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줄 Zizania latifolia 전초와 꽃 줄은 연못이나 냇가 등 물가에서 자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서울 아차산 강릉 경포대 ● 줄 Zizania latifolia /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진흙 속으로 뻗어가며 잎이 무더기로 나오고 높이 1∼2m이다. 잎은 길이 50∼100cm, 나비 2∼4cm이며 분홍색이고 밑이 좁아지며 주맥이 굵다. .. 2007. 8. 8. 도깨비사초 Carex dickinsii 남한산 금정산 ● 도깨비사초 Carex dickinsii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며 꽃줄기는 딱딱하고 밋밋한데 윗부분이 약간 거칠다. 높이 20∼50cm이다. 잎은 나비 4∼8mm로 편평하고 가로맥이 있다. 잎몸은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약간 가늘어진다. 6∼7월에 꽃이 핀다. .. 2007. 8. 6.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꽃차례가 우산처럼 사방으로 퍼지고 잔디같이 생겨서 우산잔디라고 한다. 바닥을 기면서 자라지만 위로 60cm 내외까지도 뻗으며 줄기가 굵어지고 잎도 길어져 작은 갈대처럼 보인다. 주로 남부지역의 모래해안 후방에 분포하며 바닷가 민가 근처나 빈 땅에서도 나타난다.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 낙산사 근처까지의 바닷가에서 자라고, 전세계의 열대와 난대에 널리 분포한다. 2007. 07. 17 남한산 ●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 Cynodon dactylon / 벼과 우산잔디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15∼40cm이다. 비늘조각으로 덮인 뿌리줄기가 땅위로 벋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꽃줄기가 곧게 자란다. 잎은 연한 녹색이고 납작하거나 오그라들며 길이 약 8cm, 나.. 2007. 8. 5. 개보리 Elymus sibiricus 갯보리에 비해 포영이 짧으며, 호영의 절반에서 2/3 정도이므로 구별된다. 벼과 갯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북부지방에 자라며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방목지 목초로 기르는데 콩과의 풀과 섞어 심을 수 있으며 엔실리지용으로도 적당하다. 2007. 07. 14 대덕산 ● 개보리 Elymus sibiricus | Siberian Wild Rye, Rescue-grass, Prairie-grass / 화본목 벼과 갯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60∼100cm이다. 줄기가 빽빽이 나고 벋는줄기가 없다. 잎은 바소꼴이지만 약간 납작하고 길이 8∼20cm, 나비 약 1cm이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약 1mm이다. 꽃은 원추꽃차례로 6∼8월에 핀다. 꽃이삭은 녹색이고 길이 8∼15cm로 아래로 .. 2007. 7. 29.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2007. 06. 23. 남한산 ●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갈라져서 높이 10∼30c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주름지고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수상꽃차례로 피고 길이 6∼12cm의 꽃이삭에 작은이삭이 밀착한다. 작은이삭은 길이 3mm 내외로서 대가 거의 없고 털이 있다. 포영(苞潁:작은이삭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길이가 같지 않고 까락이 있다. 첫째작은꽃의 호영(護潁: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에 까락이 있고 둘째작은꽃의 호영에는 까락이 없으며 열매를 맺는다.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열매가 들어 있는 작은이삭은 옷에 잘 붙는.. 2007. 6. 29.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띠는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봄날 피지 않은 띠의 꽃이삭을 삘기(사투리로는 삐삐)라 하는데 여린 속살이 달아서 옛날 시골 아이들은 한 웅큼씩 삘기를 봅아들고 까서 먹기도 하였다. 대모산 2007. 06. 06 ● 띠 Imperata cylindrica var.. 2007. 6. 14. 도랭이피 남한산 2007. 05. 19 2007. 6. 1. 오대산새밥 Luzula odaesanesis 화피를 다문 채 꽃밥은 보이지 않고 3갈래의 암술머리만 내밀고 있는 꿩의밥속 식물. 처음엔 별꿩의밥인 줄 알고 담았는데, 집에 와서 자세히 살펴보니 취산꽃차례로 보이는 꽃차례에 꽃이 하나씩 달린 모양이다. 꿩의밥속에서 이런 특성을 가진 것은 오대산새밥... 2007. 05. 04. 대관령 ● 오대산새밥 Luzula odaesanesis / 골풀목 골풀과 꿩의밥속 여러해살이풀 줄기잎은 2-3장이고 길이는 6-15㎝,폭은 3-7㎜이다. 잎은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흰색의 털이 있다. 밑동의 잎은 모여 나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길이는 3-8㎝, 나비는 1-2.5㎝이다. 꽃대축은 5-11개의 작은 꽃대축으로 갈라지고, 작은 꽃대축은 다시 2-4개의 작은 꽃대축으로 나누어져 취산꽃차.. 2007. 5. 23. 참뚝사초/북사초, 털사초 2007. 05. 04 대관령 참뚝사초일까 북사초(지리사초)일까 참뚝사초(Carex schmidtii)는 금강산 이북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50~70cm 정도이고 잎의 너비는 2~4mm이다. 