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나무1138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꽃은 아름답지만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보랏빛으로 풍성하게 달리는 열매가 보석처럼 영롱하고 아름다워 조경수로 인기가 많다.  작살나무가 잎 전체에 톱니가 있고 잎끝이 꼬리 모양으로 길게 뾰족해지고 꽃차례가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데 비해, 좀작살나무는 잎 아래쪽에 톱니가 없고 잎 윗부분이 급히 뾰족해지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1-4mm 위쪽에 달리는 점에서 작살나무와 구별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7.  고양 서삼릉    2024. 07. 29.  서울   좀작살나무 열매     ●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 purple beautyberry, early amethyst  ↘  목.. 2024. 7. 19.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오랜만에 댕댕이덩굴을 관찰해 본다. 어린 시절 '댕기넝쿨'이라 부르며 덩굴풀로 여겼던 식물이다. 묶을 끈이 필요할 때 댕댕이덩굴 줄기를 찾으면 되었다.  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속의 덩굴성 반관목이다. 농경지나 숲가장자리에서 낫질을 잘 당하므로 해마다 새 줄기가 자라나는 모습은 초본에 가깝다. 보호되어 자라면 손가락 굵기 이상으로 목질화한 덩굴성 줄기가 형성된다. 암수딴그루로 열매가 달리는 그루가 있고 수꽃만 피우는 그루가 있다. 꽃은 작고 희미한 황백색으로 볼품없지만 가을에 포도송이처럼 군청색으로 조랑조랑 달리는 열매는 보석처럼 아름답다. 볕이 드는 땅,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하와이 등에도 분포한다.    2024. 06. 25.  서울  수꽃   암꽃     ● 댕.. 2024. 6. 30.
왕머루와 개머루 치악산둘레길에서 왕머루와 개머루를 만난다. 산길에서 만난 왕머루는 이미 열매가 영글어가는데 마을 앞에서 만난 개머루는 아직 꽃봉오리 상태로 꽃이 피는 시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왕머루 꽃은 5-6월에 피고, 개머루 꽃은 6-7월에 핀다. 꽃차례도 비교된다. 왕머루는 원뿔꽃차례인데 개머루는 취산꽃차례가 뚜렷하다. 개머루 새 줄기에는 털이 유난히 눈에 띈다. 털개머루(f. ciliata)로 보인다. 포도과의 두 종은 각각 머루속(Vitis), 개머루속(Ampelopsis)으로 속명이 다르다. 왕머루는 따서 먹기에 좋은 열매를 단다. 개머루는 보석처럼 아름다운 열매를 달지만 식용에 부적합하고, 전초는 약용으로 더 귀하게 쓰인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왕머루 Viti.. 2024. 6. 27.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싸리, 참싸리와 함께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종류의 싸리이다. 싸리와 참싸리에 비해 내음성이 강하다. 싸리, 참싸리는 잎 끝이 둥글거나 오목한데 비하여 조록싸리는 잎 끝이 뾰족하며, 싸리와 참사리에 비해 줄기가 다소 구불구불한 편이다.  흰 꽃이 피는 품종을 흰조록싸리(f. albiflora)라 한다.  삼색싸리(var. tricolor)는 백색의 기판과 자주색 익판 및 홍색 용골판이 특이하며 한국 진도에서 자란다.  전국의 산지, 숲 가장자리와 햇빛이 잘 드는 등산로 및 능선부 주변에서 흔하게 자란다. 일본 대마도와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 Korean lespedeza  ↘  목련강 .. 2024. 6. 27.
산겨릅나무(산청목, 벌나무) Acer tegmentosum, 열매 골짜기로 이어지는 둘레길, 어느 민가 에서 심어 놓은 듯 보이는 산겨릅나무를 만난다. 열매가 주렁주렁 늘어진 것을 보니 녹색빛이 도는 노란 꽃이 피었을 때의 장관이 그림처럼 선하게 떠오른다. 크고 시원스런 잎, 흰줄무늬가 있는 푸른 수피 또한 아름다운 나무다. 단풍나무속의 교목으로 산겨릅나무만이 가진 특징이다.  '산청목' '벌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목재는 기구재로, 나무껍질은 끈으로,  나뭇가지는 약재로 사용한다. 지리산 이북 고산지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지역 등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산겨릅나무 Acer tegmentosum | Manchurian striped maple  ↘  목련강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교목높이 1.. 2024. 6. 27.
