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극과78

땅빈대(Euphorbia humifusa), 애기땅빈대(Euphorbia maculata) 고향의 산등성이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땅빈대를 만난다. 사람의 발길이 빈번한 곳에는 애기땅빈대가 아주 흔하게 자라고 있는데 땅빈대는 애기땅빈대에 밀려 외진 곳에서 어쩌다 발견된다.   땅빈대는 땅빈대속 식물 중 유일한 고유종이며 유럽에서 극동아시아까지 온대지방에 두루 분포한다. 애기땅빈대와 달리 털이 거의 없고 잎 가운데도 적갈색 무늬가 없다. 애기땅빈대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종으로 땅빈대에 비해 잎 중앙에 붉은 반점이 있고 줄기와 열매에 털이 나는 점으로 구분된다.     2023. 10. 14-15.  합천 가회    ● 땅빈대 Euphorbia humifusa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 귀화식물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땅 위에 퍼지며, 길이 10-30cm, 자르면 젖 같.. 2024. 11. 28.
여우주머니 Phyllanthus ussuriensis 고향 집 뒷동산 양지바른 등성이에서 만난 여우주머니, 대극과 특유의 3실 열매가 조랑조랑 달려 있는 모습이다. 여우구슬과 아주 닮은 모습인데, 여우구슬에 비해서 잎은 줄기와 가지에 모두 달리며, 잎은 피침형으로 더 길고, 열매자루가 있는 점으로  구분된다. 여우구슬은 열매가 적갈색이고 오돌토돌한 돌기가 많고 자루가 거의 없다.  낮은 산지나 들 주변 풀밭에 자라는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중국 이름은 '밀감초(蜜柑草)'로 열매 모양이 밀감(蜜柑)을 닮은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지역, 몽골,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23. 10. 14.  합천 가회      ● 여우주머니 Phyllanthus ussuriensis | Ussuri river leafflo.. 2024. 11. 27.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대극과의 한새살이풀로 땅빈대와 모양과 크기가 아주 유사하나 잎 중앙에 붉은 반점이 있고 열매는 털이 나는 점으로 구분된다. 큰땅빈대에 비해 전초가 작으며 줄기는 눕고 전체적으로 털이 많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경작지 주변, 민가 주변의 길가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전 세계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전초를 약재로 쓴다.     2024. 09. 14.  서울    2024. 09. 23.  서울     ●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 spotted spurge, prostrate spurge, milk purslan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 귀화식물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 땅 위에 퍼지며, 길이 10~25cm,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 2024. 10. 18.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이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더욱 크다. 또한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피는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가지 끝부분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다소 긴 자루에 꽃차례가 달린다.  북중미 원산으로 동아시아, 유럽, 남미, 아프리카 남부, 뉴질랜드 등에 널리 퍼져 있다.    2024. 08. 09.  화순 백운산      ●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 eyebane, nodding spurg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 1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꼴 긴 타원모양 또는 긴 타원모양이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 2024. 8. 28.
유포르비아 포이소니 Euphorbia poissonii 대극과 대극속의 다육식물로 원산지는 나이지리아 북부이다. 독성 식물이라 종명 poissonii가 'poison(독성, 중독)'에서 유래한 게 아닐까 생각하기 쉬운데, 프랑스 식물학자 앙리 루이 푸아쏭(Henri Louis Poisson, 1877-1963)을 위해 명명된 식물이다.  대극속 식물들처럼 매우 자극적이고 유독성의 식물로 지역 농민들은 이 식물의 수지를 추출하여 살충제로 사용한다. 이 식물의 가장 활동적인 독소인 레시니페라톡신(resiniferatoxin)은 다른 신경 세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통증 수용체를 결합하고 죽이는 선택적 특성이 있어 만성 통증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고 한다.    2022. 09. 25. 송파 방이동 화원      ※ 레시니페라톡신(Resiniferatoxin, R.. 2022. 10. 9.
'요염'과 '교태', 크로톤(변엽목) Codiaeum variegatum var.pictum 누군가가 화단에 심어둔 크로톤에 꽃이 피었다.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이 나무는 잎 생김새와 색깔이 너무 다양해 '변엽목(變葉木)'이라고도 한다. 다양한 잎 색깔은 주색소인 안토시아닌의 작용으로 나타난다. 꽃말은 '요염', 또는 '교태'인데 이런 잎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자바섬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 제도에 분포하는데,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6종이 있다. 여기서 추출한 크로톤오일은 독성과 자극이 매우 크다고 한다. 유럽 상인들이 '크로톤'이라 부른 것이 현재까지 불려지고 있는데, 캘리포니아 지역 자생종인 원래의 크로톤(Croton californicus)은 같은 대극과의 다른 속 종이다. 2017. 07. 11. 수서동 ● 크로톤(변엽목) Codiaeum variegatum var. pict.. 2017. 7. 12.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북아메리카 원산의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 귀화식물이다. 땅빈대에 비해서 잎은 중앙에 붉은 반점이 있고 열매는 털이 나는 점으로 구분된다. 줄기가 눕고 전체적으로 털이 많은 점에서 큰땅빈대와 구별된다.  경작지 주변, 민가 주변의 길가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16. 06. 20.  서울 수서      ●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 spotted spurge, prostrate spurge, milk purslane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사상으로 지면을 따라 4방으로 퍼지며 잎과 더불어 털이 약간 있으며 왕왕 암홍색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장 타원형으로 길이 5~10mm, 너비 2~4mm이며 양끝이 둥글고 상반부 가장자.. 2016. 10. 31.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로 북중미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더욱 크다. 또한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피는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가지 끝부분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다소 긴 자루에 꽃차례가 달린다.    2016. 10. 09.  괴산 연풍            ●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 eyebane, nodding spurg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 1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꼴 기니 타원모양 또는 긴 타원모양이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등잔모양꽃차례이고, 1개의 수술.. 2016. 10. 18.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이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더욱 크다. 또한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피는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가지 끝부분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다소 긴 자루에 꽃차례가 달린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유럽과 아시아에 귀화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 풀밭에서 자란다. (Euphorbia maculata로 잘못 기록된 학명을 Euphorbia nutans로 정정하였다.)    2015. 07. 28.  신구대식물원         ●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풀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2015. 8. 12.
