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가는잎그늘사초 Carex humilis var. nana ● 가는잎그늘사초 Carex humilis var. nana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거나 안쪽으로 말리고 나비 0.5~1mm이며 줄기보다 길고 꽃이 진 뒤에 더 길어지며 기부의 엽초는 짙은 적갈색으로 섬유같이 갈라진다. 줄기는 총생하며 둔한 3각형으로 밋밋하고 잎 틈에 끼어 잘 보이지 않는다. 높.. 2008. 4. 7. 나도개피 Eriochloa villosa ↓ 남한산 ● 나도개피 Eriochloa villosa /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바소꼴로 끝이 점차 뾰족해지며 길이가 10∼15cm, 폭이 6∼10mm이고 다소 연하며 털이 많다. 잎혀는 길이가 0.5mm로.. 2008. 2. 10. 큰기름새 Spodiopogon sibiricus 큰기름새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볕이 잘 드는 숲 속이나 풀밭에서 자라며, 기름새(S. cotulifer)와 비슷하지만 꽃차례가 곧게 선 것이 다르다. 대모산 작은이삭은 자루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마주나고 길이 4.5∼5.5mm의 좁은 달걀 모양이며, 1개의 꽃이 들어 있고 밑 부분에 다발로 돋은 털.. 2008. 2. 10. 조릿대 꽃 Sasa borealis 지난 여름... 등산길에 우연히 눈에 띈 조릿대꽃, 봄에 핀다는 대꽃을 한여름에 만난다. 대나무는 일생에 한번 꽃을 피우고 죽는다는데 조릿대(산죽) 또한 그러한 것인지... 혹시나 싶어 주변을 샅샅이 살펴 보아도 꽃을 피운 것은 이 녀석밖에 없다. 귀한 녀석을 만났으니 괜스레 기분이 .. 2008. 2. 9. 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개수염은 곡정초과의 한해살이풀로 논밭의 습지에서 자란다. 비슷한 종으로는 흰개수염이 있다. ● 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 곡정초과의 한해살이풀 뿌리는 흰 수염뿌리이고 원줄기가 없으며 잎이 뭉쳐난다. 잎은 줄 모양인데 밑쪽의 것은 길이 6∼20cm, 나비 3∼4mm이며 끝이 뾰족하다. .. 2008. 2. 9. 바늘골 Eleocharis congesta 바늘골은 사초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늘처럼 가늘게 생긴 골풀이란 뜻이며 습지에서 자란다. ● 바늘골 Eleocharis congesta / 사초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뭉쳐나고 곧게 서며 높이가 5∼40cm이고 실처럼 가늘며 밝은 녹색이고 모가 난 줄이 있다. 잎은 퇴화하여 잎집 모양이고 줄기를 .. 2008. 2. 9. 방울고랭이 Scirpus wichurae / 고랭이속 자생종 구별하기 사초과 고랭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결실기에 꽃차례가 밑으로 처지는 점에서 잎겨드랑이에서도 꽃차례가 나오고, 결실기에도 꽃차례가 곧추서는 솔방울고랭이(Scirpus karuizawensis)와 구별된다. 금정산 ● 방울고랭이 Scirpus wichurae | Long pine-cone bulrush / 사초목 사초과 고랭이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가 짧다. 줄기는 빽빽이 나고 두꺼우며 마디가 5∼8개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 30∼40cm, 나비 5∼15mm이고 잎집은 길이 2∼10cm로서 줄기를 헐겁게 둘러싼다. 꽃은 8∼10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분화서(分花序)는 l∼4개이고 끝에 달린 것이 크며 옆에 달린 것은 작고 모두 몇 차례씩 갈라진다. 길이 .. 2008. 2. 9. 모기골 Bulbostylis barbata 악견산 정상 부근 물빠짐이 좋은 능선에서 만난 10cm 안팎의 키가 아주 작은 풀. 모기골로 보인다. 모기골은 실 같은 많은 줄기가 모여 포기를 이루고 수염뿌리가 나며 밑부분에만 줄기보다 잛은 잎이 달리는 사초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바다 가까운 양지 특히 바닷가 모래땅에 난다고 .. 2008. 2. 8. 