2022. 09. 06. 서울 대모산       ● 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갓은 2~5cm 크기의 소형으로 어릴 때는 종형, 곧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지며, 오래된 것은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다. 표면은 평활하고 흡습성으로 분홍색, 홍자색, 연 보라색, 연한 자갈색 등 변화가 크고 가장자리는 연하다. 습할 때는 방사상으로 줄무늬가 나타난다. 주름살은 허연색, 연한 홍색, 연한 자색, 연한 자갈색 등 .. 2022. 9. 18.
녹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aeruginosus 청도 이호우 시조 시인의 생가 부근, 기념 공원에서 만난 붉은갈색의 버섯, 색깔과는 달리 '녹색'미치광이버섯이란다. 살(자실체)이 녹색이라니 잘라 보거나 포자문을 받아 보았으면 획인할 수 있었을 터인데 그러지 못했다. 포도버섯과(끈적버섯과)의 독버섯으로 '풀빛벗은갓버섯'이라고도 하며, 맛은 대단히 쓰고 먹은 다음 중독을 일으킨다고 한다. 봄~가을에 고목이나 살아 있는 나무 밑둥 껍질에 무리지어 자라거니 뭉쳐 나며 목재를 부후시킨다. 청도 유천마을 ● 녹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aeruginosu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거의 편평형으로 된다. 표면은 녹색, 황색 자갈색 등인데 매끄럽거나 나중에 많은 인편이 생기고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2022. 9. 11.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갓 모습이나 넓고 두꺼운 주름살이 절구무당버섯R. nigricans)과 매우 비슷하지만, 상처 시 적색으로 변한 후 회색으로 변하지 않는 점으로 구별된다. 식용 가능한 절구무당버섯과 달리 독버섯이다. 아마톡신계열의 독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독 증상은 버섯 섭취 후 보통 10~12시간 정도에 갑자기 복통을 동반하며 오심, 구토, 출혈성 설사가 나타남. 버섯 섭취 후 3~4일이 경과 후 황달, 의식장애 등의 간부전증 징후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사망률이 상승한다. 2022. 08. 27. 서울 대모산 ●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서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지름 5-11.5㎝로 반구형에서 중앙 오목 편평형~깔때기형으로 전개된다. 갓 표면은 건조하고 다.. 2022. 9. 7.
잿빛가루광대버섯 Amanita griseofarinosa 이름 그대로 갓과 자루 표면에는 연한 회색 바탕에 잿빛 가루 물질과 솜 모양의 외피막 조각들이 촘촘하게 덮여 있다. 갓에는 각추상의 사마귀 반점도 생기지만 이내 없어진다. 비를 맞고 나면 이런 가루 물질들이 씻겨 나가 연한 회색의 매끈한 표면이 드러난다. 자루는 속이 꽉 차 있고 회색의 턱받이가 있지만 쉽게 탈락한다. 여름~가을에 참나무 등의 활엽수림의 땅에서 발생하는 광대버섯속의 독버섯이다. 2022. 08. 24. 서울 2023. 08. 17. 서울 ● 잿빛가루광대버섯 Amanita griseofarinos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6.5cm로 처음에 둥근 산 모양에서 거의 평평하게 펴진다. 표면에는 연한 회색 바탕에 회색-암회갈색의 분질물이 있고 솜 모양의 외피막 파편.. 2022. 8. 27.
관음깔때기버섯(관음흰우단버섯) Aspropaxillus septentrionalis(Leucopaxillus septentrionalis) 등산로변 커다란 신갈나무 주변 우거진 풀섶에 희끄무레한 거대한 버섯이 보인다. 처음 보는 버섯인데 갓 지름이 한 뼘이 넘을 정도로 커다랗다. 알아보니 '관음깔때기버섯', 또는 '관음흰우단버섯'이라 불리는 송이과의 버섯이다. 깔때기버섯속(Clitocybe)으로 분류되어 오던 것이 관음깔때기버섯속(Aspropaxillus)으로 분리되었고 흰우단버섯속(Leucopaxillu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그루터기, 땅에 묻힌 나무 위에 단생 또는 군생. 보기에도 먹음직스럽고 향기도 좋은 편인데 아쉽게도 독버섯이다. 2022. 07. 19. 서울 2022. 07. 13. 서울 ● 관음깔때기버섯 Aspropaxillus septentrionalis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관음깔때기버섯속 갓 크기 .. 2022. 7. 22.
