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벼과 수크령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가을에 풍성하게 덜리는 꽃이삭들이 물결치는 모습이 아름답다. 메마른 양지쪽 길가에서 흔히 자라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뿌리를 깊이 내리며 공원에서 흔히 토양의 유실을 막는 지피식물로 심는다.    2006. 09. 16.  아차산               ●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 Chinese Pennisetum  /  벼과 수크령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높이 30~80cm이다. 뿌리줄기에서 질기고 억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위끝에 중축과 더불어 흰 털이 있다. 잎은 편평하고 질기며 길이 40~60cm, 폭 9~15mm로서 약간의 털이 있고, 중간쯤에서 아래로 늘어진다. 꽃은 8-9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원주형이고 길이.. 2006. 10. 3.
병아리방동사니 Cyperus flaccidus 방동사니속 식물 중에서 전초 높이 10cm 내외로 크기가 아주 작다. 우산방동사니와 비슷하지만 꽃싸개잎이 꽃차례보다 길고, 비늘조각이 넓은 난형이므로 구분된다.    2006. 11. 04  서울 탄천            ● 병아리방동사니 Cyperus flaccidus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풀저지대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옆으로 벌어지며 높이 3∼15cm이고 전체가 연한 녹색이다. 잎은 짧은 잎몸이 있으나 때로는 잎집으로 퇴화한다. 꽃은 8∼10월에 핀다. 포는 1개가 잎처럼 자라서 꽃이삭보다 다소 길어지고 꽃줄기와 연속하여 다소 선다. 가지는 3∼6개이고 작은이삭은 2∼6개가 가지 끝에 손바닥 모양으로 달리며 연한 녹색이고 12∼30개의 꽃이 달린다. 비늘조각은 다소 벌어.. 2006. 10. 3.
드렁방동사니 Cyperus globosus '드렁'이란 출처 불명의 말이 붙은 이름이 다소 낯설다. '논뚝방동사니'라고도 불리는 걸로 보아, '드렁'이 아니라 논두렁의 '두렁'이 붙은 말이 본래의 말이 아닌가 생각된다.  평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2006. 09. 16.  아차산           ● 드렁방동사니 Cyperus globosus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본이 모여나고 곧게 서며 가늘고 딱딱하다. 높이 20∼40cm이다. 잎은 나비 1∼2mm로 짙은 녹색이고 꽃줄기보다 짧으며 잎집은 짙은 구릿빛이 도는 갈색이다. 꽃은 8∼10월에 피고 포는 2∼4개로서 밑쪽의 것이 꽃이삭보다 길며, 꽃이삭은 우산 모양 또는 두상(頭狀)이다. 꽃이삭은 길이와 나비가 각각 3∼12cm이고 긴 가지는 길이가 8cm에.. 2006. 10. 3.
파대가리(큰송이방동사니) 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is 꽃자루 끝에 달린 하나의 꽃이삭이 파꽃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사초과 파대가리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처럼 보이는 3개의 포엽에 줄기 끝에서 꽃이삭을 받치고 있다.      2006. 10. 07.  서울     2006. 09. 16.  아차산        ● 파대가리 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is  /  사초목 사초과 파대가리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5-20cm이며 곧게 서고 줄기가 뻗으면서 마디에서 화경과 뿌리가 자라며 적자색 인편으로 덮이고 밑부분에서 잎이 자란다. 잎은 길이 5-8cm, 폭 2~3mm이며 엽초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 돈다. 꽃은 7~10월에 피고 화경끝에 두상화서가 1개 달리며 지름 7-10mm로서 소수가 배게 달리고 녹색이다. 포는 2-3개로.. 2006. 10. 3.
