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1138 말오줌때 꽃, 수피 Euscaphis japonica 말오줌때는 고추나무과의 남방계 나무로 생김새가 인동과의 딱총나무와 비슷하여 '나도딱총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많이 먹으면 오줌을 싼다고 하여 '말오줌대'라고도 한다. 작은 가지는 홍갈색이며 가지와 잎에서 악취가 난다. 울릉도의 대형 딱총나무인 말오줌나무와 수형이 비슷하여 이름도 비슷하지만 계통은 전혀 다른 나무이다.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 자생하며 베트남에까지 분포하는 종이다. 2017. 06. 01. 안면도 말오줌때 수피 ●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 노박덩굴목 고추나무과 말오줌때속 낙엽 활엽 관목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고 나무껍질은 녹갈색이며 둥글다. 가지를 꺾으면 악취가 난다. 잎은 마주나.. 2017. 6. 6. 산검양옻나무 Rhus sylvestris / 옻나무속(Rhus) 7종 주로 남부지방에 자라며, 옻나무에 비해 작은잎은 길이 7-12cm, 폭 2-4cm로 작고, 측맥은 간격이 5mm 이하로 좁다. 어릴 때 가지와 꽃차례에 황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검양옻나무는 눈비늘 외에는 어린 가지나 잎에 전혀 털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7. 06. 01. 안면도 수나무 수꽃 암나무 암꽃 ● 산검양옻나무 Rhus sylvestris | True Lac-quertree ↘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 옻나무속 소교목높이가 8m에 달하며 가지가 굵고 어릴 때는 잎 뒷면과 꽃차례에 황갈핵 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20-40cm로서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7-15개이며 엽병이 짧고 넓은 피침형 또는 좁고 긴 타원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2017. 6. 6. 물참대 Deutzia glabrata 말발도리와 아주 유사한 수국과 말발도리속의 관목이다. 말발도리의 잎이 별 모양의 털이 있어 다소 껄끄러운 질감이라면 물참대의 잎은 털이 없어 매끈한 편이다. 말발도리의 암술대가 긴 네모 모양이고 밑선반이 갈색빛을 띠는 데 비해 물참대의 암술대는 긴 세모 모양이고 밑선반이 녹색빛을 띤다. 2017. 05. 28. 소백산 ● 물참대 Deutzia glabrata ↘ 장미목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관목높이가 2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한다. 일년생가지는 붉은 빛이 돌며 늙은 가지의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흑회색으로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기로 길이 4 ~ 9cm , 폭 1 ~ 3(4)cm로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2017. 6. 2.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계곡이나 산기슭의 바위틈에 자라는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몽골, 러시아 근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물참대(D. glabrata)는 잎에 털이 없어 매끈한 느낌을 주며 꽃술이 녹색빛이 돌고, 말발도리는 잎에 별처럼 생긴 털들이 달려 다소 껄끄랍고 꽃술이 갈색빛이 도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7. 05. 18. 소백산 ●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 장미목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녹갈색 또는 녹색이며 성모가 있고 늙은 가지는 흑회색이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꼴, 달걀상 타원형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로서 길이(3)4 ~ 8cm, 폭3 ~ 3.5 cm이지만 맹아의 경우 길이가 10cm나 되.. 2017. 6. 2. 산개벚지나무 Prunus maximowiczii 산개벚지나무는 5~10개의 꽃이 모여 달리는 총상에 가까운 꽃차례에 잎 모양의 포가 오래도록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인 벚나무속의 교목이다. 깊은 산 햇빛이 잘 드는 능선부나 사면의 습한 적윤지 토양에서 자란다. 함백산 ● 산개벚지나무 Prunus maximowiczii | Miyama cherry ↘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교목 높이는 15m 정도이다. 나무껍질은 암회색으로 거칠며 가지가 퍼지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으며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짧은가지에서는 모여나기한다.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상 거꿀달걀모양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4-8cm, 폭 2-4cm로서 표면에 털이 산생하고 뒷면 맥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엽병은 길이 8-12mm로서 털이있다. 꽃은 4-5월에 잎.. 2017. 5. 24.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비목나무는 녹나무과의 교목으로 줄기의 수피가 흰빛이 감돌아 보얀목 또는 백목이라고도 불린다. 봄에 피는 노란 꽃은 아주 작지만 산형으로 뭉쳐달리는 달리는 모습이 아름답고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 또한 눈길을 붙들 정도로 아름답다. 충청 이남과 경기 서해안 지역에 흔히 분포한다. 태안 ●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 Red-fruit spicebush ↘ 목련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5m 내외, 지름 40cm. 