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당버섯속81

조각무당버섯 Russula vesca 살은 치밀하며, 표면은 갈색빛을 띤 살구색 또는 자주색이고 축축해지면 끈적거림이 조금 생긴다. 갓 가장자리까지 표면이 닿지 않아 주변으로 주름살이 보이며 영명도 'bare-toothed russula'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를 이루어 난다.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부드러운 견과류 향이 나는 먹는 버섯이다. 러시아, 핀란드, 우크라이나 등에서는 날것으로 먹는다고 한다.      2022. 09. 01. 서울 대모산          ● 조각무당버섯 Russula vesca | bare-toothed russula, flirt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균모는 지금 6~7㎝로 호빵형을 거쳐 중앙부가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습하면 끈기가 약간 있고 갈살색~포도주색.. 2022. 9. 13.
청머루무당버섯 Russula cyanoxantha '색깔이갓버섯'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여름부터 가을기간에 혼합림 또는 활엽수림 안의 땅에 널려나거나 무리로 나며 소나무와 참나무 등에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09. 01. 서울 대모산 ● 청머루무당버섯 Russula cyanoxanth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버섯갓은 처음에는 만두 모양이나 후에 편평하게 펴지고 가운데 부분은 오므라든다. 마지막에는 거의 깔때기 모양으로 된다. 갓의 직경은 5~15cm이며 겉면은 물기가 있을 때에는 좀 껍진껍진하다. 살은 변화가 심하며 자색, 연한 자색, 풀색, 누런 풀색 등이 혼합될 때가 많으며 또한 단색인 경우도 있다. 후에 자색빛이 나는 풀색 반점이 불규칙적으로 생기고 마지막에는 진한 풀색으로 된다. 변두리는 날카롭고 처음에.. 2022. 9. 13.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갓 표면이 처음에는 담황색이나 차츰 크고 작은 자주색 반문이 생기고 갓 끝은 파도형이다. 여름과 가을에 침엽수나 활엽수림 내 지상에 무리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밀양 백운산 ●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40~90mm로 처음에는 평반구형이나 차차 가운데가 오목한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분말상이며, 습하면 점성이 있고, 처음에는 담황색이나 차츰 자주색의 크고 작은 반문이 생기며, 갓 끝은 파도형이다. 조직은 백색이고 견고하며, 냉이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짧은 내린형 또는 끝붙은형이며 약간 빽빽하고 담황색이다. 대는 40~100×10~20mm로 기부 쪽이 가늘고, 백색 내지 담황색 바탕에 담자홍색을 띠며, 미세한 분말상이다. 2022. 9. 11.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갓 모습이나 넓고 두꺼운 주름살이 절구무당버섯R. nigricans)과 매우 비슷하지만, 상처 시 적색으로 변한 후 회색으로 변하지 않는 점으로 구별된다. 식용 가능한 절구무당버섯과 달리 독버섯이다. 아마톡신계열의 독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독 증상은 버섯 섭취 후 보통 10~12시간 정도에 갑자기 복통을 동반하며 오심, 구토, 출혈성 설사가 나타남. 버섯 섭취 후 3~4일이 경과 후 황달, 의식장애 등의 간부전증 징후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사망률이 상승한다. 2022. 08. 27. 서울 대모산 ●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서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지름 5-11.5㎝로 반구형에서 중앙 오목 편평형~깔때기형으로 전개된다. 갓 표면은 건조하고 다.. 2022. 9. 7.
갈변흰무당버섯(흰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japonica 대모산 정상 부근 등산로 주변에서 발견한 버섯으로, 만져보니 마치 분필을 만지는 것처럼 단단하고 딱딱한 육질이 느껴진다. 버섯 주름살이 갈색으로 변색한 모습이 눈에 띄는데, '갈변흰무당버섯'이라는 이름은 이에서 유래한 듯하다. 부드럽고 쫄깃한 흰무당버섯에 비해 딱딱한 버섯으로 '흰무당버섯아재비'라는 이름으로도 널리 불린다.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메스꺼움, 복통, 구토, 심한 설사 버섯을 섭취 후 수십 분 내에 증상이 발생하며 대부분 4시간 이내에 증상이 감소하다가 수일 이내에 회복된다. 어떤 글('kisti 버섯사전')에서는 '먹는 버섯'이라 기록하고 있다. 2022. 08. 24. 서울 대모산 ● 흰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japonic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 2022. 8. 27.
