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봄부터 늦가을까지 마을 주변 풀밭에서도 어쩌다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인데 환경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많은 듯, 이 버섯은 좀 어두운 색깔이다.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하는데, 어떤 도감에서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중독된 예가 있는 독버섯이라고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2024. 10. 16.  경기 구리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2024. 11. 3.
'프라이드 치킨',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갓 표면은 회색 또는 회갈색으로 매끈하고 마르면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굽는다. 살은 가운데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으며 탄력이 있다. 만가닥버섯과의 맛 좋은 식용 버섯이다. 식감이 치킨 비슷하다 하여 영명은 fried chicken mushroom이다.  여름~가을에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의 습한 땅에 홀로 또는 뭉쳐난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전 세계 온대~냉대지역에 분포한다.    2024. 10. 16.  경기 구리       2024. 10. 20.  서울     ●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 fried chicken mushroom, clustered domecap  ↘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만가닥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6~10cm로.. 2024. 11. 3.
비단그물버섯 Suillus luteus 표면은 암적갈색의 심한 점액 표피로 덮였다가 차차 색이 연해진다. 자루에 턱받이가 있고 턱받이 윗부분은 황색으로 미세한 알맹이가 있고 아랫분분은 흰색 또는 갈색의 반점과 얼룩이 있다. 북한 이름은 '진득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소나무숲 땅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잎갈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2024. 10. 16.  경기 구리          ● 비단그물버섯 Suillus luteus | slippery jack, sticky bun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5~15cm, 반구형이다가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돌출한다. 표면은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강한 끈적임이 있다. 끈적한 액이 .. 2024. 11. 2.
동심바늘버섯 Metuloidea murashkinskyi(Steccherinum murashkinskyi) 낙지에 아주 작은 폐곡선 형태로 발생한 자실체는 가운데 촘촘한 바늘 모양의 돌기로 가득한데 갓이 거의 보이지 않은 배착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동심바늘버섯은 반원형의 갓에 겹둥근무늬를 형성하고 바늘 모양의 자실체가 자리잡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 중국, 러시아, 러시아 극동지역, 슬로바키아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6.  경기 구리     ● 동심바늘버섯 Steccherinum murashkinskyi  ↘  구멍장이버섯목 바늘버섯과 바늘버섯속 반원형의 갓을 형성하고 윗면은 겹둥근 무늬가 있으며 섬모가 존재한다. 색은 황토색을 띤다. 자실층은 바늘 모양으로 길이는 4~6mm에 이른다. 균사체계는 이균사형으로 생식균사는 얇고 격막에 꺾쇠연결을 형성한다... 2024. 11. 2.
'숲속의 닭고기' 덕다리버섯 Laetiporus sulphureus '숲속의 암탉'이라는 영명으로 불리는 잎새버섯을 만나고 '숲속의 닭고기'라 불리는 덕다리버섯을 잇따라 만난다. 부채꼴 또는 반원형으로 겹쳐진 연한 주황색의 자실체, 뒷면은 선명한 노란색이다. 결이 있는 육질의 자실체는 닭고기를 연상시킨다. 건조하면 흰색이 되며 부서지기 쉽다.  영어 이름은 chicken-of-the-woods(숲속의 치킨), crab-of-the-woods(숲속의 게살), 북한 이름은 '살조개버섯'이다. 종명 sulphureus는 이 버섯의 색깔이 유황(sulphur)과 비슷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침엽수·활엽수의 생목 또는 고목의 그루터기 등에 붙어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할 수 있으며 날 것은 먹지 않는다.     2024. 10. 16.  경기 .. 2024. 11. 2.
