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작나무과59

소사나무 수꽃 Carpinus coreana 소사나무는 자작나무과에 속하는데, 자작나무과의 일반적인 특징대로 수꽃은 먼저 피어 길게 늘어지고 암꽃은 늦게 새싹 가운데서 함께 자라나서 이른 시기에 관찰이 어렵다. ● 소사나무 Carpinus corean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소교목 작은 가지와 잎자루에 털이 밀생하며 턱잎은 .. 2008. 5. 7.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암꽃과 수꽃 누에처럼 길게 늘어진 수꽃, 말미잘 촉수 같은 붉은 술의 암꽃. 암꽃이 꽃갈받이를 하고 난 자리에 개암 열매가 달린다. ●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산백과(山白果)·깨금·처낭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2∼3m이다. 새가.. 2008. 4. 6.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수꽃과 암꽃 해가 산 너머로 숨는 시간, 대모산 산책길 개암나무 수꽃 개암나무 암꽃 ●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2∼3m이다. 새가지에 선모(腺毛)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인데 겉에는 자줏빛 무늬, 뒷면에는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는 뚜렷하지 않으나 깊이 패어 들어간 부분과 잔 톱니가 있다. 잎 길이와 나비는 5∼12cm이고 잎자루 길이는 1∼2cm이다. 꽃은 단성화로 3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2∼5개가 가지 끝에서 축 늘어지며 수꽃은 포 안에 1개씩 들어 있다. 수술은 8개이다. 암꽃이삭은 달걀 모양이며 10여 개의 암술대가 겉으로 나온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견과이고 넓은 총포에 싸인다. 지름 1.5∼3cm이며 9∼10월에 갈색으로 .. 2008. 3. 21.
두메오리나무 열매와 수피, 오리나무더부살이 두메오리나무는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의 나무로 울릉도와 설악산 이북 지역에 자생하고 시베리아와 캄차카, 일본에 분포한다. 오리나무더부살이는 두메오리나무에 더부살이하는 열당과의 기생식물이다. 나리분지 ● 두메오리나무 Alnus maximowiczii | Montane alder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의 낙엽활엽소교목 높이는 5∼10m, 밑동의 지름은 30cm 정도이다. 줄기가 곧고 수관이 좁으며, 수피는 어두운 녹색인데 흰 가로선이 있다. 어린 가지는 밝은 갈색을 띠고 피목이 많다. 잎은 털이 없고 심장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거나 뭉뚝하며 길이 7∼10cm로 예리한 잔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점성이 있으며 잎자.. 2007. 12. 11.
오리나무 Alnus japonica 오리나무의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지난 3월, 남한산을 오를 때 등산로 입구에서 만난 나무가 아직 잎이 나지 않은 거목에 달린 수꽃들과 지난해의 열매들이 물오리나무와 너무도 닮아서 물오리나무일까 했는데 수피가 거친 모습이 물오리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그래서 물오리나무와 닮은 물갬나무이겠거니 생각하고 있었는데 5월 12일, 다시 그 곳을 찾아 나무를 살펴보니 물오리나무와 물갬나무와는 달리 잎이 길쭉하지 않은가. 무엇인가, 하고 자료를 뒤적이다 뜻밖에도 이것이 바로 오리지널 오리나무라는 걸 알게 되었다. 여태껏 물오리나무를 오리나무로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이다. 2007. 05. 12 / 남한산성 입구 ● 오리나무 Alnus japonica /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 흔히 오리목이라고 부른다. 습지 근처에.. 2007. 5. 27.
자작나무 이야기, 자작나무 수꽃, 암꽃 하얀 껍질을 얇게 벗겨내어 불을 붙이면 나무껍질의 기름 성분 때문에 자작자작 소리를 내며 잘 탄다고 자작나무로 불린다. 동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가는 길 산림지대는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 있는 하얀 자작나무들의 숲이다. 우리 민족과 혈통이 가깝다고 이야기 되는 동시베리아(바이칼 호수 주변 지역)의 원주민 브리야트족은 자작나무를 신이 강림하는 신목으로 신성시하고, 러시아인들도 사람을 보호하는 신의 선물로 여겨 집 주위에 자작나무를 심는다고 한다. 또한 새하얀 껍질을 잘 벗겨서 사랑의 편지를 보내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사랑의 나무로 알려져 있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으나 한 그루에 함께 달린다. 수꽃이삭은 묵은가지 끝에 크게 달리고 암꽃이삭은 새가지 끝에 조그맣게 달린다. ● 자작나무 Betula p.. 2007. 5. 27.
