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나무1138

팥배나무 열매 Sorbus alnifolia 열매가 팥을 닮고, 꽃 모양이 배나무를 닮아 팥배나무라 부르지만, 배나무속(Pyrus)이 아닌 마가목속(Sorbus)이다. 소교목으로 관목상을 보이는 경우도 많은데, 국생정에서는 아예 낙엽관목으로 기재하고 있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데 남도지방의 팥배나무 열매가 더 크고 열매의 새콤한 맛도 더 뚜렷하다. 해남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 Korean Mauntain Ash ↘ 장미목 장미과 마가목속 교목 높이 15m. 일년생가지에 껍질눈이 뚜렷하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동아는 홍색으로 광택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상 달걀꼴로, 끝은 넓은 점첨두이고, 원저로, 길이와 폭은 각 5 ~ 10cm× 3.5 ~ 7cm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거치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1 ~ .. 2016. 12. 11.
상동나무 꽃 Sageretia theezans 남해안 바닷가 산기슭에 자라는 갈매나무과의 낙엽 또는 반상록 떨기나무이다. 꽃은 늦가을(10-11월)에 피며 열매는 이듬해 4-5월에 익는다. 이삭꽃차례에 꽃자루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해남 ●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 줄기는 비스듬히 눕거나 다른 .. 2016. 12. 5.
가시오갈피 열매 Eleutherococcus senticosus 줄기 등 전체에 가는 가시가 밀생하는 점으로 가시가 거의 없는 오갈피나무와 구별된다. 자생지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였으나, 인삼보다 약효가 더 좋다는 약용식물로 알려지면서 자생지가 급격히 파괴되었다. 전국적으로 30여 곳의 자생지가 있으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두릅나무과의 .. 2016. 10. 30.
노박덩굴 열매 Celastrus orbiculatus 숲 가장자리나 숲길 주변이면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덩굴나무가 바로 노박덩굴이다. 다른 나무나 바위를 타고 오르는데, 햇빛을 좋아해서 숲속보다는 숲가에서 주로 자란다. 잎사귀 아래에서 모여 피는 황록색 꽃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가을에 화려하게 달리는 노란 .. 2016. 10. 30.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잎 진 뒤 수형과 열매 갈매나무속의 나무는 관목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갈매나무는 높이 5m에 이를 정도로 갈매나무속 다른 나무에 비해 커서 관목이라기보다는 소교목이라 하는 것이 맞는 게 아닌가 싶다.(국생정에는 관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태백 지역에서 만난 이 나무는 가지를 벋은 수형이 워낙 튼튼하고 커 보여서 야광나무인가 했는데, 가까이에서 살펴본 줄기와 열매를 확인하고서야 갈매나무임을 알게 되었다. 백석의 시 에서 노래한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표현에 어울리는 모습이다. 갈매나무는 강원도 이북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북방계 나무이다.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만들며 맹아력이 왕성한 관목이다. 2016. 10. 16. 태백 ●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 Davurian Buckthor.. 2016. 10. 30.
산사나무 열매 Crataegus pinnatifida 한탄강 주변 좀바위솔을 탐사한 뒤 강변을 따라 이동하는데 산사나무 열매가 종종 눈에 띈다. 강 언저리라 열매는 많지 않지만 가을 햇살에 아름다워 보여 담아 보았다.      2016. 10. 15. .한탄강          ●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 Hawthorn  ↘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낙엽활엽 소교목높이 6m. 줄기는 대부분 회색을 띠며 어린줄기에는 예리한 1~2cm 길이의 가시가 있다.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능상 달걀모양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 너비 4 ~ 7cm로서 5~9개의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열편은 흔히 주맥까지 갈라지고 양면의 주맥과 측맥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짙.. 2016. 10. 24.
꼬리진달래 열매, 겨울나기 꽃눈 Rhododendron micranthum 고산의 산등성이에서 만난 꼬리진달래는 내년 여름에 꽃을 피울 겨울나기 꽃눈이 이미 달렸고, 열매가 이미 익어 더러는 삭과가 활짝 벌어져 종자를 내 보낸 텅빈 씨방만 남았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5~8mm 정도의 크기이다. 괴산 ●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 Spike rosebay ↘ 진달래목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활엽 관목 높이 1~2m. 줄기는 잔털 또는 비늘조각이 있고 이년지는 갈색이 돌며 털이 있고 재부는 황록색이며 속은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도란상 타원형 또는 거꿀피침형이며 첨두 예형이고 길이 2~3.5cm로, 표면은 녹색이고 흰색 점이 있으며, 뒷면은 갈색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잎자루 길이는 1~5mm로 짧은 털과 비늘조각이 있다. 꽃은 6~.. 2016. 10. 18.
담쟁이덩굴 단풍과 열매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담쟁이덩굴은 줄기에 공기뿌리가 자라는데 흡착근(흡반)이 발달하여 담장이나 나무를 잘 타고 오른다.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덩굴나무이다. 정선 ●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Boston ivy ↘ 갈매나무목 포도과 담쟁이덩굴속 덩굴나무 길이 10m. 줄기는 덩굴손 잎과 마주나며, 갈라지고,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곁뿌리는 잔뿌리로 발달하여 천근성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점처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10cm × 10 ~ 20cm로,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 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자루의 잎은 3개의 소엽으로 된 겹잎으로 잎자루가 잎보다 길다. 꽃은 암수한꽃이며 .. 2016. 10. 14.