조각무당버섯 Russula vesca 갓 표면은 갈색빛을 띤 살구색 또는 자주색이고 축축해지면 끈적거림이 조금 생긴다. 갓 표피는 가장자리의 살에서 떨어지며 버섯대는 표면은 흰색 또는 살구색 바탕에 주름처럼 보이는 세로줄이 있다. 맛과 냄새는 없지만 식용할 수 있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 조각무당버섯 Russula vesc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금 6~7㎝로 호빵형을 거쳐 중앙부가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습하면 끈기가 약간 있고 갈살색~포도주색, 주변부는 매끄러우나 알맹이 모양의 선을 다소 나타낸다. 표피는 주변부의 살에서 떨어져 백색 바탕을 나타낸다. 살은 백색이며 치밀하고 맛과 냄새는 없다. 주름살은 바른~내린 주름살로 백색, 서로 맥으로 연결하며 밀생한다. 자루는 길이 3~4㎝로 백색~살색.. 2018. 9. 18.
분홍색무당버섯 Russula betularum 일단 '분홍색무당버섯'으로 올리지만, '주홍색무당버섯'(Russula rubra)일 가능성도 열어둔다. 형태와 색깔이 비슷하고 둘 다 매운 맛이 나는 등 구별이 쉽지 않은데, 분홍색무당버섯은 다소 소형종(갓 지름 2~5cm)이고 주홍색무당버섯이 좀더 대형종(갓 지름 4~12cm)인 듯하다. 2018. 09. 14. 서울대모산 ● 분홍색무당버섯 Russula betularum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cm이고 반구형에서 거의 편평해지며 중앙은 약간 들어간다. 표면은 분홍색 혹은 연한 살색의 분홍색으로 흡수성이고 밋밋하다. 가장자리는 줄무늬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며 비교적 얇고 맛은 맵다. 주름살 자루에 대하여 바른주름살로 백색이다. 자루의 길이는 2.5~6cm, 굵기는 6~0.. 2018. 9. 18.
수원무당버섯 Russula mariae Russula bella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의 버섯. 갓은 붉은 빛이 돌고 자루도 갓과 같은 색이거나 다소 연한 색인데, 갓과 자루의 살은 희고 부서지기 쉬우며 달콤하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식용 버섯으로 소금에 절여서 겨울에 먹는다고 한다. 2018. 09. 14. 대모산 ● 수원무당버섯 Russula mariae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cm로 둥근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고 가운데가 깔때기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가루 모양이며 분홍색의 얼룩이 있는 것도 있다. 주름살은 내린 주름살로 백색에서 크림색으로 되고 밀생한다. 자루의 길이는 2-5cm이고 굵기는 5-7mm로 색은 균모보다. 연하며, 살은 백색이고 부서지기 쉬우며 달콤하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소금에 절여서 겨울에 식용한다. 발생은.. 2018. 9. 17.
수원무당버섯 Russula mariae 붉은 갓이 무당버섯과 닮았다. 두산백과에서는 "식용할 수 있다."고 기록하고 있고 버섯사전(한국산 버섯DB)에서도 "소금에 절여서 겨울에 식용한다."고 서술하고 있는데, 국립수목원 '독버섯 바로 알기'에서는 복통, 구토 등 "위장 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버섯"이라고 쓰고 있어 식용 여부에 혼란을 주고 있다. 금대봉-대덕산 등산로 주변 ● 수원무당버섯 Russula mariae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cm로 둥근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고 가운데가 깔때기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가루 모양이며 분홍색의 얼룩이 있는 것도 있다. 주름살은 내린 주름살로 백색에서 크림색으로 되고 밀생한다. 자루의 길이는 2-5cm이고 굵기는 5-7mm로 색은 균모보다. 연하며, 살은 백색이고 부.. 2017. 8. 23.
붉은 갓의 무당버섯, 졸각무당버섯(장미무당버섯) Russula rosacea 무당버섯이란 이름이 붙은 버섯이 30여 종이나 된다. 그 중 갓이 붉은 무당버섯 종류에는 참무당버섯, 냄새무당버섯, 수원무당버섯, 혈색무당버섯, 졸각무당버섯(장미무당버섯) 등이 있다. 이 중 대의 색깔이 붉은빛을 띠는 것은 수원무당버섯과 졸각무당버섯인데, 수원무당버섯은 주름살의 색이 희고 졸각무당버섯은 주름살 끝이 붉게 물든다고 한다. 북한명은 '피빛갓버섯'이다. 가을까지 활엽수림 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할 수 있다. ↓ 화양구곡 ● 졸각무당버섯(장미무당버섯) Russula rosacea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5~11㎝이고 처음에 둥근 산처럼 생겼다가 나중에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약간 파여 있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으며 핏빛이나 분홍색이고 때로는 갈라져서 흰색 살.. 2012. 10. 29.