서어나무 꽃과 열매 열매 ●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 높이는 15m, 지름은 1m에 달한다. 나무 껍질은 회색이고 근육처럼 울퉁불퉁하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5∼7.5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2007. 4. 26.
사방오리나무 Alnus firma 사방오리나무는 일본 원산의 자작나무과 교목으로, 오리나무와 닮았고 1960~70년대 사방 조림을 할 때 많이 심었으므로 사방오리라고 한다. 경남 합천 수피 겨울 잎새와 열매 ● 사방오리 Alnus firma /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 원산지에서는 높이 7∼10m, 지름 약 30c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잿빛.. 2007. 4. 22.
병개암나무의 암꽃과 수꽃 한라산의 양지 산기슭에서 자라는 우리 나라 특산의 개암나무이다. 땅에서 여러 줄기가 촘촘히 나서 자라나고 수꽃이삭이 개암나무에 비해 짙은 갈색을 보인다. 그리고 둥근 암꽃이삭의 포 안에 두 개의 암꽃이 들어 있는 점도 특징적이다. 우리 나라의 특산종인데, 학명엔 역시 나카이의 이름이 붙었.. 2007. 3. 30.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암꽃과 수꽃 개암나무는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에서 핀다. 수꽃이삭은 2∼5개가 가지 끝에서 꼬리모양으로 늘어지며 달린다. 암꽃은 가지 마디 잎겨드랑이에에 돋은 달걀 모양의 꽃눈에서 말미잘 촉수처럼 갈라진 붉은 술을 내밀며 달린다. 개암나무 암꽃 암꽃이삭은 달걀 모양이며 10여 개의 암술대가 겉으로 나온다. 개암나무 수꽃 수꽃은 무수한 포 안에 1개씩 들어 있다. 노란 꽃가루가 켜켜이 들어 있다. 수술은 8개이다. 어두운 시간이라 수술의 이미지가 흐릿하게 잡혔다. 개암나무 묵은 열매 ●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 hazel tree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낙엽활엽 관목 나무껍질은 윤이 나는 회갈색이며 새가지는 갈색으로 샘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원형 또는 거꿀.. 2007. 3. 27.
앙증맞은 개암나무 암꽃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개암나무 암꽃이 피기 시작했다. 개암나무 열매와는 친근해도 정작 그 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풀꽃과 나무에 제법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 해도 수꽃을 알아보는 정도이다. 암꽃은 활짝 피어야 3mm를 넘지 않을 정도이니 나무에 붙어서서 꼼꼼히 살피지 않고는 찾아내기도 쉽지 않다. .. 2007. 3. 5.
개박달나무 잎과 열매 Betula chinensis 개박달나무는 난형(또는 타원형)의 열매에 열매자루가 거의 없다. 이는 열매가 긴 원통형이고 열매자루가 긴 박달나무와는 대조적인 특징이다. 물박달나무와 사스래나무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물박달나무는 열매자루가 길고 사스래나무는 열매자루가 거의 없는 점과도 쉽게 구별할 수 .. 2006. 7. 13.
개암나무, 참개암나무의 열매 개암나무 열매(hazel nut) ●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2∼3m이다. 새가지에 선모(腺毛)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인데 겉에는 자줏빛 무늬, 뒷면에는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는 뚜렷하지 않으나 깊이 패어 들어간 부분과 잔 톱니가 있다. 잎 길이와 나.. 2006. 7. 13.
개암나무 수꽃 이삭 ☞* 개암나무 암꽃 => http://blog.daum.net/kheenn/10946187 ●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산기슭 양지에서 잘 자라며 그 열매는 깨독, 깨금이라 불리는 자작나무과의 키작은 떨기나무. 겉에는 자줏빛 무늬가 있고, 뒷면에는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는 잔 .. 2006.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