우리 민족의 전통 향신료, 초피나무 열매 Zanthoxylum piperitum 고향 집 마당가에 여러 그루 자라는 초피나무에 빨간 열매가 조랑조랑 달렸다. 고향에서는 '제피나무'라 불리지만 표준명은 초피나무. 잎과 열매가 모두 독특한 향기가 있어서 널리 향신료로 쓰여 왔고, 시골 집은 텃밭 가에 초피나무 한두 그루는 길렀다. 어린잎으로는 김치처럼 만들어 .. 2016. 9. 20.
까마귀머루 Vitis ficifolia var. sinuata 고향집 우물가 나무를 타고 오르며 무성한 덩굴 가지를 벋어 울타리를 이루었다. 창덕궁에서 보았던 대나무 울타리 '취병(翠屛)'을 떠올리게 하는데, 그보다 더 멋스런 친환경 자연 울타리 아니겠는가!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는 모습이 가새잎개머루와 닮았지만, 가새잎개머루에 비해 잎이 작고 갈라진 잎조각의 끝이 뾰족한 가새잎개머루와는 달리 잎조각의 끝이 대체로 둥글어 보이는 점으로 구별된다. 또한 꽃차례도 가새잎개머루가 취산꽃차례인 데 비해 까마귀머루는 포도처럼 원추꽃차례인 점으로도 구별된다. 합천 가회 원뿔꽃차례로 달린 열매 열매가 성숙하지 못한 꽃차례 ● 까마귀머루 Vitis ficifolia var. sinuata | Sinuate mulberry-leaf grapevine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 2016. 9. 8.
소사나무 열매, 수피 Carpinus turczaninowii 소사나무는 서어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중부 이남 바닷가 산기슭 암석이 많은 건조한 곳에 자란다. 회갈색 줄기는 굽이가 있고 생명력이 강하며 달걀 모양의 잎은 2~3cm 정도로 작아 분재로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서어나무의 한자 이름인 '서목(西木)'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서어나무보다 작게 자라 '소서목(小西木)'으로 불리다 소사나무가 되었다. 서어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으며,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으므로 구별된다.      2016. 08. 27.  위도                 ●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 Korean Hornbeam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관목 수피는 회갈색으로 잔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작은 가지.. 2016. 9. 8.
노간주나무 Juniperus rigida 어린 시절 '노숭나무'라 불렀던 노간주나무... 측백나무과 향나무속으로 향나무와 많이 닮았다. 향나무는 일부가 바늘잎인 데 비해 노간주나무는 잎 전체가 바늘잎으로 돌려 달린다. 메마른 양지 산기슭에서 하늘을 향해 곧게 자라는데, 긴 원뿔 모양의 수형은 늘씬하면서도 늠름하다. 줄기는 유연하면서도 질겨서 예전 농촌에서는 어린 노간주나무 줄기는 코뚜레 재료로, 중간 굵기의 줄기는 삼태기 손잡이테로, 굵은 줄기는 써레채로 이용되었다. 교목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실제로 산에서 만나는 노간주나무는 대개 2~3m 이내인 것이 대부분이다. 다만 강원도 정선 임계 골지리에는 350살 먹은 노간주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데, 키 8.4m에 둘레 360cm로 확실한 교목상을 모여 주고 있다. 향나무처럼 암수딴그루, 4~5.. 2016. 9. 8.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말오줌때는 고추나무과의 관목으로 말로줌때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인동과의 딱총나무나 말오줌나무를 닮아 '나도딱총나무'라는 딴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계통이 아주 다른 나무이다. 남부지방의 해안과 황해도에 이르는 서해안 지역에 분포한다. 부안 위도 ●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 Common Euscaphis / 노박덩굴목 고추나무과 말오줌때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고 나무껍질은 녹갈색이며 둥글다. 가지를 꺾으면 악취가 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홀수 1회 깃털겹잎이고, 소엽은 5 ~ 11개로 달걀형이고 점첨두 또는 원저이며, 길이와 폭은 각 4~8cm × 2~4cm로,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고, 뒷면 주맥 아랫부분에 흰색 털이있으며 잎자루 길.. 2016. 9. 7.
회목나무 Euonymus pauciflorus 회목나무는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회나무속(Euonymus) 중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나무이다. 가지에 사마귀 같은 점(돌기)이 나 있고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리는데, 한 꽃대에 달리는 꽃이 몇 개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붉은 갈색의 꽃은 납작하고 동글 동글한 네 개의 꽃잎 가운데에 암술 수술이 흔적처럼 붙어 있으며, 꽃줄기는 잎겨드랑이에서 잎 앞면의 중앙맥을 따라 실처럼 가늘게 자라나 꽃을 단다. 괴산 꽃과 열매 ● 회목나무 Euonymus pauciflorus ↘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의 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녹색이며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0cm, 폭 2-3cm로 긴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2016. 7. 18.
개박달나무 열매와 수피 Betula chinensis 개박달나무는 산지의 바위지대에 자라는 낙엽 교목이다.  박달나무(B. schmidtii)에 비해 잎은 작으며, 난형(또는 타원형)의 열매에 열매 자루가 거의 없다. 이는 열매가 긴 원통형이고 열매자루가 긴 박달나무와는 대조적인 특징이다. 물박달나무와 사스래나무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물박달나무는 열매자루가 길고 사스래나무는 열매자루가 거의 없는 점과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2016. 07. 09.  괴산         개박달나무 수피      ● 개박달나무 열매  Betula chinensis  ↘  너도밤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높이 10m쯤이다. 수피는 어두운 회색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져 조각조각 벗겨지고, 어린 가지는 털이 있고 붉은갈색을 띠며 가로로 흰색의 껍질눈이 있다. 어긋나게 달리.. 2016.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