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25

단풍고사리삼 Botrychium nipponicum / 고사리삼속 종 검색표 고사리삼과 가장 유사해 보이나 겨울에 잎이 붉은 갈색을 띠며, 소우편과 열편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는 점이 다르다. 2017. 10. 15. 월악산 ● 단풍고사리삼 Botrychium nipponicum ↘ 고사리삼목 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 상록성 양치식물 키 20~5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곧게 서며, 지름 약 3mm이고, 뿌리가 퍼져 나온다. 공통자루는 흰빛이 돌고, 털이 거의 없다. 영양엽 자루는 5~15cm이고 털이 없으며, 흑적색을 띠는 녹색이다.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약간 삼출엽 모양이며, 길이와 너비가 7~10cm이고, 부드러운 가죽질이며, 겨울에 잎이 붉어진다. 맨 아래 우편은 긴 자루가 있으며 넓은 난형이고, 위로 가면서 좁아져 끝이 뾰족하다. 열편은 긴타원상 피침.. 2017. 10. 27.
퍼진고사리 Dryopteris austriaca 퍼진고사리는 면마과(관중과) 관중속의 고사리로, 60~90cm 정도로 자라는 비교적 대형 양치식물이다. 가장 아래쪽 깃조각이 가장 크고 까락 같은 톱니가 있으며 포막이 콩팥형이다. 제주도와 지리산, 오대산 및 북부지방 높은 산에서 자란다. 설악산 ● 퍼진고사리 Dryopteris austriaca ↘ 고사리목 면마과 관중속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짧고 잎이 모여난다. 잎자루는 길이 20~40cm이고 중앙부가 짙은 갈색으로 흑갈색의 비늘조각이 덮여있다. 잎몸은 오각형의 난형으로 3회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는 25~50cm, 폭 20~30cm 정도이다. 잎조각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으로 짧은 대가 있는 것도 있다. 첫째 잎조각은 일그러진 3각상 난형이다. 작은 잎조각은 대가 없고 끝이 뾰족한 긴 피침형이며 깃.. 2017. 6. 15.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남부지방의 숲 속 바위나 나무 껍질에 붙어서 자라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일엽초 종류 중에서 포장낭군이 가장 크다. 홍도 ●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 Weeping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 상록 다년초 근경은 약간 거칠고 크며 옆으로 뻗고 지름 2-3mm이며 때로 가지가 갈라지고 겉에 비늘조각이 있다.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고 투명한 것과 검고 투명하지 않은 것이 있다. 잎은 마디사이가 짧은 근경에서 나오므로 모여나기한 것같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선형으로서 두꺼운 가죽질이고 밑은 좁아져 짧은 대로 되며 끝은 뾰족하고 길이 10~30cm, 나비 5~10mm정도이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으로.. 2017. 2. 25.
음양고비 Osmunda claytoniana 음양고비는 고비과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개고비'라고도 한다. 흔하지 않은 희귀식물로 설악산 이북 산지, 강원도 횡성, 전남 담양 등의 산지 습지에서 자란다. 꿩고비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깃조각 아래쪽 첫째 열편의 크기가 다른 열편의 크기와 같으며 열편 끝이 보다 둥글다. 또 포자엽이 따로 있는 꿩고비와 달리 흑갈색의 포자낭이 달리는 포자엽은 영양엽의 중앙보다 밑부분의 잎조각에 달린다. ● 음양고비 Osmunda claytoniana | Interrupted fern ↘ 고비목 고비과 고비속의 양치식물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5∼6개 무더기로 나와서 50mm 정도 자란다. 잎몸은 15∼20cm로 긴 타원 모양이다. 어릴 때는 연한 자갈색 털로 덮이지만 곧 떨어진다. 잎은 포자낭이 달리는 포자엽과 달리지 .. 2015. 5. 2.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콩짜개덩굴은 공의 반 쪽처럼 생긴 두터운 잎이 뿌리줄기의 양쪽에 어긋나게 달려 있다. 콩짜개난과 모양이 비슷하나 포자엽의 존재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규슈올레 히라도 코스에서 ●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해안지대와 섬의 바위 또.. 2015. 3. 27.
