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나무1138

산가막살나무 열매 Viburnum wrightii 가막살나무에 비해 잎끝이 급한 점첨두로 길게 뾰족하다. 가막살나무가 황해도와 경기 이남에 주로 분포하는데 비해, 산가막살나무는 강원도 이북 백두대간에 주로 분포한다.    2017. 08. 27.  구룡령      ● 산가막살나무 Viburnum wrightii  ↗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높이 3m. 일년생가지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아원형 또는 넓은 거꿀달걀형이고 급한 점첨두, 원저 또는 넓은 예형이며 길이 8 ~ 14cm로, 양면에 샘이 있고 뒷면 맥 위와 맥의 겨드랑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차아상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6 ~ 20mm로 턱잎이 거의 없다.꽃차례는 1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이 5 ~ 10cm이고 꽃은 5 ~ 6월에 .. 2017. 9. 2.
쉬나무 Euodia daniellii 대모산 오르는 등산로 입구, 새싹이 나는 봄에 길가에 쪼란히 심어져 있는 이 나무들을 보고 고개를 갸웃거렸다.  7개의 작은잎이 달리는 깃꼴 잎 모양으로 물푸레나무인가 했는데 줄기와 수피가 물푸레나무와는 다르다. 몇 번을 살펴본 뒤에야 가까스로 쉬나무를 떠올릴 수 있었다. 그리고 7월이 되자 꽃봉오리를 단 모습을 마지막으로 가을에야 생각이 나서 살폈더니 열매가 달리는 나무가 하나도 없다. 모조로 수나무만 있었던 모양.  1년이 지나 다시 꽃을 살펴보니 역시 모든 나무들이 수꽃만 달고 있다.     2017. 07. 21.  서울           쉬나무 수피     ● 쉬나무 Euodia daniellii | Bee-bee Tree  ↘  운향목 운향과 쉬나무속 낙엽 활엽 소교목높이 7m. 일년생 가지는.. 2017. 7. 24.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cisa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의 관목으로 줄기와 잎에 방향유가 있다. 높이 2~3m로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와 하나의 수형을 이루며 목형과 변종 관계에 있다. 목형(var. cannabifolia)은 중국 원산으로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편이다. 순비기나무(V. rotundifolia)와 달리 작은잎 4-5장으로 된 겹잎이므로 구분된다. 영남과 경기도 산기슭 바위 지대에 자란다고 하는데 자생지가 흔치 않은 듯하다. 대구 달성 동촌 유원지 주변, 서울 은평 봉산, 서대문 안산 등. 2017. 07. 11. 수서동 좀목형 잎, 햇줄기 좀목형 수피 ●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cisa | Chinese Chaste-Tree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 낙엽 활엽 .. 2017. 7. 12.
미역줄나무 Tripterygium regelii 덩굴성 관목으로 산지의 응선부에 자생한다. 노박덩굴과 미역줄나무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열내에는 꽤 넓은 3개의 날개가 달려 있다. 속명 Tripterygium은 열매에 3개의 날개가 달린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2017. 06. 24.  대암산          ● 미역줄나무 Tripterygium regelii  | Regel's threewingnut  ↘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미역줄나무속 덩굴성 관목가지는 적갈색이고 옴같은 돌기가 밀생하며 일년생가지는 5줄의 능선이 있고 이년지는 흑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형이고 밝은 녹색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 원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15cm × 4~10cm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존재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1.5~.. 2017. 7. 2.
나도국수나무 열매 Neillia uekii 원추꽃차례를 보이는 국수나무와 달리 꽃과 열매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긴 꽃차례로 달리는 모습으로 확실히 구별된다. 열매에는 꽃받침의 샘털이 그대로 남아 있는 점으로 뚜렷한 특징을 이룬다.    2017. 06. 10.  남한산성          ● 나도국수나무 Neillia uekii  ↘  장미목 장미과 나도국수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높이 1 ~ 2m. 나무껍질은 황갈색이며 오래 되면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꼴이고 점첨두 아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5 ~ 8cm × 3.5 ~ 4.5cm로, 가장자리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 잎맥에 만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가지 끝에 10 ~ 25개가 달리며 총상꽃차례로 길이 4 ~ 9cm로 성모가 있고, 작은 꽃대는 밀모 또는 샘털이 있다. .. 2017. 6. 21.
