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합과347

섬말나리 어린풀 Lilium hansonii 자생 나리류 가운데 가장 일찍 개화하는 종이다. 말나리에 비해 꽃이 황색빛이 더 많고 비늘줄기가 조금 더 크다. 종명은 원예연구가인 Hanson을 기념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울릉도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묘향산과 만주 길림성,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홍릉수목원. 2011. 03. 26 ● 섬말.. 2011. 4. 4.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2011. 4. 4.
'좋은 소식', 비비추(Hosta longipes) 보랏빛 비비추꽃이 피면 여름이다. 그윽한 향기와 백설 같은 꽃을 자랑하는 옥잠화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피면서 여름을 맞이한다. 중국 원산의 옥잠화(玉簪花)와는 꽃보오리가 옥비녀 모양을 닮아서 붙은 이름인데, 옥잠화와 닮은 비비추를 '장병옥잠(長柄玉簪)'이라고 한다. 이름이 어째서 비비추일.. 2010. 8. 27.
쥐꼬리풀(백합과) Aletris spicata 쥐꼬리풀은 꽃이삭이 맥문동이나 무릇처럼 쥐꼬리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도에서 자생하고 있다.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비슷한 여우꼬리풀은 금강산이나 지리산 등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2010. 07. 22.  청산도           ●쥐꼬리풀 Aletris spicata  ↘  백합목 백합과 쥐꼬리풀속의 여러해살이풀굵고 짧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뒤로 젖혀진다. 잎은 줄 모양이고 길이가 15∼30cm, 폭이 3∼7mm이며 3개의 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 부분에는 묵은 잎의 섬유가 남아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꽃줄기 윗부분에 길이 15∼25cm의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2010. 8. 26.
박새(Veratrum oxysepalum) 7~8월에 핀다는 박새 꽃이 오월 말에 벌써 활짝 피었다. 백합과 여로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습지에서 무리를 지어서 자라는 박새는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굵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는데 강한 독성이 있으며 이를 한방에서는 최토(催吐)·살충제로 사용한다. 중국 동북부, 동부 시베리아,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 두루 분포한다. 2010. 05. 29 / 홍릉수목원 ● 박새 Veratrum oxysepalum ↘ 백합목 백합과 여로속 여라해살이풀 땅속줄기는 크고 거칠며, 굵은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곧추서며, 원주형, 높이 100~150cm이다. 잎은 어긋나게 촘촘히 달리며, 밑이 줄기를 감싸고, 넓은 타원형, 길이 20~30cm, 폭 10~15cm, 세로로 난 주름이 많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은.. 2010. 6. 11.
용혈수(dragon tree) 용혈수(龍血樹)는 백합과의 상록 교목으로 세쿼이어·유칼립투스와 더불어 세계에서 큰 나무에 속한다. 북아프리카 서해의 카나리아제도 테네리페 섬에 자생한다. 보통 나무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나무가 아니어서 줄기는 수많은 헛물관으로 이뤄져 있다. 한 줄기에서 뻗은 수천개의 갈고리 모양의 가지 끝에 유카의 뾰족한 잎과 같은 잎들이 달려 성장한다. 2010. 05. 20 / 서울대공원 식물원 2008. 05. 23 / 서울대공원식물원 동아프리카 소말리아로부터 약 80㎞ 떨어진 예멘의 소코트라 섬에서 자생하는 용혈수(Dracaena draco) 출처 : http://blog.joins.com/dh1218/9925387 용혈수(龍血樹)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줄기에서 흘러나오는 수지가 붉어 피와 같이 보이기 때문에.. 2010. 6. 8.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 은방울꽃 이야기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은방울꽃은 댓잎 같은 두 장의 푸른 잎사귀 사이로 하나의 긴 꽃차례를 올려 작은 은방울 같은 흰 꽃들을 조롱조롱 매달고 은은한 향기를 싱그러운 숲으로 흘려 보낸다. 합천 가회 ●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 lily-of-the-valley ↘ 백합목 백합과 은방울꽃속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고 군데군데에서 지상으로 새순이 나오며 밑부분에 수염뿌리가 있다. 잎이 나기 전 기부에서 몇 개의 막질 초상엽이 3월 하순경에 나와 자라면서 그 속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밑부분을 서로 얼싸안아 원줄기처럼 된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12-18cm, 폭 3-7cm로서 끝이 뾰족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 2010. 5. 24.