졸각무당버섯(장미무당버섯) Russula rosacea 장미무당버섯은 '졸각무당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명은 '피빛갓버섯'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 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할 수 있다. ↓ 화양구곡 ● 졸각무당버섯(장미무당버섯) Russula rosacea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5~11㎝이고 처음에 둥근 산처럼 생겼다가 나중에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약간 파여 있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으며 핏빛이나 분홍색이고 때로는 갈라져서 흰색 살이 드러난다. 살은 단단하고 흰색이다. 매운맛이 나거나 맛이 없는 것도 있다. 주름살은 불투명한 흰색이고 버섯갓 가장자리는 붉은색이다. 버섯대는 굵기 1~2.5㎝, 길이 3~9㎝이고 표면이 연한 홍색이거나 흰색이다. 홀씨는 8~9.5×6~8㎛이고 달걀 모양이며 표면에 가시와 불완전한 그.. 2012. 10. 29.
청머루무당버섯 Russula cyanoxantha 갓 표면은 자주색, 연한 자주색, 녹색, 올리브색 등이 섞여 있으므로 대단히 변화가 많고 주름살은 흰색이다. 북한 이름은 '색깔이갓버섯'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12. 09. 22.  괴산 산막이옛길       ● 청머루무당버섯 Russula cyanoxanth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6~10cm로 처음에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가운데가 파인다. 갓 표면은 자주색, 연한 자주색, 녹색, 올리브색 등이 섞여 있으므로 대단히 변화가 많고 주름살은 흰색이다. 버섯대는 길이 4~5cm, 굵기 1.3~2cm로 위아래의 굵기가 같거나 아랫부분이 더 가늘며 단단하고 흰색이다. 홀씨는 7~9.5×5.5~7.5㎛로 공 모양에 가까우며 작.. 2012. 10. 27.
배젖버섯 Lactarius volemus 배젖버섯은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그냥 '젖버섯'이다. 젖버섯이란 이름처럼 상처를 주면 하얀 젖 같은 액이 다량 분비되며, 후에 갈색으로 변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림의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하며 나무뿌리와 공생하는 균근성 버섯이다. 식용버섯이다. ↓ 경남 합천 가회 야산 ● 배젖버섯 Lactarius volem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배젖버섯의 갓은 지름이 5~12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반반구형이며 갓 끝이 안쪽으로 굽어 있으나 성장하면서 갓 끝이 펴지고 중앙이 들어간 깔때기모양이 된다. 갓 표면은 매끄럽거나 가루 같은 것이 있으며, 황갈색을 띤다. 조직은 백색이나 상처를 주면 백색의 유액이 나오고 후에 갈색으로 변한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 2011. 9. 3.
황토색의 아름다운 갓, 흙무당버섯 Russula senecis 고향의 뒷산에서 만난 흙무당버섯. 황토의 질감과 색깔을 가진 갓이 편안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 이름은 '나도썩은내갓버섯'이라 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림의 맨땅에 흩어지거나 무리지어 나며 식물과 공생한다. 독버섯이지만 항암 성분도 가지고 있다. ↓ 합천 가회 ● 흙무당버섯 Russula senec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 지름은 5~10cm이고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한 모양으로 되고 가운데는 오목하다. 표면은 황토 갈색 또는 탁한 황토색이다. 가장자리에는 줄무늬 홈선이 있다. 살은 냄새가 조금 나고 매운 맛이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로 백황색 또는 탁한 백색이며 가장자리는 갈색 또는 흑갈색을 띤다. 자루의 길이는 5~10cm, .. 2011. 9. 3.
황금무당버섯(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 Russula aurea 갓 표면은 황적색, 등황색 등이 섞이고 습하면 끈적끈적하며 표피는 주변부로부터 잘 벗겨진다. 자루는 처음에는 흰색, 나중에는 레몬색으로 된다. 북한 이름은 '감빛노란갓버섯'. 여름부터 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 발생하며 참나무에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 버섯이다. 2011. 07. 31. 합천 가회 ● 황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지름 4~8cm 정도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성장하면서 오목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황색 또는 연한 황색이나 습하면 점성이 나타난다. 조직은 백색이나 표피 밑은 황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형이며, 빽빽하고, 처음에는 백색이나 성장하면서 연한 황색이 되며, 주름살 끝은 황색이다. 대의 길이는 5~9cm .. 2011.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