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물상추 Pistia stratiotes 천남성과 믈상추속의 유일한 종으로 여러해살이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원산지는 뚜렷하지 않으며 아프리카 빅토리아호 근처 나일강에서 발견된 종으로 기록되었고, 열대-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며 관상용으로 도입되었던 것이 일부 야생화하여 살기도 한다. 전 세계 열대-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0. 27.  서울      ● 물상추 Pistia stratiotes | water cabbage, water lettuce, Nile cabbage, shellflower    ↘  백합강 종려아강 천남성목 천남성과 물상추속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뿌리는 깃털 모양으로 많이 나오고, 물속으로 처지며, 길이 50cm까지 자란다. 잎은 지름 6-30cm의 로제트 모양으로 난다. 잎자루는 매우 짧거나 대.. 2024. 11. 13.
양마(양삼,洋麻)=케나프(kenaf) Hibiscus cannabinus 야산 언덕에 조성된 작은 공원에 낯익은 아욱과 식물을 만난다. 십여 년 전 남춘천 김유정 생가 마을에서 보았던 양마(洋麻), 케나프이다. 닥풀 비슷하면서도 줄기가 튼튼하고 높고 곧게 자라는 모습이 전혀 다르다.  이름표에는 양삼이라 적혀 있다. 이 작물을 재배하는 사람들이 부르는 이름이다. '암바리삼'이나 '봄베이삼'이란 이름으로 더 알려진 식물이다. 전 세계 열대-난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0. 26.  서울      ● 양마(洋麻) Hibiscus cannabinus | kenaf, Deccan hemp, Java jute  ↘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5m이며 잔털이 있고 마디 사이에 갈고리 같은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 2024. 11. 13.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란 영명도 있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26.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oo.. 2024. 11. 13.
고깔갈색먹물버섯(고깔쥐눈물버섯) Coprinellus disseminatus 갓 지름 1cm 안팎 아주 작은 버섯들이 큰 무리를 이루며 발생하는 버섯이다. 갓 피어난 버섯은 흰색 또는 연한 노랑갈색을 띠다가 차츰 회갈색-검은색으로 퇴색한다. 갓 표면은 흰 털로 덮여 있고 전체에 뚜렷한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난다. 주름살은 흰색에서 암회색이 되며, 액화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여름~가을 고사목의 썩어가는 줄기,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아 주 많은 개체가 무리지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할 수 있으나 경제성이 없다.    2024. 10. 26.  서울        ● 고깔갈색먹물버섯 Coprinellus disseminatus | fairy inkcap, fairy bonnet, trooping crumble cap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2024. 11. 13.
꽃접시버섯 Melastiza chateri (?) 꽃접시버섯으로 알려진 버섯들이 들주발버섯이 발생한 한쪽으로, 야자매트 위에서 무리지어 만발한 붉은 꽃처럼 발생하였다. 검색하여 본 이미지들은 대부분 오렌지색으로 영명 또한 'orange cup'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이렇게 짙붉은색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오동정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털접시버섯과 꽃접시버섯속 버섯으로 가을~봄 숲속 축축한 모래질 땅에 무리지어 난다. 유럽, 북미, 러시아, 일본에 분포한다.    2024. 10. 26.  서울      ● 꽃접시버섯 Melastiza chateri | orange cup  ↘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꽃접시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0.5~2cm로 처음에는 접시형이었다가 편평해지며 나중엔 가장자리가 아래쪽으로 휘기도 한다. 표면 안쪽의 자실층.. 2024. 11. 13.
들주발버섯 Aleuria aurantia 골짜기 습한 길 위에 들주발버섯이 무리지어 발생하였다. 주발형 또는 접시형으로 크기는 2~6cm이며 자실체의 안쪽은 주황색에서 적갈색이고 바깥쪽은 옅은 주황색에 가루 같은 미세한 털로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종종 물결형이고 대는 없으며 살은 잘 부숴진다.  여름~가을 주로 숲 속 길 또는 토양 위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나 특별한 맛은 없으며 이용되지 않고 있다.     2024. 10. 26.  서울        ● 들주발버섯 Aleuria aurantia | orange peel fungus  ↘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들주발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2~5cm이며 주발 모양 또는 접시 모양이다. 주발의 안쪽은 밝은 주홍색 또는 주황색이고 바깥 면은 연.. 2024. 11. 13.
