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과14 구상나무 Abies koreana, 수꽃과 암꽃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의 정상부에서만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 상록 침엽수이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 미국 식물학자 윌슨에 의해 무단 반출되어 'Abies Koreana Wilson'이란 학명이 붙고 상업적으로 개발되어 유럽에서는 '한국전나무(Korean Fir)'로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급 크리스마스 트리로 각광받아왔다. 한마디로 생물 주권을 도난 당한 셈이다. 암수한그루로 5월에 솔방울같이 빨강, 노랑, 분홍, 자주등 다양한 색의 꽃이 피는데 구과의 색에 따라 푸른구상(f. chlorocarpa), 검은 것을 검은구상(f. nigrocarpa), 붉은 것을 붉은구상(f. rubrocarpa)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 안타깝게도 기후 변화에 따른 집단적인 고사 현상이 나타나며 분포지가 점차.. 2022. 5. 24. 일본잎갈나무(낙엽송) 암꽃, 수꽃 Larix kaempferi 일본 원산의 소나무과 잎갈나무속 낙엽 교목으로 일본에서는 '카라마츠(唐松)'라 부른다. 암꽃과 수꽃 등 꽃 모양이 소나무 꽃과 닮았지만 달리는 모습은 다소 다르다. 긴 가지의 끝에 모여 달리는 소나무의 꽃과는 달리 일본잎갈나무의 꽃은 꽃줄기 모양의 짧은 가지 끝에 꽃이삭이 하나씩 달린다. 북부지방에 자생하는 잎갈나무에 비해 실편의 수가 50-60개로 2배 가까이 많고, 실편 조각이 뒤로 젖혀지는 점이 다르다. 일본잎갈나무 수꽃 일본잎갈나무 암꽃 ● 일본잎갈나무 Larix kaempferi | Japanese larch ↘ 소나무목 소나무과 잎갈나무속의 낙엽 침엽 교목 높이 30m, 지름 1m로서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지만 보통 예각으로 달리며 나무껍질은 암갈색이며, 세로로 찢어지고 긴 비늘조각으로 되어 떨.. 2016. 4. 19. 백송 솔방울, 수피 중국 특산의 희귀 소나무 수종으로 수피가 비늘처럼 벗겨져 흰빛이 돌아서 백송이라 불린다. 번식이 아주 까다로운 종으로 종자를 발아시키기는 쉬우나 이식이 어렵기 때문에 널리 퍼지지 못하였다. ● 백송(白松) Pinus bungeana | lacebark pine /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 높이 15m, 지름 1.7m에 달하는 큰 나무이다. 가지가 크며 수관은 둥글게 발단한다. 잎은 3개씩 달리고 눈비늘이 일찍 떨어지며 길이 7∼9cm, 나비 1.8mm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긴 타원형이며 암꽃은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구과로서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길이 6cm, 나비 4.5cm로서 달걀 모양이고 50∼90개의 열매조각이 있다. 열매조각은 갈색이 돌고 옆으로 난 주름살이 있다. 종자는 달.. 2015. 8. 12.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전나무나 구상니무, 분비나무에 비하여 비늘 같은 껍질이 검은 빛이 짙어서 검은피나무로 불리다가 가문비나무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가지와 열매가 밑으로 늘어지는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동북아시아의 고산 지역 우점종이다. 북부지방 개마고원에는 40m 높이의 거목으로 큰 숲을 .. 2011. 11. 15. 늦가을에 꽃 피는 히말라야시다(개잎갈나무) 11월, 경주 남산을 답사하다 경북산림환경연구소에서 히말라야시다를 만난다. 그리고 겨울이 가까워진 늦가을에 꽃이 핀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 경북 산림환경연구소(경주 남산) 개잎갈나무 수꽃 히말라야시다는 눈덮인 히말라야를 떠올리게 하는 이름과 거대한 크리스마스트리를 연상시키는 수형만으로도 사람들의 미감을 자극하는 나무이다. 실제로 땅에 닿을 듯 가지가 처져 삼각형을 이룬 수형이 장관을 이룰 뿐만 아니라 짧은 가지에 촘촘히 자란 잎의 색감이 부드러우면서도 아름다워 세계적인 조경수로 꼽힌다. 흔히 '히말라야시다'로 불리지만, 정식으로 등록된 국명은 개잎갈나무이다. 잎갈나무의 '잎갈'이 '잎을 간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인데, 히말라야시다는 잎갈나무를 닮았지만 잎이 지지 않는 상록수라고 하여 개잎.. 2011. 1. 8.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는 높은산에서 자라는 늘푸른 침엽수로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금강산 등의 표고 500-2,300m 높은 봉우리 부근에서 자란다. 어릴 때는 그늘에서 자라고 자람이 느리지만 자람에 따라 햇볕을 좋아하고 자라는 속도가 빨라진다. 재질이 부드럽고 나뭇결이 곧기 때문에 피아노 등의 악기재나 건축재, 기구재, 펄프재, 조선재, 휨가공재, 차량 등 다양하게 쓰인다. 2009. 01. 05. 지리산 ●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 Yeddo Spruce / 소나무목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의 상록 침엽 교목높이 40m 이상이고 지름이 1m에 달하며 수관이 원추형이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비늘처럼 벗겨진다. 