'숲속의 암탉', 잎새버섯 Grifola frondosa 뜻밖에 잎새버섯을 만나 잠시 감동에 젖는다. 처음으로 만나보는 버섯, 갈참나무인가 싶은 아름드리 고목의 밑둥에 나뭇잎 모양의 자실체가 고불고불 겹겹이 뭉쳐서 갓 지름이 거의 한 자 가까이 되는 둥근 덩어리를 이루고 있다. 갓 표면은 연한 갈색인데 가장자리에는 진한 회갈색 띠무늬를 두르고 있다.  여름~가을 물참나무 등 활엽수 고목의 밑동에 난다.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미 등에 분포한다. 맛과 향기가 좋아 식용할 수 있다.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인공재배법이 개발되었다.    2024. 10. 16.  경기 구리      잎자루가 있는 잎 모양으로 보아 숙주는 갈참나무이거나 비슷한 물참나무(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잡종)인 듯하다.     ● 잎새버섯 Grifola frondosa | hen of th.. 2024. 11. 2.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꽃과 열매 비교적 넓게 펼쳐진 풀밭에 노란 꽃과 붉은 열매가 동시 패션을 보이고 있는 산뱀딸기를 만난다. 꽃받침 아래에 붙어 있는 부꽃받침잎이 꽃과 열매에 거의 가려지는 모습이어서 산뱀딸기로 판단된다. 붉은 열매 겉에는 작은 돌기가 발달하고 있다. 뱀딸기는 부꽃받침잎이 꽃과 꽃받침에 비해 매우 커서 마치 후광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장미과 뱀딸기속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야지에 자란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4. 10. 16.  경기 구리      ●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 false strawberry  ↘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장미과 뱀딸기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땅 위에 길게 뻗는다. 전체에 긴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2024. 11. 2.
애주름버섯=콩나물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갓은 중앙이 높은 편평형으로 회갈색~갈색(분홍색, 보라빛 분홍색인 경우도 있다)이며 변두리에 방사상의 줄무늬가 있다. 자루는 갓과 같은 색으로 밑동은 때때로 뿌리 모양을 띠면서 미세한 흰 균사가 피복된다. 종명 galericulata는 라틴어 '작은 모자'를 뜻하는 라틴어 galer''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북한에서는 '큰긴대줄갓버섯'이라 부른다.  여름~가을에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기타 활엽수의 부후목, 그루터기에 다발로 뭉쳐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할 수 있으나 산패한 듯한 냄새가 난다고 한다.    2024. 10. 13.  서울         ● 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 common bonnet, toque mycena, common my.. 2024. 11. 1.
아교고약버섯(아교버섯) Phlebia tremellosa(Merulius tremellosus), 배착형 아교버섯은 일반적으로 갓과 배착부가 함께 있는 반배착성 버섯으로 발생하는데 이 버섯들은 갓이 형성되지 않고 배착부만 있는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반원~선반 모양의 털이 난  흰 갓은 없고 주름살로 둘러싸인 얕고 불규칙한 구멍이 있는 아교질의 갈색-살구색의 자실체가 베이컨이나 가죽처럼 붙어 있는 모습이 이색적이다. 가을~초겨울에 썩은 나무, 그루터기, 살아 있는 나무의 나무껍질에 자란다. 식용하지 않는 버섯이다.     2024. 10. 13-21.  서울     2024. 10. 01.  서울     ● 아교버섯 Phlebia tremellosa | trembling Merulius, jelly rot  ↘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아교고약버섯속자실체는 반배착생, 선반-반원형의 균모를 길게 형성한다. .. 2024. 11. 1.
남천 Nandina domestica, 열매 고향집 울타리로 심은 남천, 꽃보다는 열매가 아름다운 식물이다. 가을에 붉게 물드는 잎과 열매의 아름다움으로 조경수로 사랑받고 있다. 중국 산동성과 귀주성 일대에 자생하는 매자나무과 남천속의 상록성 떨기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관목이지만 원산지에서는 직경이 10cm 이상 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심으며 중부 이북에서는 월동이 어렵다. 열매와 줄기는 약용한다.     2024. 10. 12.  합천가회      ● 남천 Nandina domestica | nandina, heavenly bamboo, sacred bamboo  ↘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남천속 줄기는 높이 2-3m,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3회 3출겹잎, 길이 30-50cm이다. 작은.. 2024. 11. 1.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같은 수크령이지만 서식지에 따라 다른 느낌이 든다. 서울 주변에서 만나는 수크령은 꽃밥과 다발털이 갈색-자색으로 비교적 화사한 느낌이 드는데, 고향 마을에서 만나는 수크령은 검은자색으로 어둡게 느껴진다.  수크령은 강아지풀보다는 훨씬 크지만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이 종은 다발털의 수가 많고 잔이삭과 같이 떨어지는 점에서, 거센털의 수가 비교적 적고 잔이삭이 떨어진 후에도 꽃차례에 거센털이 붙어 있는 강아지풀속과 구별된다.  벼과의 수크령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볕 잘 드는 산길 주변이나 숲가장자리에서 잘 자라며 식물체가 억세고 질기다. 아시아 온대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 dwarf founta.. 2024. 11. 1.