참새피 Paspalum thunbergii 벼과 참새피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차례에는 2~5개의 가지가 달리고 작은이삭이 한쪽에만 2~3줄로 조밀하게 달리며 작은이삭은 난형이고 털이 거의 없다. 잎에 털이 있는 점이 털물참새피와 비슷하지만 털물참새피는 포영에 짧은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  우리나라 전역 양지바른 풍밭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히말라야 등에 분포한다. 전초를 치질에 사용한다.      2006. 09. 26.  서울 아차산            ● 참새피 Paspalum thunbergii  /  벼목 벼과 참새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90cm이고 무더기로 나온다. 마디 ·잎집 및 잎에 희고 긴 털이 있다. 잎은 뿌리와 줄기에 달리고 나비 5∼8mm로 줄 모양이다. 열매가 피처럼 생겼으나 식용하지 않기 때문에 새가 먹을 만.. 2006. 10. 1.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벼과 주름조개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조개풀과 비슷하지만 줄기 윗부분에서 잎의 기부가 줄기를 싸지 않는 점에서 조개풀과 구별된다. 산지 반응달이나 응달에서 자라며 한국 및 유라시아의 온대·난대 및 열대에 널리 분포한다.   2006. 09. 10.             ●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  벼목 벼과 주름조개풀속의 여러해살이풀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갈라져서 높이 10∼30c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주름지고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수상꽃차례로 피고 길이 6∼12cm의 꽃이삭에 작은이삭이 밀착한다. 작은이삭은 길이 3mm 내외로서 대가 거의 없고 털이 있다.포영(작은이삭 밑에 난 한 .. 2006. 9. 27.
줄(줄풀) Zizania latifolia '줄풀'이라고도 한다. 하천이나 호수 주변에서 자라는 벼과의 습지 식물로 한국·일본·중국·시베리아 동부 등 동아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한다. 줄기와 땅속줄기를 식용하며, 가축먹이로 쓸 수 있다. 빈혈, 심장병, 이뇨제, 화상치료에 사용한다.     2006. 07. 15.            ● 줄 Zizania latifolia / 벼목 벼과 줄속의 여러해살이풀굵은 뿌리줄기가 진흙 속으로 뻗어가며 잎이 무더기로 나오고 높이 1∼2m이다. 잎은 길이 50∼100cm, 나비 2∼4cm이며 분홍색이고 밑이 좁아지며 주맥이 굵다. 잎혀는 막질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30∼50cm이고 갈라지는 곳에 털이 있다. 포영(작은이삭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없으며 호영(화본과 식물.. 2006. 9. 15.
개솔새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 개솔새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양지바르고 건조한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모여난다. 잎은 줄 모양이고 밖으로 휘어지며 길이 15∼40cm, 나비 3∼5mm이다. 잎혀는 길이 1∼3mm로 삼각형이고 털이 없다. 꽃은 9월에 총상꽃차례로 .. 2006. 9. 9.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i 이삭의 모양이 강아지 꼬리를 닮아서 강아지풀이라 한다. 학명은 "녹색빛이 나는 뻣뻣한 털을 가진 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줄기와 잎이 마르고 씨가 다 떨어지도록 이삭이 그대로 붙어 있다.  왕자의 노여움을 사 애꿎은 죽음을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어느 이발사에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져 오는데, 그래서인지 꽃말도 ‘노여움’이다. 가을강아지풀은 강아지풀에 비해 꽃(이삭)차례가 크고 휘어지며 소수가 밀생하지 않는다. 강아지풀에 비해 줄기잎의 아래가 좁아지며 제2포영은 작은이삭보다 2/3-3/4로 짧다.    2006. 09.  양재천         ●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i  /  화본목 벼과 강아지풀속 한해살이풀 키 50-140㎝이다. 줄기는 곧게 선다. 잎몸은 선상 피침형이고 연한 .. 2006. 9. 8.
금강아지풀 Setaria glauca 벼과 강아지풀속의 한해살이풀로, 작은이삭 밑부분의 억센 털이 녹색인 강아지풀과 달리 작은이삭 밑부분에 5개의 금빛 가시털이 모여나므로 이삭 전체가 금빛으로 보인다.     2006. 09. 02.  남한산성             ● 금강아지풀 Setaria glauca  /  벼목 벼과 강아지풀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20∼50cm이다. 대는 가늘고 길며 뭉쳐나고 밑동에서 약간 굽거나 곧게 선다.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위 끝에 잔털이 있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 10∼25cm, 나비 10m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집은 털이 없으며 윗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꽃은 8월에 피고 꽃이삭은 원통 모양이며 곧게 서고 길이 3∼10cm로 황금색이다. 작은가지이삭은 1개의 완전한 작은이삭과 불완전한 .. 2006. 9. 8.