줄딸기 Rubus oldhamii 둘레길 주변에 빨갛게 익어가는 줄딸기 열매가 지천이다. 사람들의 손을 거의 타지 않은 채로 있어 어린 시절 맛 보았던 산딸기나 멍석딸기 못지 않은 맛에 흠뻑 빠져 맘껏 따 먹을 수 있었다.  잎은 깃꼴이며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덩굴지어 자라므로 줄기가 덩굴지어 자라므로 '덩굴딸기' 또는 '덤불딸기'라고도 한다. 열매를 먹을 수 있다. 햇볕이 잘 드는 숲이나 들에 흔하게 자란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줄딸기 꽃 (2023. 04. 15.  내포문화숲길)     ● 줄딸기 Rubus oldhamii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덩굴성 관목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길이 2~3m,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7장으로 .. 2024. 6. 26.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작은 잎새를 초롱처럼 엮어서 매달아 놓은 듯한 독특한 이삭 열매가 독특한 매력으로 눈길을 끄는 나무. 서어나무과 열매의 공통된 특징이다. 암꽃 이삭(열매)은 원통형으로 다른 종에 비해 잎 모양의 과포가 빽빽하게 싸고 있어서 기다란 솔방울 모양을 만든다.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교목이다. 서어나무속 다른 종들에 비해 잎이 달걀형으로 크고 잎맥은 아주 또렷하게 도드라지고 가지런하며 16-22쌍으로 많다.  한국,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 cordata hornbeam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줄기 높이 15m, 지름 60cm이며 나무껍질은 회색으로서 거의 평활하고 세로로 갈.. 2024. 6. 26.
고양이 · 사자를 행복하게 하는,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잎이 하얗게 물들며 꽃을 피운 개다래나무! 수꽃이 먼저 피는 탓인지 수꽃만 보이고 암꽃으로 보이는 나무들은 아직 피지 않아 꽃봉오리인 상태이다. 다래나무속의 나무는 암수딴그루이다. 5월에 꽃이 피는 다래나 쥐다래에 비해 6~7월에 꽃이 피는데 이 시기에 잎의 앞면 상반부가 흰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개다래 열매는 맛이 햣바닥을 찌르는 듯하며 달지 않다. '말다래나무'라고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 silver vine, cat powder  ↘  목련강 차나무목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덩굴나무줄기 길이가 5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 있으며 간혹 가시 같은 억센 털이 있고.. 2024. 6. 25.
엷은잎고광나무 Philadelphus tenuifolius 오대산에서 만나는 고광나무는 잎이 비교적 좁고 잎끝이 뾰족한 편이다. 비에 젖은 꽃은 꽃잎과 암술은 흰데, 꽃밥과 화반만 노란색이다. 꽃잎이 넷이고 암술머리도 네 갈래가 또렷하다. 꽃잎이 5개인 말발도리속에 비해 꽃잎이 네 갈래로 크고 기품이 있다.  고광나무도 그간 10종을 꽤 복잡하게 분류해왔는데 지금은 암술대에 털이 있으면 고광나무, 털이 없으면 엷은잎고광나무 2종으로 통합처리되었는데 이 또한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 꽃은 암술대에 털이 없으니 엷은잎고광나무로 동정해 둔다.  우리나라 전역 산지 숲 가장자리나 계곡 주변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자생한다. 중국 전역, 러시아 서부에도 분포한다.    2024. 06. 08.  오대산      ● 고광나무 Philadelphus tenuifolius | .. 2024. 6. 19.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amurensis 비 내리는 오대산 계곡에서 만난 개회나무는 지리산 등 남부지방 계곡에서 소교목으로 높이 자라는 것에 비해 키가 낮은 떨기나무 모습이다. 아직은 꽃봉오리인 채 극히 일부에서 꽃잎이 열렸다.  개회나무는 털개회나무 등 꽃향기가 진하고 화려한 다른 수수꽃다리속에 비해 꽃이 희고 작아 수수하며 향기도 덜한 편이다. 화관이 짧고 수술이 화관밖으로 길게 나오는 점도 특징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중국 동부부에도 분포한다.     2024. 06. 08.  오대산    2024. 06. 15.  치악산      ●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amurensis  ↘  목련강 현삼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소교목높이 4 ~ 6m.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가로무늬가 있고, 가지는 퍼.. 2024. 6. 19.