나무껍질은 황백색이며 노목의 나무껍질은 작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일년생가지는 담황색이다. 어긋나기로 잎은 두껍고 타원형으로 3출맥과 깃모양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7 ~ 18cm, 넓이 3 ~ 5cm로.. 2017. 5. 12. 말오줌때 꽃망울, 수피 Euscaphis japonica 말오줌때는 고추나무과의 남방계 나무로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 자생하며 베트남에까지 분포하는 종이다. 많이 먹으면 오줌을 싼다고 하여 '말오줌대'라고도 한다. 작은 가지는 홍갈색이며 가지와 잎에서 악취가 난다. 한방에서 '야아춘(野鴉椿)'이라 하여 주로 부인과·운동계·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울릉도의 인동과 대형 딱총나무인 말오줌나무와 이름과 수형이 비슷하지만, 계통이 전혀 다른 나무이다. 태안 말오줌때 수피 ●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 Common Euscaphis ↘ 노박덩굴목 고추나무과 말오줌때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고 나무껍질은 녹갈색이며 둥글다. 가지를 꺾으면 악취가 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홀수 1회 깃.. 2017. 5. 12. 산검양옻나무 Rhus sylvestris 옻나무(T. vernicifluum)에 비해 남부지방에 자라며, 작은잎은 길이 7-12cm, 폭 2-4cm로 작고, 측맥은 간격이 5mm 이하로 좁다. 어릴 때 가지와 꽃차례에 황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열매는 핵과로 갈황색이고 편구형이며 지름 1cm 정도로 털이 없다. 검양옻나무Rhus succedanea)는 산검양옻나무와 비슷하지만 눈비늘 외에는 어린 가지나 잎에 전혀 털이 없으므로 구별된다. 높이가 13m에 달한다. 황해도, 강원도 이남 전라남도, 제주도에 분포한다. 태안 ● 산검양옻나무 Rhus sylvestris | True Lac-quertree ↘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 옻나무속 낙엽소교목 높이가 8m에 달하며 가지가 굵고 어릴 때는 잎 뒷면과 꽃차례에 황갈핵 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 2017. 5. 12.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비목나무는 녹나무과의 교목으로 줄기의 수피가 흰빛이 감돌아 '보얀목' 또는 '백목'이라고도 불린다. 봄에 피는 노란 꽃은 아주 작지만 산형으로 뭉쳐달리는 달리는 모습이 아름답고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 또한 눈길을 붙들 정도로 아름답다. 가야산 ●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 Red-fruit spicebush ↘ 목련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5m 내외, 지름 40cm. 나무껍질은 황백색이며 노목의 나무껍질은 작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일년생가지는 담황색이다. 어긋나기로 잎은 두껍고 타원형으로 3출맥과 깃모양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7 ~ 18cm, 넓이 3 ~ 5cm로서 잎표면은 윤채가 나고 뒷면은 회녹색이.. 2017. 5. 10. 가야산의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가야산 2016. 07. 31 가야산. 위와 같은 나무임 ●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암회색이며 가지는 회색이고 털이 없다. 일년생가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 2017. 5. 9.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꽃과 수피 아기처럼 작은 배 열매가 달리는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이름처럼 예전에는 배나무속(Pyrus)으로 분류되었지만 지금은 야광나무 등과 함께 사과나무속(Malus)으로 분류되고 있다. 결각이 진 잎과 결각이 지지 않은 잎이 함께 달리는데, 결각이 지는 점과 잎의 톱니가 보다 크고 날카.. 2017. 5. 9. 야광나무 Malus baccata 밤에도 밝을 정도로 크고 하얀 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야광나무라 부른다. 지름 3~4cm에 이를 정도로 꽃이 크다. 아그배나무에 비해 잎 가장자리 톱니가 아주 작고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가평 야광나무 수피 ● 야광나무 Malus baccata / 장미목 장미과 사과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6m. 가지.. 2017. 5. 6. 숫명다래나무 Lonicera coreana 흔히 햇가지의 털의 유무로 숫명다래나무와 길마가지나무를 구별한다. 특히 숫명다래나무는 잎 뒷면 주맥과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2~4mm)는 꽃자루(8~13mm)보다 짧은 점이 특징이라고 한다. 달마산에서 만난 이 나무는 가지에도 잎에도 꽃받침에도 모두 털이 보이지 않으니 길.. 2017. 4. 14.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사스레피나무는 차나무과의 관목으로 난대림 지대에서 가장 흔하게 만나는 상록수이다. 꽃다발에서 푸른 바탕을 장식하는 소재로 우리에게 친숙한 나무이다. 암수딴그루로 수수 종자처럼 작은 꽃이 땅을 향해 촘촘히 매달린다. 꽃의 절정기에 상록수림을 걸을 때 닭똥 같은 퀴퀴한 냄새.. 2017. 4. 13. 비술나무 수꽃 암꽃, 수피 Ulmus pumila 동강변에 비술나무가 꽃을 피웠다. 꽃이라고 하지만 아름다운 꽃잎은 없고 흰 수술 끝에 검붉은 꽃밥을 단 수술과 두 갈래로 갈라진 흰 암술이 한 묶음으로 달리는 수수한 모습이다. 느릅나무과의 비술나무는 개느릅나무라고도 불리며, 중부 이북 극동 시베리아에 분포하는 북방계 교목.. 2017. 4. 1. 이전 1 ··· 4 5 6 7 8 9 10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