배암나무 Viburnum koreanum 종소명 koreanum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 나라 특산종이다. 하지만 중국에는 장백산(백두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朝鲜荚蒾'(조선협미, '조선가막살나무'라는 뜻)이란 이름으로 중국식물지에 등록되어 있으며 일본 북부 지방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당나무 잎에 가막살나무 꽃이 핀 듯한 독특한 모습을 가진 것으로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에서만 만날 수 있는 희귀종이다.    2017. 06. 05.  설악산              ● 배암나무 Viburnum koreanum  ↘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낙엽 활역 관목높이가 2m에 달하고 속이 백색이며 일년생 가지는 갈색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위로 향하며 삼각상달걀모양이다. 윗부분의 .. 2017. 6. 15.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멍석딸기와 이름이 비슷하나 꽃 핀 모습이나 잔 가시가 빽빽하게 나 있는 모습이 많이 다르다. 곰딸기와 닮았지만 곰딸기처럼 줄기나 화경에 샘털이 없으며 정소엽이 거의 2배로 큰 곰딸기와 달리 작은잎 세 개의 크기가 비슷한 점 등으로 구별된다. 설악산 ●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덩굴성 관목 높이는 1m 정도이다. 줄기에 황갈색 또는 홍색의 침상 가시가 밀생하여 칙칙한 갈색으로 보이나 표면은 회색이다. 잎은 3출 깃꼴잎이고 어긋난다. 잎자루에 융털과 때로는 가시가 있다. 끝은 소엽이 가장 크고 잎 앞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뒷면은 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가지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 2017. 6. 15.
부게꽃나무 Acer ukurunduense 6월에 하늘을 향해 촛대처럼 달리는 꽃차례가 장관을 이루는 부게꽃나무. 국내에 자생하는 단풍나무속(Acer) 식물들 가운데 가장 긴 총상꽃차례를 가지고 있어 비슷한 종들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성숙한 잎 뒷면에 털이 없는 종을 청부게꽃나무(for. pilosum)라고 한다. 지리산, 소백산, 강원도 이북 의 높은 산 등 백두대간의 아고산대에 분포하고 있다. 설악산 ● 부게꽃나무 Acer ukurunduense ↘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소교목 높이가 14m에 달하고 나무껍질이 연한 갈색이며 일년생가지는 황색 또는 적색이고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상 달걀형이고 첨두, 심장저이며 5갈래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 8~14cm × 8~13cm로, 결각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잔.. 2017. 6. 15.
마가목 Sorbus commixta 꽃과 열매 설악산 서북 능선을 따라 마가목 하얀 꽃이 만발하고 있다. 햇볕이 잘 드는 따뜻한 곳에서는 꼬이 지고 열매가 달린 모습도 보인다. 마가목은 높은 산의 능선에 주로 자라는 장미과 마가목속의 소교목이다. 5~8월에 겹산방꽃차례로 흰 꽃을 피우고 가을에 적황색의 열매가 달린다. 당마가목 겨울눈은 털이 나고 점성이 없는 데 비해 마가목 겨울눈은 털이 없고 점성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또한 당마가목에 비해 작은잎의 수가 적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시아와 영국, 북유럽에 분포한다.     2017. 06. 05.  설악산           마가목 열매       ● 마가목 Sorbus commixta | mountain-ash  ↘  장미목 장미과 마가목속 소교목높이 6~8m. 나무껍질은 황갈색이며 일년.. 2017. 6. 15.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덤불조팝나무(S. miyabei)에 비해서 잎 뒷면과 열매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평안도~강원도까지 함경도를 제외한 백두대간을 따라 지리산까지 분포.    2017. 06. 04.           ●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높이가 1.5m에 달하며 가지는 능각이 있고 털이 없으며 자갈색이나, 일년생가지에는 연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으로, 첨두, 예저이고, 길이와 폭은 각 3 ~ 8cm× 3 ~ 4cm로, 중앙 이하에 단거치 또는 겹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는 길이가 5 ~ 10mm이고, 털이 없다.꽃은 5 ~ 6월경에 피고 새가지 끝에 달리는 겹편평꽃차례며 지름이 7 ~.. 2017. 6. 10.
