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1138 떡잎윤노리나무(떡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 윤노리나무의 변종으로 윤노리나무에 비해 잎자루가 짧은 것이 뚜렷한 특징이다. 도란형의 잎은 두껍고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점차 좁아지고, 열매는 12mm에 이를 정도로 크다. 제주도와 경남, 전남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2022. 05. 18. 제주도 ● 떡잎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 ↘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장미과 윤노리나무속 관목 해안가에 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 5m 정도로 자란다. 어린 가지와 잎자루에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뭉쳐난다. 도란형의 잎은 두껍고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점차 좁아진다. 잎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가 차차 없어진다. 꽃은 4~5월에 흰빛.. 2022. 6. 5.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라일락 꽃마냥 흔치 않은 보라색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꽃 향기도 아름답다. 그래서 서양인들은 Indian lilac이라고 부른다.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로 마을 민가 부근에 식재하거나 야생화되어 높이 15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원산지는 히말라야와 인도, 말레이반도이다. 근피와 열매는 약용한다. '구주목'이라고도 한다. 2022. 05. 19. 제주 ●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 Chinaberry-tree, Indian lilac ↘ 목련강 무환자나무목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속 교목 나무껍질은 세로로 잘게 갈라지며 어두운 갈색 또는 회흑색이다. 잎은 기수 2~3회 깃꼴겹잎으로 길이 80cm이며 가지 끝에 어긋나게 달린다. 작은.. 2022. 6. 3. 분단나무 Viburnum furcatum 5월 중순을 지나고 있는 한라산은 나비가 앉은 듯 분단나무 흰 꽃이 만개하고 있다.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커다란 흰 헛꽃 가운데에는 암술과 수술이 달린 별 모양의 작은 꽃들이 모여 있다.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으로 분류되어 왔던 관목 또는 소교목, 최근 산분꽃나무과로 분리되었다. 제주도에 널리 분포하지만 강원도 자병산과, 울릉도에도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잎 모양이나 꽃차례 형태가 조역우로 많이 심는 라나스덜꿩나무와 매우 닮았다. 2022. 05. 17. 제주도 ● 분단나무 Viburnum furcatum | Forked viburnum ↘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관목 높이는 3~5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별모양털이 .. 2022. 6. 3. 사스래나무(고채목) Betula ermanii, 암꽃과 수꽃 한라산 정상 부근의 사스래나무는 아직 핑이 나지 않은 구불구불한 가지에 수꽃을 늘어뜨린 채 어린 열매 모양의 암꽃이 달리고 있다. 어떤 나무는 암꽃이 거의 보이지 않고 수꽃만 보이고 또 어떤 나무는 암꽃들만 달린 가지들이 흔하게 보이기도 한다. 지리산 천왕봉과 한라산 정상 부근에 자라는 사스래나무 변종을 따로 '좀고채목'(var. saitoana)이라 하여 한반도 고유종으로 분류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사스래나무로 통합하여 이명 처리하고 있다. 좀고채목은 사스래나무에 비해 키가 작고 잎은 난형이며 길이 1~2.5cm이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지점이 거의 없는 점으로 사스래나무와 구별되었다. 사스래나무는 울릉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동북아시아에 두루 분포한다. 거제수나무에 비.. 2022. 6. 3. 한라산의 댕댕이나무 Lonicera caerulea 인동과 인동속의 관목으로 남한에서는 한라산, 설악산, 대암산 등지의 정상부에 덤불 모양으로 드물게 자란다. 북방계 식물로 해발 700~2,300m의 고산지대에 자생한다. 열매를 들쭉나무처럼 먹을 수 있어 '개들쭉나무'라고도 불리며 열매 크기, 잎 모양 등에서 변이가 심하여 '넓은잎댕댕이' '둥근잎댕댕이' 등 변종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기본종으로 통합 처리되었다. 열매를 먹을 수 있지만 덜 익으면 쓴 맛이 난다. 2022. 05. 17. 한라산 ● 댕댕이나무 Lonicera caerulea | Edible deepblue honeysuckle ↘ 산토끼목 인동과 인동속 관목 높이가 1.5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속은 충실하다. 