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작나무과59

사스래나무(좀고채목) Betula ermanii 사스래나무는 자작나무과의 나무로 추위와 건조, 바람에도 강하여 높은 산 정상 부근에서도 자란다.  사스래나무 중에서도 한라산이나 지리산 정상 부근에 자라는 잎이 작은 나무를 좀고채목이라 하는데, 현재는 사스래나무로 통합되었다.    2015. 06. 28.  한라산 영실           ●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 ermans birch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이명: 쇠고채목, 고채목, 새수리나무, 큰사스래피나무, 긴고채목, 좀고채목, 가새사시나무, 묏거자수, 가새사스래, 왕사스래높이 7∼8m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거나 갈색이며 종잇장처림 벗겨져서 오랫동안 남아 있다. 작은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며 기름샘(脂點)과 둥근 피목이 있다. 잎.. 2015. 7. 14.
서어나무 수피, 열매 서나무라고도 하며 나무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서쪽에 있는 나무라는 뜻으로 추측된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흔하게 발견된다. 서어나무는 표고버섯 재배용 골목으로 사용하지만 참나무에 비해 생산량이 적으며 땔감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모양새가 비슷한 나무의 종류는 .. 2015. 6. 21.
까치박달나무 열매이삭 Carpinus cordata 설악산 ●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 cordata hornbeam, Heartleaf Hornbeam /자작나무과의 낙엽 교목 높이 15m, 지름 60cm이며 나무껍질은 잿빛으로서 거의 평활하고 세로로 갈라진다. 햇가지는 회색, 또는 어두운 회갈색으로 털이 있으나 점차 사라진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 심장저이고 .. 2015. 6. 21.
자작나무속(Betula) 자생종, 검색표 ● 자작나무속(Betula) 자생종 만주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Sukaczev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 Hara 백두산자작나무 Betula ovalifolia Rupr. 좀자작나무 Betula fruticosa Pall. 거제수나무 Betula costata Trautv. 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Regel 개박달나무 Betula chinensis Maxim.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P.. 2015. 1. 21.
병물개암나무(Corylus sieboldiana var. brevirostris) 홍릉수목원, 장산곶에서 온 병물개암나무가 열매를 달았다. 뿔 모양으로 생긴 포가 딱딱한 열매를 감싸고 있는 모양이 참개암나무(Corylus sieboldiana )의 변종임을 나타내고 있다. 열매 윗부분이 드러나는 개암나무와는 뚜렷이 다른 특징이다. 좀개암나무라 부르기도 하며, 북한에서는 병뿔.. 2012. 9. 8.
몰오리나무(물갬나무) Alnus hirsuta 한때는 물갬나무(Alnus hirsuta var. sibirica)는 물오리나무(Alnus hirsuta)의 변종으로 구분하였는데 지금은 물갬나무가 물오리나무로 통합되었다. 물오리나무는 잎밑이 둥근데 물갬나무는 얕은 심장저를 보이고, 물갬나무 수피가 세로로 갈라지는데 비해 물오리나무는 갈라지지 않는다. 지리산 ●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교목 높이는 20m에 달하고 나무 껍질은 검은빛이 도는 짙은 갈색이고 회색의 피목이 있다. 어린 가지는 털이 빽빽이 있고, 겨울눈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의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6∼14cm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5∼8개로 얕게 갈라지고 톱니가 있으며,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맥.. 2012. 6. 29.
개암나무 꽃, 개암나무 이야기 개암나무는 전국의 산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자작나무과의 관목이다. 가을에 은행알처럼 달리는 열매의 고소한 맛(영어로는 헤이즐넛)이 매력을 끄는 나무이다. 당연히 이 개암나무에도 꽃이 핀다. 그러나 꽃잎을 갖춘 꽃이 아니다. 이른 봄인 3월, 아직 잎이 나오기 전에 한 가지에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수꽃은 지난해에 만들어진 가지에서 지렁이처럼 밑으로 처진 꽃차례로 월동하며, 암꽃은 가지 끝에서 겨울눈처럼 성숙하며 이른 봄에 말미잘 촉수 같은 빨간 암술이 꽃싸개를 뚫고 밖으로 내민다. 개암나무 암꽃과 수꽃 가을 야산에서 익어가는 개암 열매는 옛날 시골 아이들의 군것질거리가 되기도 했다. 포잎에 싸여 있는 딱딱한 열매의 모양은 은행 씨앗과 빼닮았다. 이 딱딱한 열매를 깨물면 딱- 소리와 함께 겉껍질이 .. 2012. 4. 11.
까치박달(Carpinus cordata) 열매 까치박달은 자작나무과의 큰키나무이다. 까치박달의 열매이삭은 길이 6~8cm, 폭 4.5cm 정도의 원통형이다. 잎 모양의 포는 양쪽에 톱니가 있고 길이 15~20mm로 달걀형이며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밑부분에는 5맥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많다. 소견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3~4mm로서 털이 .. 2011. 7. 1.