푸른손등버섯 Cyanosporus caesius(Postia caesius) 쌓아놓은 재목의 단면에 발생한 버섯으로 갓 표면에 푸른색 변색이 보이는 점으로 푸른손등버섯으로 추정된다. 기주가 활엽수로 보이는데 침엽수가 일반적이지만 활엽수에도 발생한다고 한다. 조직은 부드러운데 건조하면 무른 코르크질로 변한다. 성숙 후 자실체가 청색을 띠는 것은 포자 색깔 때문이다.  보통 침엽수, 드물게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용재에 발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러시아, 호주 등에 분포한다.     2024. 10. 26.  서울          ● 푸른손등버섯 Cyanosporus caesius | blue cheese polypore, conifer blue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는 폭 1~6cm 굵기 0.5~2cm, 두께 0.5~2cm로 반원형이면.. 2024. 11. 13.
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햇볕이 잘 들던 야산 능선길에 자줏빛에 가까운 꽃을 피우던 꽃향유, 세월이 흘러 참나무 등 활엽수가 숲을 이루면서 그늘 속에 핀 꽃향유는 꽃 색깔이 연한 푸른빛을 띠며 꽃송이도 잘아졌다. 환경에 적응하며 생명력을 잃지 않는 모습이 다행스럽다. 꽃향유는 향유에 비해 꽃차례가 크고 풍성하여 꽃이 화려하다.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 숲 가장자리와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무리 지어 자라며, 중국 동부 지역에도 분포한다. 전초는 약용하며, 향료로 이용한다.     2024. 10. 26.  서울      ● 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 Haizhou elsholtzia    ↘  목련강 국화아강 꿀풀목 꿀풀과 향유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60cm.. 2024. 11. 12.
외풀 Lindernia crustacea 예전에는 남부 지역이 아니면 보기 힘들었던 외풀이 서울의 볕 잘 드는 풀밭 언덕에 지천으로 자라고 있다. 열매가 참외와 비슷하여 외풀이라고 한다. 잎이 긴 논둑외풀에 비해 잎은 난형이며, 꽃은 연한 자주색이고, 꽃받침은 끝이 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현삼과 외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전라남도, 제주도 등 남부지방의 논이나 물가에서 자란다. 전 세계 열대, 아열대, 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나도고추풀', '풀고추'라고도 한다.     2024. 10. 27.  서울      ● 외풀 Lindernia crustacea | Malaysian false pimpernel, Brittle false pimpernel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밭둑외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누워 사.. 2024. 11. 12.
애주름버섯=콩나물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콩나물애주름버섯의 특징을 다 갖추었지만 갓 표면의 견고해 보이는 질감이나 진한 색깔이 좀 낯선 모습이다. 중앙이 높은 편평형 갓은 회갈색, 갈색, 분홍색 등으로 색깔이 다양한 편이며 변두리에 방사상의 줄무늬가 있다. 종명 galericulata는 라틴어 '작은 모자'를 뜻하는 라틴어 galer''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북한에서는 '큰긴대줄갓버섯'이라 부른다.  여름~가을에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기타 활엽수의 부후목, 그루터기에 다발로 뭉쳐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할 수 있으나 산패한 듯한 냄새가 난다고 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 common bonnet, toque mycena, c.. 2024. 11. 12.
귀느타리=노란귀느타리 Phyllotopsis nidulans 귀느타리다 싶으면서도 아래쪽 주름살이 혓바닥처럼 길어 보이는 모습이 좀 낯설다. 늦가을 고목 위에 노란색(마르면 황백색) 조개껍질형으로 중첩하여 자라는 버섯이다. 갓 가장자리는 아래로 강하게 말려 있고 표면은 거친 털로 덮혀 있다. 살은 부드럽고도 질기며 불쾌한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오렌지색이고 포자문은 담홍색이다.  느타리과인 느타리와 달리 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노란귀느타리'라고도 하며, 북한 이름은 '노란털느타리버섯'이다. 늦가을 활엽수 줄기나 가지에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러시아 중부, 북중미, 유럽에 널리 분포한다. 유럽에서는 식용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귀느타리 Phyllotopsis nidulans | mock oyster, orange oys.. 2024. 11. 12.