햇가지는 털이 없고 누른빛이 돌며 잎이 떨어진 자리가 돌출하여 있.. 2009. 11. 8. 지리산의 늠름한 구상나무 Abies koreana 세석에서 장터목으로 가는 고산 능선에서 구상나무를 만난다. 이렇게 아름다운 나무가 또 있을까 싶게 늠름함과 우아함을 다 갖추고 있다. 구상나무는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소나무과 전나무속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특산종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인 1915년 미국 식물학자 윌슨에 의해 무단 반출되어 Abies Koreana Wilson'이란 학명이 붙고 상업적으로 개발되어 유럽에서는 한국전나무(Korean Fir)로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급 크리스마스 트리로 각광받아왔다. 한마디로 생물 주권을 도난 당한 셈이다. 그러한 구상나무가 최근 지구 온난화로 분포 면적이 급속하게 감소하며 또 한번의 위기와 만나고 있다. 구상나무는 기후변화 생물 지표종이 되고 있다. ↓ 지리산 ● 구상나무 Abies.. 2009. 7. 21. 소나무(적송), 리기다소나무 수꽃 비교 ※ 경남 합천 가회 소나무(적송) 소나무(적송) Pinus densiflora Pinaceae(소나무과) 잎은 침엽으로 2개가 속생하고 비틀리며 길이 8-9(14)cm, 폭 1.5mm 여름에는 진록색, 겨울에는 연두색으로 되며 밑부분에 아린이 있고 2년 후 낙엽된다. 높이 35m, 지름 1.8m이며 가지가 퍼지고 윗부분의 수피는 적갈색이며, 노목의 .. 2009. 6. 6. 백송 솔방울, 수피 Pinus bungeana 백송은 중국 특산의 희귀 소나무 수종으로 수피가 비늘처럼 벗겨져서 흰빛이 돌아서 백송이라 불린다. 홍릉수목원 ● 백송(白松) Pinus bungeana | lacebark pine /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 높이 15m, 지름 1.7m에 달하는 큰 나무이다. 가지가 크며 수관은 둥글게 발단한다. 잎은 3개씩 달리.. 2009. 3. 17. 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종비나무는 가문비나무와 아주 비슷한 소나무과의 교목으로 잎의 횡단면이 사각형인 점이 가무비나무와 다르다. 압록강 유역 표고 800-1,800m에 자생하는 한대 수종으로 만주까지 분포한다. ● 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 Korean Spruce /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교목 이명 : 비눌가문비, 가문.. 2008. 7. 3. 솔송나무 Tsuga sieboldii 소나무과 솔송나무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잎은 주목과 비슷한데 치밀하고 잔잔하여 관상미가 있다. 국내에는 울릉도에만 자생하며 일본에 분포한다. ● 솔송나무 Tsuga sieboldii | Ulleungdo hemlock /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소나무과 솔송나무속의 상록교목 높이 30m에 달한다. 가지가 .. 2007. 7. 28. 눈잣나무(?) 수꽃 Pinus pumila 우리의 토종 잣나무는 나무껍질이 붉어 홍송이라고도 불린다. 근래에 아파트 단지나 공원의 조경수로 나무껍질이 검은 북미 원산의 스트로브잣나무를 많이 심고 있는데 아쉬운 일이다. 잎이 다섯 개인 잣나무 종류를 통털어 오엽송이라고 하는데, 잣나무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섬잣나.. 2007. 5. 14. 전나무 Abies holophylla 내소사 전나무숲 ● 전나무 Abies holophylla / 소나무과의 상록교목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하는 고산 식물.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흑갈색으로 거칠며 작은가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다.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고 털이 없으나 수지가 약간 있다. 잎은 나선상 배열로 줄 모양이고 길이 4cm, 나비 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백색 기공선이 있고, 횡단면에는 수지구(樹脂溝)가 있다. 꽃은 양성화로 4월 하순경에 피며, 수꽃이삭은 원통형이며 길이 15mm로서 황록색이고 꽃줄기는 길이 4.5mm이다. 암꽃이삭은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길이 3.5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6mm 정도의 꽃줄기가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원통형으로서 길이 10∼12cm.. 2007. 5. 7. 백송 Pinus bungeana 서울 ○○고에서 만난 나무. 잔디밭 한 구석에 버즘나무(플라타너스) 같은 줄기에 솔잎을 단 나무가 보인다. 가까이 가서 보니 백송, 말로만 듣던 것을 실물로 처음 보게 되었다. 수피가 비늘처럼 벗겨져서 흰빛이 돌므로 백송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 특산의 희귀 수종이라는데, 번식.. 2005. 11.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