수강아지풀 Setaria viridis var. gigantea 수강아지풀은 강아지풀의 교잡종이라 한다. 마치 조를 연상시키는 듯 줄기가 꼬챙이처럼 단단하고 잎이 넓으며, 이삭 또한 개꼬리처럼 길고 씨앗 알갱이도 굵어 보인다.     2006. 09. 02.  남한산성               ● 수강아지풀 Setaria viridis var. gigantea  /  벼목 벼과 강아지풀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20∼80cm이다. 잎은 줄 모양으로 납작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5∼20cm, 나비 5∼18mm이다. 잎몸은 강아지풀보다 더 넓고 잎혀는 1줄로 된 털로 이루어지며 잎집 가장자리에는 잔털이 난다. 꽃은 7∼8월에 강아지풀보다 더 큰 원기둥 모양의 원추꽃차례로 핀다. 꽃차례는 곧게 서거나 끝이 늘어지며 가운데축에 흰털이 빽빽이 난다. 작은이삭은 강아지풀보다 작고 밑동.. 2006. 9. 8.
푸른방동사니(나도방동사니) Cyperus nipponicus '나도방동사니'라 불리던 이름이 푸른방동사니로 바뀌었다. 방동사니속 종류 중에서는 꽃차례에 줄기가 거의 없고 작은이삭에 미세한 인편이 매우 조밀하게 달리는 특징이 있다. 방동사니대가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2006. 09. 01.  탄천      ● 나도방동사니 >Cyperus nipponicus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뿌리는 수염뿌리로 뭉쳐난다. 줄기는 세모지고 뭉쳐나며 곧게 서고 높이가 10∼30cm이다. 잎은 뿌리에서 나고 폭이 1∼2.5mm로서 좁은 줄 모양이고 길이가 꽃줄기보다 짧거나 길며 끝이 뾰족하고 부드러우며 연한 녹색이다. 긴 잎집이 있는데 갈색이며 때로 일부 적갈색을 띤다. 줄기 끝에 잎 같이 생긴 포가 2∼3개 달리고 그 중앙에 지름 1.5∼2.5cm.. 2006. 9. 3.
매자기 Scirpus maritimus => Bolboschoenus maritimus 하천이나 늪의 얕은 물에 자라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매자기는 고랭이속(Scirpus)에서 매자기속(Bolboschoenus)으로 분리되었다. 매자기속 식물은 땅속줄기가 길게 자라고 그 끝에 둥근 덩이줄기가 달리며, 잎몸이 잘 발달하는 특징을 가진다. 전 세계에 12종이 분포하며, 국내에는 3종이 있다. 큰매자기(B. fluviatilis)는 마디가 잎집 밖으로 나오며 꽃차례에 항상 대가 있고 포는 옆으로 퍼지지만, 새섬매자기(B. planiculmis)와 매자기(B. maritimus)는 마디가 잎집에 싸여 있고 꽃차례에 대가 있거나 없으며 가장 아래의 포는 위를 향한다. 큰매자기는 매자기와 새섬매자기와는 달리 잎이 줄기 중간 이상까지 달리며 수과 단면이 거의 정삼각형에 가깝고 세 면이 오목하며, 길쭉.. 2006. 7. 17.
바닷가에 자생하는 산조풀 / 산새풀속 자생 14종 강화도 바닷가 모래언덕에서 무성히 자란 산조풀 군락을 만난다. 이름 때문에 자생지가 산지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산조풀은 뜻밖에도 바닷가 모래언덕에서 더 많이 자생하고 있다.  산조풀은 벼과 산새풀속 여러해살이풀이다. 갯조풀(C. pseudophragmites)에 비해 화서 가지가 짧고 응축되어 곧추서는 점으로 구분된다.    2006. 07. 08.  강화도             ● 산조풀 Calamagrostis epigeios | Chee Reedgrass, Wood small reed  /  벼목 벼과 산새풀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60∼150cm이다. 짧은 땅속줄기로 번식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길이 20∼50cm, 나비 5∼12mm로서 표면이 거칠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혀는.. 2006. 7. 17.
갯그령 Elymus mollis ● 갯그령 Elymus mollis /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으며 줄기의 높이는 50∼100cm인데 윗부분은 꽃이삭과 함께 털이 있다. 잎은 줄 모양으로 어긋나고 밑동은 넓은 비늘에 싸여 있으며 분록색(粉綠色)이다. 잎의 길이는 20∼40cm, 나비는 7∼12mm로 털이 없고 표면은 .. 2006.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