작은 가지에는 털이 밀생한다. .. 2022. 6. 1. 구상나무 Abies koreana, 수꽃과 암꽃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의 정상부에서만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 상록 침엽수이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 미국 식물학자 윌슨에 의해 무단 반출되어 'Abies Koreana Wilson'이란 학명이 붙고 상업적으로 개발되어 유럽에서는 '한국전나무(Korean Fir)'로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급 크리스마스 트리로 각광받아왔다. 한마디로 생물 주권을 도난 당한 셈이다. 암수한그루로 5월에 솔방울같이 빨강, 노랑, 분홍, 자주등 다양한 색의 꽃이 피는데 구과의 색에 따라 푸른구상(f. chlorocarpa), 검은 것을 검은구상(f. nigrocarpa), 붉은 것을 붉은구상(f. rubrocarpa)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 안타깝게도 기후 변화에 따른 집단적인 고사 현상이 나타나며 분포지가 점차.. 2022. 5. 24.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진달래밭대피소에 가까워지자 섬매발톱나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대부분 꽃봉오리 상태인데 햇볕이 잘 드는 곳에는 꽃잎이 벌어진 모습도 보인다. 섬매발톱나무는 한라산 고유종으로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발톱나무에 비해 가시가 더 크고 잎과 열매가 작으며, 매자나무에 비해 생육 속도가 느린 편이다. ●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 Jejudo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가 크며 3출하고 길이 1-2cm이다. 잎은 새가지에서는 어긋나기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며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 2022. 5. 24.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개아그배나무(제주아그배나무)? 한라산 진달래밭대피소 가까운 곳에서 만난 아그배나무.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아고산대 숲 계곡 주변, 빛이 잘 드는 경사 지대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야광나무에 비해 결각이 있는 잎과 결각이 없는 잎이 함께 달리고 잎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므로 구별된다. 아무리 살펴도 결각이 있는 잎은 보이지 않고 잎 가장자리의 톱니도 야광나무처럼 잘아서 야광나무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야광나무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즉, 한라산에는 야광나무는 없고 아그배나무가 널리 자생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2022. 05. 17. 한라산 ●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 Three-lobe crabapple .. 2022. 5. 22. 한반도 고유종 천연기념물, 개느삼 Sophora koreensis 화단에 심어 가꾼 개느삼이 노란 꽃을 피웠다. 콩과 고삼속(Sophora)의 떨기나무이다. 함경남도 북청, 신흥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로 알려졌으나 근래에 남한 땅 강원도 양구에서 자생지가 확인된 한반도 고유종이다.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되어 있다. 맹아력이 강하여 낮은 산지 배수성이 양호한 사질양토 풀밭이나 잡목림에 땅속줄기를 통해 번식하여 무리를 이루어 자란다. 열매가 달리기는 하나 남한에서는 종자 결실이 잘 되지 않아 실생 번식은 어렵다고 한다. 2022. 04. 27. 서울 ● 개느삼 Sophora koreensis ↘ 콩목 콩과 고삼속 관목 전체 크기는 1m이며, 가지는 암갈색으로 털이 있고 뿌리줄기로 번식한다. 깃꼴겹잎의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은 13~27.. 2022. 4. 30.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 chinensis 오미자과 오미자속의 덩굴 나무로 우리나라 전역 산지에 분포하며 암꽃과 수꽃이 다른 개체에 달리는 암수딴그루이다. 호기성 식물이어서 뿌리가 땅 속 깊이 들어가지 않고 지하 3㎝ 내외에서 옆으로 자란다. 2022. 04. 26. 서울 대모산 ●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 chinensis | Schizandra, Magnolia Vine ↘ 붓순나무목 오미자과 오미자속 덩굴성 나무 뿌리는 천근성이다. 길이 6 ~ 9m. 나무껍질은 가늘며 드문 드문 분지하고 회갈색이 난다. 잎은 어긋나기로 또는 짧은가지에서는 속생하며 길이 7~10㎝,폭 3~5㎝로서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뒷면 맥 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모양톱니가.. 