석위 Pyrrosia lingua 규슈 히라도 사비에르 성당 정원에서 자라는 석위. 석위는 남부지방의 산지와 제주도 등에 자생하는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규슈 히라도 잎 뒷면에 달린 황갈색 포자낭군 ● 석위(石韋) Pyrrosia lingua | Tongue Fern, Japanese Felt Fern /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바위와 .. 2015. 3. 27.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비늘고사리는 관중과 관중속의 늘푸른 양치식물로 '곰고사리'라고도 한다. 햇볕이 약간 드는 습기 있는 곳에서 자란다.     2015. 03. 21.  천마산        ●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 양치식물 상록식물로 월동하지만 포자낭군이 달린 부분은 겨울 동안 마른다. 덩어리처럼 생긴 뿌리줄기에서 잎이 뭉쳐나서 60cm 내외로 자란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고 잎몸보다 짧고 중축과 더불어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큰 비늘조각은 길이 2cm 정도이다. 잎은 2회 깃꼴겹잎이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작은잎조각은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넓어지며 밑에는 대가 있다.  포자낭군은 위쪽 잎조각에 달리고 포막은 둥.. 2015. 3. 25.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쇠고비는 남부지방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 양치식물이다. 반그늘진 바위틈이나 사질토양에서 자란다.  도깨비쇠고비에 비해 잎이 종이질로 얇고 깃조각 가장자리와 끝부분에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어 구분되며, 참쇠고비에 비해 깃조각 밑이 귀 모양이 아니고, 포막 가장자리에 분명한 톱니가 없어 구분된다. 산쇠고비는 깃조각이 5~15쌍으로 적고 보다 넓으며 포자낭군이 5열이라는 특징이 있다.    2014. 01. 03. 장성 축령산           ●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  고사리목 관중과 쇠고비속의 상록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곧추서며 덩어리진다. 잎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10~30cm,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비늘조각은 검은 갈색이며, 긴 타원형으로 위에 붙을수록 선형에 가.. 2015. 1. 2.
천마산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D. chinensis)는 관중속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국내 높고 낮은 산지의 그늘진 숲속에 널리 자란다. 잎은 연학 녹색으로 금족제비고사리(D. gymnophylla)와 유사하지만 낙엽성으로 중축, 우축 및 소우축의 뒷면에 인편이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가늘고 긴 잎자루는 딱딱한데, 비늘조각이 윗부분에는 별로 없이 매끈한 편이나 밑부분에는 빽빽하게 나 있다. 천마산 포자낭군은 작은 잎조각의 가장자리 가까이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서며 잎은 뭉쳐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5∼30cm이고 가늘며 딱딱하고 밑 부분에 비늘조각이 .. 2012. 4. 11.
속새 Equisetum hyemale 속새는 줄기 끝에 포자낭 이삭이 달리는 속새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제주도와 강원도 이북의 숲속 습지에서 자란다. 속명 Equisetum은 라틴어 '말'을 뜻하는 'equus'와 '꼬리'를 뜻하는 'saeta'의 합성어로 층층이 자란 줄기가 말꼬리와 비슷하다고 본 듯하다. ● 속새 Equisetum hyemale / 속새목 속새과 속새속 높이 30-60cm이며 땅속줄기에서 여러줄기가 나와 모여나기하는 것처럼 보이고 짙은 녹색이며 가지가 없고 뚜렷한 마디와 마디사이에는 10-18개의 능선이 있다. 원줄기의 능선에는 규산염이 축적되어 딱딱하기 때문에 나무를 가는 데 사용했으며 목적(木賊)이란 이름이 생겼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지면 가까운 곳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나온다. 퇴화된 비늘같은 .. 2011. 10. 18.
쇠뜨기 꽃은 어떤 모양일까 햇볕이 잘 드는 봄 언덕, 특히 습기 많은 풀밭이나 개울가에 고운 풀밭을 이루는 쇠뜨기. 소가 잘 뜯어 먹어 '쇠뜨기'라 불리는데, 푸른 풀밭을 이루기 전 이른 봄 햇살을 맞으며 꽃을 피운다. 하지만 보통 풀꽃과는 덜리 포자를 가진 속새과의 양치식물. 독특한 모양의 생식줄기가 땅 속에.. 2011. 4. 27.
지리산 고란초, 고란초(Crypsinus hastatus) 이야기 고란초(皐蘭草)는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산의 그늘진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또는 벼랑에 붙어 자란다. 백제의 고도 부여의 부소산을 돌아 흐르는 백마강 가 고란사(皐蘭寺) 뒤의 절벽에서 자라기 때문에 고란초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고란사에서만 자라는 희귀식물로 알려져 .. 2010. 10. 8.
석위(石葦) Pyrrosia lingua 석위는 고란초과의 상록 양치식물이다.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란다.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석위는 석위 외에도 애기석위(P. petiolosa)와 세뿔석위(P. tricuspis Tagawa)가 있다. '혓바닥(Tongue)을 닮은 양치식물(Fern)'이라 하여 영명은 Tongue Fern이다. Felt Fern이라고도 한다. ↓ 청산도 잎 뒷면.. 2010. 8. 27.
꿩고비(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고비과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지름이 5∼8cm이며 끝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은 곧추서고 끝 부분이 약간 뒤로 젖혀지며 어릴 때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솜털로 덮이지만 나중에 없어진다. 포자낭이 붙는 잎조각의 솜털은 검은 색이 많다. 영양엽은 길.. 2010. 6. 21.
부채괴불이끼, 부채 닮은 꼬마 양치식물 4월말 꽃을 만나러 찾은 지리산, 아직도 겨울을 떨쳐버리지 못한 계곡에서 꽃은 보지 못하고 바위에 붙어 자라는 이끼류를 살펴보던 중 그렇게 보고 싶던 부채괴불이끼를 만난다. 유난히 시린 겨울을 잘 이겨낸 커다란 잎 옆에는 새로 자라나는 작은 잎들도 보인다. 학명은 Crepidomanes minutu.. 2010.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