털새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새(A. hirta)에 비해 식물체에 털이 적고 전체 꽃차례의 작은가지는 가지에 밀착한다. 산지 햇빛이 잘 드는 건조한 땅에 자란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털새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새속 여러해살이풀 비늘잎으로 싸인 땅속줄기가 옆으로 짧게 벋고, 줄기는 곧게 선다. 줄기 높이는 50~120cm이며, 4~6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 입구에 털이 많다. 가장 아래의 잎들은 비늘모양이고 그 위쪽에 긴 잎몸을 가진 잎들이 달린다. 전체 꽃차례에는 원뿔모양으로 많은 가지가 달리며, 가지는 다시 갈라진다. 다시 갈라진 작은가지는 축에 밀착한다. 작은이삭은.. 2024. 10. 31.
파파야 닮은 포포나무 Asimina triloba, 열매 고향 마을에서 봄에 꽃을 본 포포나무에 통통한 열매가 달렸다. 수확철이 지난 듯한데 그대로 달려 있다. 아직 맛을 본 적이 없는 과일이라 속살의 모양과 그 맛이 궁금하기만 하다.   목련나무를 연상시키는 나무에 달린 자주색 꽃은 목련을 연상시키는데, 포포나무는 미국 동부가 원산지인 목련목 포포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9~10월에 익는 열매는 뚱뚱한 망고 모양으로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를 합친 듯한 맛이 난다고 한다. 포포(pawpaw)라는 이름은 스페인어로 파파야를 뜻하며, 열매가 파파야를 닮은 데서 유래한 것이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포포나무 Asimina triloba | pawpaw  ↘  목련목 포포나무과 포포나무속 낙엽활엽 소교목줄기 높이 11~14m까지 .. 2024. 10. 31.
산딸나무 Cornus kousa, 열매 황매평전 푸른 하늘 흰구름 아래 산딸나무 붉은 열매가 탐스럽게 달렸다. 봄날의 하얀 꽃잎도 아름답지만 가을날의 붉은 열매는 더욱 아름답다. 열매는 딸기처럼 생겼고 단 맛도 있어서 자연스레 산딸나무라 부르게 된 듯하다. 열매는 새들의 좋은 먹잇감이 된다.  층층나무속 소교목으로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의 조경수로 널리 이용한다. 경기도 이남 지역에 자생하며 중국,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동부, 뉴질랜드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산딸나무 Cornus kousa | kousa dogwood, Korean dogwood  ↘  목련강 장미아강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키는 10m에 달한다. 어린 가지는 갈색이다.. 2024. 10. 31.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열매 봄에 피는 꽃 향기가 아주 아름답고 가을에 붉게 익는 작은 열매는 참 달다. 꽃말은 '부부의 사랑, 결혼'이라고 한다. 보리장나무 등 보리수나무속 다른 나무들이 가을에 꽃을 피우고 봄에 열매가 익는 데 비해 꽃이 봄에 피며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고 둥근 모양인 점으로 구분된다.  황해도 이남 숲 가장자리, 계곡 주변, 풀밭 등에 자라는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낙엽 관목이다. 영남지역에서는 '보리똥나무' '뽈똥나무', 제주에서는 볼레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 silverberry  ↘  목련강 프로티아목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낙엽관목줄기는 높이 3~5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