까치무릇(산자고) 열매, 녹색의 둥근 세모꼴 까치무릇은 줄기 끝에 한 송이의 꽃을 피우는데, 씨방은 녹색의 세모꼴로 한 개의 암술대가 있다. 꽃이 지고 나면 이 씨방이 둥근 세모꼴의 삭과로 성숙하는데, 길게 자란 열매자루가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열매는 땅바닥에 드러눕게 된다. 길이와 지름이 각각 1.2cm 정도로서 끝에 길이 6mm 정도의 긴 암술대가 뿔처럼 달려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이른 봄 산기슭 양지쪽 풀밭에서 예쁜 꽃을 피우는 까치무릇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알뿌리풀이다. 까치무릇이란 아름다운 이름 외에도 물구, 물굿이란 토종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표준 국명은 한자어 '산자고(山慈姑)'로 되어 있다. 민중들이 생활 속에서 오래도록 써온 이름을 '글 배운 사람들'이 무시하는 예의 하나로 안타까운 일이다. 까치무릇의 학명은 Tulipa e.. 2010. 5. 19.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다소곳이 달리는 윤판나물 노란 꽃 윤판나물은 대개 꽃이 노랑색으로 피지만 흰색, 황금색도 있고 녹색 빛이 도는 노랑색 등 여러 가지 색깔로 핀다.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싹을 먹을 수 있어서 윤판나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나물로 먹기보다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으로 더 환영받으며 정원에 많이 심는다. 윤판나물의 학명은 디스포룸 세실(Disporum sessile)이다. 우리의 애기나리속에 해당되는 말인 속명 디스포룸(Disporum)은 그리스어 dis(2)와 sport(종자)의 합성어로 씨방의 각 실이 2개의 종자를 가지고 있는 데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종소명 세실(sessile)은 '붙어 있는, 꼭지나 잎자루 없는' 등의 뜻을 가지고 있어 잎자루가 없이 잎이 달리는 윤판나물의 특성으로 붙여진 이름인 듯하다. 우리.. 2010. 5. 19.
'봄처녀' 제 오시네, 다랑쉬오름에 핀 까치무릇(산자고), 다랑쉬오름 오르는 언덕에서 홀로 핀 꽃 한 송이를 만난다. 바람 막아주는 마른 풀들에 둘러싸여 쏟아지는 따스한 햇살 듬뿍 받고 까치무릇이 여섯 장의 예쁜 꽃잎을 열었다. 어째 한 송이만 피었을까, 오르는 언덕길 내내 더 이상 꽃이 보이지 않더니 화구 정상 볕바른 비탈에 점점이 하얀 꽃들이 꽃잔치를 벌이고 있다. 까치무릇이다!!! 가느다란 줄기에 버거워 보이는 큰 꽃을 달고 있는 모습이 위태하면서도 아름답다.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까치무릇은 짧은 꽃대에 올린 꽃이 안정감을 주는데, 산언덕 숲속에서 피는 꽃들은 햇볕을 받아들이느라 꽃대가 길어 꽃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누워버린다. 꽃자루 위에 여섯 장의 길쭉한 꽃잎이 가지런히 배열되고, 꽃잎에는 가느다란 보라색 줄이 나있고, 그 속의 샛노란 수.. 2010. 3. 21.
산부추 Allium thunbergii ↓ 천마산 ● 산부추 Allium thunbergii | Thunberg Onion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2cm 안팎이고 밑부분과 더불어 마른 잎집으로 싸이며, 외피는 잿빛을 띤 흰색이고 두껍다. 잎은 2~5mm 정도의 가는 잎 2~3개가 위로 퍼진다. 흰색이 도는 초록.. 2009. 10. 21.
산부추 Allium thunbergii ↓ 천마산 ● 산부추 Allium thunbergii | Thunberg onion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2cm 안팎이고 밑부분과 더불어 마른 잎집으로 싸이며, 외피는 잿빛을 띤 흰색이고 두껍다. 잎은 2~5mm 정도의 가는 잎 2~3개가 위로 퍼진다. 흰색이 도는 초록.. 2009. 10. 21.
뻐꾹나리 Tricyrtis macropoda 말미잘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모양의 꽃이 눈길을 끈다. 중부 이남 산지에 분포지와 개체수는 많은 편이지만 자생지 파괴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 홍릉수목원 ● 뻐꾹나리 Tricyrtis macropoda | Speckled Toadlily / 백합과 뻐꾹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30~100cm이다. 줄.. 2009. 9. 28.
윤판나물 열매 Disporum uniflorum 윤판나물 열매는 장과로 지름 1cm 정도의 크기이며 둥글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 홍릉수목원 2009. 9. 28.
부추(Allium tuberosum) 꽃 내 고향에서는 '소풀'이라고 불렀는데, 이웃 지역에서는 '정구지'라고 불렀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솔'이라 하고, 또 다른 곳에서는 '졸'이라고 부르니 이름도 다양하다. '소풀'이라는 이름이 '소가 좋아하는 풀'이어선가 보다 막연히 생각했던 것인데, '솔'이라는 또다른 명칭을 듣고서야 .. 2009.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