산돌배(Pyrus ussuriensis), 취앙네( var. acidula) 열매 / 배나무속 자생종, 산돌배 변종 산돌배나무는 돌배나무(P. pyrifolia)에 비해 잎에 예리한 침상 톱니가 있으며, 색깔이 조금 진한 갈색으로 익는 돌배나무에 비해 산돌배나무는 노랗게 익으며 열매에 꽃받침이 떨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수많은 변종이 있다. 양구 ● 산돌배 Pyrus ussuriensis ↘ 장미목 장미과 배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상 원형으로, 원저이고, 길이는 5 ~ 10cm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2 ~ 5cm이고, 털이 없다. 꽃은 지름이 3 ~ 3.5cm이고, 5월에 백색으로 피며, 5 ~ 7개씩 편평꽃차례에.. 2017. 6. 9.
다래 암꽃 수꽃 Actinidia arguta 다래는 암수딴그루인 덩굴나무로 개다래와 쥐다래와 달리 잎에 윤채가 없고 꽃이 피는 시기에도 잎 색깔에 변화가 없다. 개다래나 쥐다래의 꽃밥이 황색인 데 비해 검은 빛에 가까운 점으로 쉽게 구별된다. 양구 다래 수나무 수꽃 다래 암나무 암꽃 ● 다래 Actinidia arguta ↘ 물레나물목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덩굴나무 줄기 길이 20m, 직경 15㎝. 줄기의 속은 갈색이며 계단모양이고 일년생가지에는 잔털이 있으며 껍질눈이 뚜렷하며 가지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원저 아심장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6-12cm, 나비 3.5-7cm이다. 표면은 녹색으로 광택이 나며 털이 없고 뒷면은 담녹색으로 맥 위에 연한 갈색 털이 있지만 곧 없어지며 .. 2017. 6. 9.
새머루 Vitis flexuosa, 꽃차례 까마귀머루(Vitis ficifolia var. sinuata)에 비해서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잎 뒷면은 잎맥 위와 겨드랑이에만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네팔, 동남아시아까지 널리 분포한다. 안면도 ● 새머루 Vitis flexuosa | Oriental Grape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 낙엽 활엽 덩굴나무 줄기는 길이 2~5m다. 가지는 가늘며, 능선이 있다. 잎은 홑잎, 덩굴손과 마주나고, 난상 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4~9cm, 폭 3~8cm, 밑이 심장형, 가장자리에 이모양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녹색이며, 잎맥 위와 겨드랑이에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5cm다. 꽃은 6~7월에 잎과 마주난 길이 4~9cm의 원추.. 2017. 6. 7.
수리딸기 열매 Rubus corchorifolius 삼각 모양의 달걀꼴 잎이 특징적인 수리딸기는 충청도 이남에 분포하며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안면도 ●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m. 뿌리에서 싹이 나와 군생하고, 가시가 있으며 일년생가지에 밀모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꼴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가 8 ~ 15cm로, 3출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 융털이 밀생한다. 잎자루 길이는 15 ~ 20mm이다. 꽃은 곁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지름 3cm로 백색이고 아래로 드리워진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 내외면과 씨방에 백색 융털이 밀생하며, 2월 ~ 3월에 개화한다. 꽃잎은 긴.. 2017. 6. 7.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수리딸기가 잘 익은 붉은 열매를 달고 있는데, 복분자딸기는 이제야 꽃봉오리를 달고 꽃잎을 하나 둘 열고 있다. 다른 딸기들에 비해 꽃이 늦게 피고 열매도 늦게 익는다. '동이를 뒤엎어 버리는 열매'라는 뜻을 가진 복분자(覆盆子)는 정력제의 대명사인 듯 알려져 있는 딸기 열매이다. 동의보감에도 "남자의 정력이 약하고 정(精)이 고갈된 것과 여자가 임신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간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기운을 도와 몸을 가뿐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낭설만은 아닌 듯하다. 황해도 해안과 충청도 이남에 자생하며, 여름을 지나며 붉어진 열매가 가을에 접어들 무렵 검게 익는다. 안면도 ●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높.. 2017.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