애괭이사초 Carex laevissima 괭이사초와 산괭이사초는 소수마다 포가 있는데, 괭이사초는 포가 매우 길고 화서가 곧추서며 산괭이사초는 포가 침상으로 짧다. 애괭이사초는 맨 아래쪽 소수에 아주 짧은 포가 흔적처럼 달려 있거나 없다. 남한산성 ● 애괭이사초 Carex laevissima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5∼40cm이.. 2007. 12. 27. 2013년 기록종, 바위하늘지기 Fimbristylis hookeriana 바닷가 근처의 건조한 바위 위에 자라기 때문에 바위하늘지기라 명명되었다. 2013년에야 이름을 얻은 미기록종 사초이다. 그러니까 비록 그 실체를 몰랐지만 필자가 이 식물을 가장 먼저 발견하고 사진으로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2007. 10. 03. 선유도 바위하늘지기는 2013년 김종환, 김무열이 라는 논문을 식물분류학회지에 게재함으로써 공식화된 이름이다. 그 초록은 다음과 같다. 한국 미기록 종인 바위하늘지기(Fimbristylis hookeriana Boeckeler)를 전라남도 영광군과 전라북도 군산시 무녀도에서 발견하였다. 바위하늘지기는 식물체에 털이 없고, 소수가 매우 좁은 난형이며, 암술대가 길고, 인편이 탈락하지 않고 늦가을까지 숙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하늘지기는 식물체에 털이.. 2007. 10. 20. 갯방동사니 Cyperus polystachyos 방동사니대가리와 아주 닮은 모습인데, 논이 아인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방동사니속의 풀, 이름이 갯방동사니이다. 방동사니대가리에 비해 이삭이나 열매가 훨씬 뾰족해 보인다. 국생정에서는 한해살이풀이라 기록되어 있는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 2007. 10. 12. 암하늘지기 Fimbristylis squarrosa var. esquarrosa = 민하늘지기의 변종 암하늘지기는 하늘지기속의 한해살이풀로 민하늘지기(Fimbristylis squarrosa)의 변종(var. esquarrosa)이다. 수과의 표면이 밋밋하기 때문에 민하늘지기라고 하는데, 민하늘지기는 비늘조각 끝에 젖혀지는 까락이 있는 데 비하여 짧은 까락이 곧추서는 점으로 구별된다. (따라서 민하늘지기는 소.. 2007. 10. 12. 푸른방동사니(나도방동사니) Cyperus nipponicus 전국의 논두렁이나 풀밭의 습지에서 자라는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풀로 나도방동사니로 불리기도 한다. 양양 어느 습지 ● 푸른방동사니(나도방동사니) Cyperus nipponicus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모여나기하고 높이 10-30cm이며 연한 녹색이다. 잎은 폭 1-2.5mm로서 연한 녹색이.. 2007. 10. 12. 너도방동사니 Cyperus serotinus 개울가 습지에 자라는 방동사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줄기에서 싹이 나고 땅속줄기가 벋어 끝부분에 여러 개의 덩이줄기가 형성되어 다음해에 발생이 확산되기 때문에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2007. 09. 22. 양양 ● 너도방동사니 Cyperus serotinus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50-100cm이다. 땅속줄기가 길게 땅속을 뻗으며 끝에 작은 덩이줄기가 달렸다가 다음해에 싹이 트면 흔히 1개씩 서고 밑부분에 잎이 달린다. 잎은 폭 5-8mm로서 녹색이고 꽃대보다 짧으며 엽초는 길이 50-60cm, 폭 5-15mm로 연한 갈색이다. 8~10월에 개화한다. 화경 끝에서 5-8개의 대가 산형으로 퍼지며 어떤 것은 다시 갈라지고 높이와 .. 2007. 10. 12. 개피 Beckmannia syzigachne 개피는 벼과의 두해살이풀로 논둑이나 도랑 근처에서 자란다. 2007. 07. 22 강릉 경포호 ● 개피 Beckmannia syzigachne / 벼과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원기둥형으로 뭉쳐나고 곧게 선다. 높이는 30∼90cm로 다소 연하며 녹색이다. 잎은 넓은 줄 모양으로 길이는 6∼20cm, 나비는 5∼10mm이고, 끝이 뾰족하.. 2007. 8. 9.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