금빛소나무비늘버섯 Hymenochaete xernantica 갓은 반원형~조개껍질상으로 얇고 유연한 가죽질로 겹쳐서 나며, 표면은 황갈색~갈색인데 가장자리는 노란색이고 자실층은 황갈색 관공형이다.  시루뻔버섯속 '금빛시루뻔버섯'(Inonotus xeranticus)에서 진흙버섯속 '금빛진흙버섯'(Phellinus xeranticus)으로 바뀌어 불려왔는데 최근 다시 소나무비늘버섯속으로 바뀌었다.  연중 활엽수의 고목이나 그루터기 등에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연해주에 분포한다.     2024. 10. 16.  경기 구리    2024. 10. 23.  경기 구리     2024. 10. 02.  경기 구리     ● 금빛소나무비늘버섯 Hymenochaete xernantica  ↘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소나무비늘버섯속갓은 지름 3~10cm, 두.. 2024. 11. 11.
나팔버섯 Turbinellus floccosus(Gomphus floccosus) 갓이 붉은색 계통이어서 '붉은나팔버섯'이라 불리기도 한다. 나팔이나 깔때기 모양의 자실체 윗면은 등황색~적황색을 띠고 대의 기부까지 뚫려 있으며, 자실층은 내린 거짓주름형으로 노란색을 띤다.  침엽수와 공생관계에 있으며 여름~가을 전나무 등 침엽수림 또는 혼합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다발로 발생한다. 독버섯으로 분류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나팔버섯 Turbinellus floccosus | scaly vase, woolly chanterelle  ↘  주름버섯강 나팔버섯목 나팔버섯과 나팔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10~15cm, 지름은 4~12cm이다. 어린시기의 자실체는 뿔피리 모양이나 점차 깔때기형에서 나팔형이 된다. 중심부는 자루의 기부까지 뚫려 있다. 갓 .. 2024. 11. 11.
나이테가 있는,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자실체 속이 꽉 찬 점으로 방콩버섯(Daldinia verunicosa)이 아닌 콩버섯이다. 애기콩버섯(daldinia childiae)은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자실체는 지름은 1~3cm 반구형~콩모양으로 표면은 울퉁불퉁하며 갈색~적갈색에서 흑색이 된다.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 목탄 같은 검은색의 동심원 무늬가 나타나는데, 나이테로 1년에 1개씩 만들어진다. 이 버섯은 나이테가 무려 10개나 되니 10년 묵은 콩버섯이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불가능하다. 검게 목탄화한 것은 불을 붙이는 부싯깃으로 유용하다고 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 Ki.. 2024. 11. 11.
동심바늘버섯 Metuloidea murashkinskyi(Steccherinum murashkinskyi) 일주일 전에 낙지에 배착성으로 발생한 동심바늘버섯을 만났는데 이번에는 갓이 겹겹이 자라난 동심구멍버섯을 만난다. 반원형의 갓에 겹둥근무늬를 형성하고 아랫면에는 바늘 모양의 자실체가 촘촘히 자리잡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 중국, 러시아, 러시아 극동지역, 슬로바키아 등에 분포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동심바늘버섯 Steccherinum murashkinskyi  ↘  구멍장이버섯목 바늘버섯과 바늘버섯속 반원형의 갓을 형성하고 윗면은 겹둥근 무늬가 있으며 섬모가 존재한다. 색은 황토색을 띤다. 자실층은 바늘 모양으로 길이는 4~6mm에 이른다. 균사체계는 이균사형으로 생식균사는 얇고 격막에 꺾쇠연결을 형성한다. 골격균사는 두터운 균사.. 2024.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