2022. 4. 30.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의 관목으로 비교적 높은 산지의 능선부에 자생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5~6월 경에 피는 앙증맞은 종 모양의 꽃이 아름답고 꽃이 진 자리에 열매가 익어 붉게 달리는 모습이 앵도처럼 보여 산앵도나무라 불린다. 같은 산앵도나무속의 정금나무는 가지 끝에 10여 개의 많은 꽃들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는 데 비해 산앵도나무는 2-4개의 적은 꽃이 달리며, 산앵도나무 열매가 붉게 익는 데 비해 정금나무 열매는 흑자색으로 익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6. 06. 04. 설악산 ●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 진달래목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m.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넓은 거꿀피침형.. 2019. 6. 3. 비목나무 월동 꽃눈 Lindera erythrocarpa 5월 초에 꽃을 가득 달고 있던 비목나무, 10월 말에 찾았을 때는 열매는 하나도 보이지 않고 월동 꽃눈만 잎겨드랑이에 주렁주렁 달았다. 8년 전 대이작도에서 이 꽃눈이 달린 나무를 발견하고 정체를 알지 못해 다른 나무가 아닐까 생각한 적도 있었다. 비목나무가 암수딴그루로 이 나무는 수나무임을 추정할 수 있다. 도감이나 백과사전 기재문에는 없는 내용이지만, 생강나무가 그러하듯 비목나무도 가을에 월동 꽃눈을 다는 것이 틀림없어 보인다. 2017. 10. 29. 안면도 ●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 Red-fruit spicebush ↘ 목련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 나무껍질은 황백색이며 노목의 나무껍질은 작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2017. 11. 7. 말채나무 Cornus walteri 층층나무과의 말채나무! 가늘고 길며 질긴 나뭇가지는 휘어져 말 채찍으로 쓰기 좋아서 말채나무라 부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마주나는 잎의 측맥이 4-5쌍인 점으로 6-8쌍인 곰의말채와 구별된다. 흑갈색 수피는 그물처럼 갈라지는데 회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지는 곰의말채와 다르다. 2017. 10. 09. 월악산 ● 말채나무 Cornus walteri | Walter Dogwood ↘ 산형화목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가 10m에 달하고 오래된 줄기는 감나무 나무껍질과 같이 그물처럼 갈라지며 흑갈색이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형 또는 원저이고 길이 5~14cm로, 표면에 복모가 약간 있.. 2017. 10. 26.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열매 산사나무는 잎이 깃꼴로 갈라지고 가지에 가시가 있으며 5월에 눈처럼 흰 꽃을 피우고 가을에 흰점이 있는 붉은 열매가 풍성하게 달리는 아름다운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나무이다. 경상북도 이북과 제주도에 자생하며 주로 경기도에 분포한다. 2017. 10. 15. 월악산 기슭 2024. 09. 22. 구리 동구릉 ●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 장미목 장미과 산사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줄기는 대부분 회색을 띠며 어린줄기에는 예리한 1~2cm 길이의 가시가 있다.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능상 달걀모양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 너비 4 ~ 7cm로서 5~9개의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 2017. 10. 25.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열매 담쟁이덩굴들이 마른 잎사귀를 달고 포도처럼 풍성한 열매를 달았다. 동해안에는 가을이 깊었다. 포도과 담쟁이덩굴속의 덩굴나무, 한국을 비롯해서 동아시아 지역이 자생지인데도 영명은 보스턴 아이비(Boston ivy)이다. 2017. 10. 09. 동해 ●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Boston ivy ↘ 갈매나무목 포도과 담쟁이덩굴속 덩굴나무 줄기는 덩굴손 잎과 마주나며, 갈라지고,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곁뿌리는 잔뿌리로 발달하여 천근성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점처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10cm × 10 ~ 20cm로,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2017. 10. 20. 이전 1 2 3 4 5 6 7 8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