소수는 3-4개로서 서로 인접해 있으며 정소수 1-2개는 수꽃이고 길이 2-3㎝로서 선형이며 첫째 소수1-2개는 암꽃이고 원주형이며 첫째 것은 대가 약간 있고 길이 1-3㎝, 지름 3mm정도이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화경보다 짧고 밑부분이 터지며 자화영은 난상 피침형이고 짙은 흑갈색이며 길이 2.5mm정도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 뒷면에 1맥이 있다. 북사초(Carex augustinowiczii)는 지리산, 금강산, 양덕 및 함북의 깊은산 냇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잎은 연약, .. 2007. 5. 23. 산꿩의밥 Luzula multiflora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꿩의밥과 같은 속으로 구름꿩의밥, 별꿩의밥, 산새밥, 좀꿩의밥, 산꿩의밥이 더 있다. 산꿩의밥은 숲그늘에 살아서인지 꿩의밥과는 달리 식물체 전체가 날씬하다. 작은 가지를 쳐서 달린 꽃과 열매가 한눈에도 작아 보인다. 꿩의밥과 비슷하지만 두상화가 산형으로 달리는 것이 다르다. 2007. 04. 27 음성 ● 산꿩의밥 Luzula multiflora / 골풀과 꿩의밥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전체가 모여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이며 길이 6∼15cm, 나비 2∼5mm이다. 윗부분은 점점 좁아져 끝이 단단해지고, 가장자리는 다른 부분과 함께 길고 흰 털이 난다. 줄기에 달린 잎은 1∼2개로서 잎집.. 2007. 5. 7. 흰줄갈풀(흰갈풀) Phalaris arundinacea var. picta 흰줄갈풀은 벼과 갈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랼지바른 물가에서 잘 자란다. 갈풀의 변종으로 흰줄무늬가 있는 잎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2007. 06. 16. 서울 ● 흰줄갈풀 Phalaris arundinacea var. picta / 벼과 갈풀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70~180cm로 줄기는 곧게 서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은 길이 15~30cm이며 편평하고 털이 없다. 본종인 갈풀과 달리 잎에 흰색 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꽃은 6월에 자줏빛이 도는 연한 녹색으로 피며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작은가지에는 편평하고 끝이 뾰족한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어 있다. 포영(苞穎)은 길이가 거의 같고 막질이며 3개의 맥이 있다. 호영(護穎)은 달걀모양이며 까끄라기.. 2007. 4. 26. 그늘사초와 열매 그늘사초는 전국의 건조한 풀밭이나 산지의 숲 속에서 크게 포기를 이루며 흔하게 자란다. 성숙한 열매를 담았는데 깜부기병에 걸린 듯한 모습이다. 2007. 04. 14. 경남 합천 ● 그늘사초 Carex lanceolata /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꽃이 핀 다음 길게 자라며 폭 1.5-2mm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적갈색으로서 그물 비슷하게 갈라진다. 줄기는 세모지고 높이 10~40cm이다. 근경이 짧고 잎이 총생하며 밑부분에 흑갈색 섬유가 있다. 뿌리줄기가 없다.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이다. 4~6월에 개화한다. 소수(小穗)는 3-6개가 곧추서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곤봉상 선형이며 길이 1-1.5cm, 폭 1-2mm이다.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이며 .. 2007. 4. 22. 뚝새풀, 또는 독새풀 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 short awn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한해살이풀 둑새풀이라고도 한다. 논밭 같은 습지에서 무리지어 난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곧게 서고 높이가 2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가 5∼15cm, 폭이 1.5∼5mm이며 흰색이 도는 녹색이다. 잎혀는 반달 모양 또.. 2007. 4. 20. 쇠방동사니 Cyperus orthostachyus 쇠방동사니는 종자를 감싸는 인편(비늘조각)이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돌출되지 않는 점은 참방동사니와 닮았지만, 짙은 적갈색을 띠는 점으로 구별된다. 아차산 ● 쇠방동사니 Cyperus orthostachyus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다소 모여나기하며 세모지고 높이 20~.. 2006. 11. 19. 씨앗을 날리는 가을 띠풀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개울가에 솜털 보송보송한 버들개지 꽃이 피고 파릇파릇 찔레나무 새싹들이 돋아나는 봄, 아지랑이 피는 들 언덕, 찔레 싹도 훑고 뽀리뱅이도 캐서 담은 꼴망태를 멘 아이들은 양지바른 묏등 주변 언덕이나 논밭 언덕을 찾아나선다. 잔디보다 빨리 길다랗게 자란 파란 띠풀 무더기를 헤집으면 알이 통통하게 밴 늘씬한 삘기들이 반갑게 맞이한다. 부지런히 뽑아 한 손 가득 한 웅큼이 되면 절로 뿌듯해지는 마음... 아직 잎집에 싸여 있는 꽃 피지 않은 연초록 꽃이삭,그 말랑말랑한 속살을 벗겨서 입 안에 넣으면잘게 씹히는 섬유질, 혀에 닿는 그 부드러운 감촉,무엇이 이보다 달착지근하던가! 그 향수의 띠풀을이렇게 허옇게 꽃이 필 때에야 그 존재를 알아채고 대면한다. 봄의 언덕을 수차례 오르내렸건만앙증맞은 오색의 봄꽃들에 시.. 2006. 11. 18.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