뱀껍질광대버섯 Amanita spissacea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의 버섯.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섭취 시 설사, 구토, 복통 등을 보이며, 다량을 복용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그 원인 성분은 다양하며 콜린, 나에마톨린, 람프테롤 글리지신 등이 있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 뱀껍질광대버섯 Amanita spissace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12㎝로 어릴 때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파인다. 갓 표면은 잿빛 갈색이며 약간 섬유처럼 생겼고 어려서는 갓 표면에 고깔처럼 생긴 가루질의 작은 사마귀 돌기가 있다. 살은 흰색이고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거나 내린주름살로 촘촘하며 흰색이다. 버섯대는 길이 3~5cm, 굵기 4~7mm로 뿌리부근이 불룩하고 잿빛 갈색 비.. 2018. 9. 19.
개나리광대버섯 (알광대버섯아재비) Amanita subjunquillea 맹독성 버섯으로 '알광대버섯아재비'라고도 한다. 갓 전체는 황색이나 가운데는 황갈색이다. 식용 버섯인 노란달걀버섯과 꾀꼬리버섯으로 오인하여 식용하고 중독으로 사망에 이르는 사건이 종종 생긴다고 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 내 지상에 홀로 또는 흩어져 발생한다. 금대봉-대덕산 등산로 ● 개나리광대버섯 Amanita subjunquille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개나리광대버섯의 갓은 지름이 3~8cm 정도이며, 처음에는 원추형 또는 반구형이나 성장하면서 가운데가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습할 때 점성이 있고, 방사상의 섬유질이 나타나며, 연한 황색 또는 황토색이며, 종종 백색의 외피막 흔적이 남아 있다. 조직은 육질형이며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형이고 빽빽하며, 백색.. 2017. 8. 23.
독우산광대버섯 Amanita virosa 아마톡신계열의 독소를 함유하고 있어 2~3개만 먹어도 죽는 가장 치명적인 맹독성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학독버섯'. 비슷한 종인 흰알광대버섯(Amanita verna)은 자루에 흰색의 섬유상 비늘이 없이 밋밋하여 이 버섯과 구별된다. 금대봉-대덕산 등산로 주변 ● 독우산광대버섯 Amanita virosa ↘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6~15cm이고 원추형을 거쳐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볼록하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는 끈적거리며 백색이고 가운데는 홍갈색이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고 백색이며 약간 밀생한다. 자루의 길이는 14~24cm, 굵기는 1~2.3cm로 아래쪽이 부풀어 있고 백색의 대주머니가 있다. 턱받이 아랫부분에는 백색의 섬유상 비늘이 있고 턱받이는 백색의 막질이다... 2017. 8. 23.
노란대주름버섯(광비늘주름버섯) Agaricus praeclaresquamosus (Agaricus moelleri)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의 독버섯이다. '광비늘주름버섯'이라고도 한다. 속이 빈 대는 상처를 받으면 황갈색으로 변색되는 것도 있다. 턱받이는 크고 아래쪽에 부착한다. 흰 갓에 커피색의 무늬와 잔점들이 보이고, 분홍빛이 감도는 촘촘한 주름살이 짙은 흑갈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을 보여 준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혼합림 부식질이 많은 곳에서 발생한다. 2017. 08. 12. 금대봉-대덕산 능선 ● 노란대주름버섯 Agaricus praeclaresquamosus (Agaricus moelleri)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갓은 백색이고 얇다. 반구형이나 점차 평평해지고 갈라지며 중앙이 약간 봉긋하다. 갓 표면은 초코렛갈색에서 유백색 바탕에 회흑갈색의 가는인편이 형성된다. 떨어진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에서 분.. 2017. 8. 23.