'부부의 사랑 · 결혼', 꽃 향기 아름다운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봄에 피는 꽃 향기가 아주 아름답고 가을에 붉게 익는 작은 열매는 참 달다. 꽃말은 '부부의 사랑, 결혼'이라고 한다. 보리장나무 등 보리수나무속 다른 나무들이 가을에 꽃을 피우고 봄에 열매가 익는 데 비해 꽃이 봄에 피며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고 둥근 모양인 점으로 구분된다.  황해도 이남 숲 가장자리, 계곡 주변, 풀밭 등에 자라는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낙엽 관목이다. 영남지역에서는 '보리똥나무' '뽈똥나무', 제주에서는 볼레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4. 06. 07.  대관령      ●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 silverberry  ↘  목련강 프로티아목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낙엽관목줄기는 높이 3~5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가을.. 2024. 6. 16.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진한 향기를 날리며 가지 끝마다 4갈래 흰 꽃잎이 모여 달린 예쁜 꽃차례를 만들었다. 꽃잎 속에는 암술은 1개, 수술은 2개가 자리 잡았다. 산지에서는 하늘을 향해 가지를 힘차게 벋는 당당한 수형에 3m 내외의 훤칠한 키를 자랑하지만, 정원에서는 전지가위로 머리를 잘려 네모진 생울타리로 우리에게 더 익숙한 나무이다. 가을에 쥐똥처럼 조랑조랑 까맣게 달리는 열매는 약용한다. 어린 가지와 잎 아랫면 맥 위에 털이 난 것을 '털쥐똥나무'라 한다. 우리나라 전역 낮은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들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2024. 05. 31.  서울      ●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 border privet, Amur p.. 2024. 6. 2.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암꽃 감꽃 피는 계절이 되었다. 대모산엔 감나무속의 고욤나무가 흔하다. 큰 나무는 없고 어린 나무들이 대부분이다. 암수딴그루로 피는 꽃은 감나무 꽃에 비해 작고 꽃받침이 꽃잎에 바싹 달라붙어 있는 모양이다. 관찰한 것은 암나무의 암꽃이다.우리나라 중부 이남 산과 들, 민가 근처에서 야생하거나 재배한다.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 서아시아, 지중해 연안 유럽남동부 등에도 분포한다.     2024. 05. 27.  서울     ●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 date-plum, lilac persimmon  ↘  목련강 감나무목 감나무과 감나무속 줄기는 높이 5~15m, 어린가지에는 처음에 회색 털이 나지만 곧 떨어진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6~12cm, 폭 5~7cm, .. 2024. 5. 31.
인동(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덩굴줄기가 수많은 가지를 내며 담장이나 울타리를 타고 덮으며 흰색과 노란색 꽃이 조화를 이룬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향기도 은은하여 울타리 조경용으로 조성하면 안성맞춤이다. 꽃이 필 때는 흰색이지만 시들어 가면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특성으로 '금은화(金銀花)'라 부르기도 한다. 인동과 인동속 덩굴나무로 함경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예로부터 꽃이나 줄기를 약용으로 널리 이용해 왔다.    2024. 05. 27.  서울      ● 인동(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 Korean honeysuckle, golden-and-silver honeysuckle  ↘  목련강 국화아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인동속 덩굴나무줄기는 오른쪽으로 감겨 올라가며, 속이 비고, 길이 .. 2024. 5. 30.
털개회나무(정향나무) Syringa patula(Syringa pubescens subsp. patula) 산 정상부 바위지대로 들어서자 꽃향기부터 아름답게 다가오는 아름다운 수수꽃다리속 꽃나무, 우리나라와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이다.털개회나무에 비해 잔가지와 꽃차례에 털이 있고 잎은 아원형으로 주맥이 들어가는 점으로 오랫동안 구별되어 불려왔던 정향나무(Syringa patula var. kamibayashii)는 논란 끝에 털개회나무로 통합되며 이명 처리되었다. '미스킴라일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종이다. 이 영명은 주한미군으로 있던 엘윈 M. 메이더라는 군인이 북한산에서 발견하여 도우미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으로 기록되었고, 미국과 유럽 전역에 상업적으로 널리 유통되었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털개회나무 Syringa pubescens su.. 2024.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