병개암나무, 아벨라나개암나무 홍릉수목원에서 만난 제주도산 병개암나무는 암꽃이 제법 성숙하였는데, 서양개암나무인 아벨라나개암나무는 아직 덜 핀 모습이다. ■ 병개암나무 Corylus hallaisanensis 한국 특산종으로 한라산에서 자라는 병개암나무는 참개암나무와 비슷하지만 포가 관상으로 길게 발달하지 않는 것이 다르다. 포 비늘이 열매를 둘러싸서 병 모양이 되어서 병개암나무라 부른다.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수꽃은 지난해에 만들어진 가지에서 지렁이처럼 밑으로 처진 꽃차례로 피며, 암꽃은 가지 끝에서 겨울눈처럼 성숙하며 빨간 암술이 꽃싸개를 뚫고 밖으로 내민다. ● 병개암나무 Corylus hallaisanensis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높이가 3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3-1.. 2011. 4. 4.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고향의 산에서 만난 줄기가 단단해 보이는 나무! 흔히 보던 서어나무에 비해 수피가 깨끗하고 수형은 단정하고 늘씬하다.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 사이에서 고민하다 개서어나무 분포지가 전라남북도 및 경상남도라는 점, 또렷이 확인되는 측맥의 수가 13쌍이라는 점, 서어나무처럼 잎끝이 꼬리처럼 길어지지 않는다는 점 등으로 개서어나무로 판단한다. 척박한 곳에서 자라는 서어나무와 달리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자라는 점도 개서어나무임을 확인하게 한다. ●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5m, 지름 70cm.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 않는다. 일년생가지는 털이 있고 백색 껍질눈이 산재한다. 잎은 어긋나기로, 타원형 또는 달걀꼴 .. 2010. 5. 24.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수피 거제수나무는 높이 30m, 지름 1m까지 자라는 대형 수종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가장 크게 자라는 나무라고 한다. 은은한 갈색 빛이 도는 수피는 종이처럼 얇게 벗겨진다. 가을에 노랗게 물이 드는 단풍이 아름답다. 건조하고 척박한 곳에서 군집을 이루어 자라며, 태백산의 자생지에는 특히 .. 2009. 11. 8.
좀고채목, Betula ermanii var. saitoana 사스래나무는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Betula)의 나무로 추위에 강하며 비교적 건조와 바람에도 강하여 높은 산 정상 부근에서도 자란다. 사스래나무 중에서도 한라산이나 지리산 정상 부근에 자라는 잎이 작은 나무를 '좀고채목'이라 하는데, 현재는 사스래나무로 통합되고 이명 처리되었다. ↓ 지리산 ●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var. saitoana | Ermans Birch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참나무속 낙엽활엽교목 높이 7~8m에 달하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엷게 벗겨지고 소지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지점과 지상의 피목이 있다. 잎은 난형으로 길이 1~2.5(5)㎝이고 끝이 점차 뾰족해지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지점이 거의 없으며 엽병에는.. 2009. 11. 8.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열매, 씨앗 서어나무속(Carpinus) 자생종 중에서 잎의 측맥이 16-22쌍으로 많으며 암꽃이삭의 포가 조밀하게 겹쳐 있는 점이 특징이다. 까치박달의 열매이삭은 길이 6~8cm, 폭 4.5cm 정도의 원통형이다. 잎 모양의 포는 양쪽에 톱니가 있고 길이 15~20mm로 달걀형이며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밑부분에는 5맥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많다. 소견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3~4mm로서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는다. ↓ 지리산 ●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 cordata hornbeam, Heart-leaf hornbeam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낙엽 교목 높이 약 15~18m, 지름 약 60c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 모양으로 길이 7∼14cm, .. 2009. 11. 6.
물개암나무 열매, 개암나무 열매 백령도에서 만난 개암나무 열매.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포가 뿔 모양으로 길쭉하니 참개암나무나 물개암나무 중 하나다. 포의 끝이 갈라지지 않은 듯하여 참개암나무처럼 보이는데, 찌르는 듯한 가시털이 보이지 않는 점으로 참개암나무의 변종인 물개암나무 쪽으로 보는 것이 맞을 듯하다. 게다가 잎도 결각상인 모습이 보여 물개암나무로 동정한다. 물개암나무 열매 ● 물개암나무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 Manchurian hazel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관목 높이가 2-5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일년생가지는 털과 샘털로 덮여 있다. 잎은 길이 5-15cm로서 넓은 거꿀달걀모양이며 윗부분에 결각이 있고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7-9쌍의 측.. 2009. 8. 16.
물갬나무(물오리나무, Alnus sibirica | Manchurian Alder) 물오리나무나 물갬나무는 사방 조림용으로 많이 심어진 나무이다. 현재 물갬나무는 물오리나무로 통합되었다. ↓ 지리산 ● 물갬나무 Alnus hirsuta var. sibiric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Betulaceae)의 낙엽교목 나무껍질은 거칠며 적갈색이다.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며 작은 가지에 털이 없다. 잎.. 2009.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