부채버섯 Panellus stypticus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줄기나 그루터기 위에서 무리를 지어 겹쳐서 자란다. 북미의 부채버섯은 발광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버섯은 발광하지 않는다. 씹으면 매운 맛이 있으며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설사, 구토, 복통 등을 보이며 다량을 복용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그 원인 성분은 콜린, 나에마톨린, 람프테롤 글리지신 등이 있으며, 독소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2016. 10. 29. 봉화 ● 부채버섯 Panellus stypticus ↘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1~3cm이고 부채 모양 또는 신장형이며 마르면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리나 습기가 있을 때 원형으로 회복된다. 균모 표면은 마르고 황색, 계피색 또는 목재색이며 마지.. 2016. 11. 11.
나팔버섯(붉은나팔버섯) Gomphus floccosus => Turbinellus floccosus 처음엔 뿔피리 모양에서 점차 나팔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으로 된다. 중심부는 밑부분까지 뚫려 있으며 가장자리는 물결형으로 윗면은 등황~적황색이고 붉은갈색의 인편이 있다. 아랫면은 주름이 길게 내리고 황백색이며, 자루는 매우 짧다. 식용 버섯인 뿔나팔버섯과 달리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성이 있어 독버섯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끓이면 식용이 가능하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전나무 등 침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몇 개씩 다발로 발생한다. 2016. 07. 31. 가야산 ● 나팔버섯(붉은나팔버섯) Gomphus floccosus ↘ 나팔버섯목 나팔버섯과 나팔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10~20cm에 이르는데, 버섯갓은 지름 4~12cm이고 처음에 뿔피리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깊은 깔때기 또는 나팔 모양으로 변하며 가운.. 2016. 8. 2.
독우산광대버섯 Amanita virosa 북한명은 '학독버섯'으로 맹독성 버섯이다. 비슷한 흰알광대버섯은 자루에 흰색의 섬유상 비늘이 없이 밋밋한 점으로 구별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 혼합림 속의 땅 위에서 한 개씩 또는 무리를 지어 자란다. 무릉계곡 ● 독우산광대버섯 Amanita viros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자실체 전체가 흰색이고, 버섯갓은 지름 6∼15cm이다. 처음에는 원뿔 모양에서 종 모양으로 되고, 나중에 퍼져서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다. 갓 표면은 밋밋하고 습할 때는 끈적끈적하며 건조하면 광택을 낸다. 살은 흰색이고 맛도 냄새도 거의 없다. 주름은 흰색으로 떨어진 모양이며 자루 끝에 붙고 빽빽이 난다. 버섯대는 길이 8∼25cm, 굵기 1.0∼2.3mm이고 밑동은 약간 볼록하며 큰 주머니에 .. 2015. 9. 28.
아교뿔버섯 = 싸리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아교뿔버섯은 침엽수의 고사목, 쓰러진 나무, 그루터기 등에 홀로 또는 다발로 발생하는 붉은목이과의 황색 버섯이다. 사 산호 모양의 황색 버섯은 젤라틴질로 되어 있으며, 섭취 시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015. 09. 12.  무릉계곡       ●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  붉은목이과 아교뿔버섯속자실체의 높이는 2.5~5cm이고 산호 모양이며 전체가 선명한 등황색이다. 자실체의 끝은 분지하며 전체면에 자실층이 존재한다. 가지 끝은 작은 원추형으로 0.5~2mm이며 조직은 젤라틴질이다.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버섯으로 버섯을 섭취 후 수십분 내에 증상이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4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진다. 중독증상은 환각증상을 보이며, 다량을 복용한 경우 혼수, 경.. 2015.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