사람주나무 잎과 꽃차례 사람주나무는 대극과의 교목으로 줄기가 곧고 늘씬할 뿐만 아니라 흰 빛을 띠는 나무껍질이 아름다워 '백목(白木)'이라고도 불리며, 붉고 노란 가을 단풍이 특히 아름다워 가을산 속에서 금방 눈에 띄는 나무이다. 씨로 기름을 짜는데 기름이 귀하던 시절에 동백나무, 생강나무, 쪽동백나무 등과 더불어 귀중한 식용유로 사용되었으며, 불을 밝히는 등유용으로도 사용해 왔다. 특히 도료용으로 쓰임새가 컸다. 추위에 비교적 강해 설악산, 백령도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연석산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물결상의 톱니처럼 보이기도 한다. 잎자루 끝에 2개의 선점(腺點)이 있고 잎자루는 어린 가지와 더불어 붉은빛이 돈다. 총상꽃차례의 윗부분에 수꽃, 밑부분에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워낙 작아서 육안으로 보기는 쉽지 않은.. 2015. 6. 9.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온통 붉은 잎을 달고 노란 꽃을 피우던 개감수가 온 몸을 엽록소로 충전하였다. 아직 꽃의 흔적을 달고 있지만 곧 세 개씩 갈라지는 열매를 달 것이다. 개감수는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감수, 또는 낭독이라 불리기도 하는 독초다. ●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 대극과의 여.. 2015. 5. 7.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개감수는 대극과의 강한 독성을 지닌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의 색깔이 잎색과 거의 비슷하고 꽃의 모양은 뾰족한 별 모양을 하고 있어 이른봄 양지바른 숲속의 독특한 풍경을 이룬다. 큰 군락을 이루지는 않지만 뭉쳐서 자란다. 감수(甘遂)는 중국에서 나는 Euphorbia kansui 를 가리키는데 이와 비슷한 약효를 가지고 있어 개감수라고 한다. 천마산 ●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로 줄기는 가늘고 둥글며 곧게 서며 수염처럼 가늘고 흰 뿌리가 있다.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붉은 자주색을 띠는데 끊으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다. 잎 길이 3∼6cm, 나비 0.7∼2cm로 밑이 좁고 끝이 뭉뚝하며 .. 2015. 4. 14.
개감수 어린풀 Euphorbia sieboldiana 개감수는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수염처럼 가늘고 흰 뿌리를 가지고 있다. 꽃과 잎의 색깔이 녹황색으로 거의 비슷한데 꽃 모양이 별 모양을 하고 있다. 한줄기에 1개의 암꽃이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수꽃이다. 천마산 ●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 2015. 3. 25.
베트남의 식물(20) 후라 크레피탄스 Hura crepitans 베트남 후에의 숙소 필그리미지 빌리지에서 만난 후라 크레피탄스는 후이안에서도 보았던 대극과의 나무다. 운이 좋게도 꽃이 달린 모습도 만난다. 학명 : Hura crepitans 이명 : Hura brasiliensis, Hura senegalensis 영명 : sandbox tree, possumwood, jabillo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높이 30~40m 정도로 자라며 .. 2015. 2. 22.
베트남의 나무(10) 대극과의 교목, 샌드박스=후라 크레피탄스 Hura crepitans 호이안 옛마을에서 만난 나무. 처음에는 이 나무도 피쿠스의 일종이라고 믿었다. 잎 모양이 인도보리수를 연상시키는데 잎맥은 좀 다르다. 거기에다 기근(공기뿌리)이 전혀 없고 줄기는 곧게 자라는데 가시가 촘촘히 많이 나 있다.   피쿠스속 나무들을 샅샅이 찾아도 이런 특징을 가진 나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뜻밖에 대극과 나무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학명 : Hura crepitans(이명 : Hura brasiliensis, Hura senegalensis)영명 : sandbox tree, possumwood, abillo 과명 :대극과(Euphorbiaceae)   이 나무의 자생지는 동남아시아와는 거리가 먼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의 북부(북부 브라질 및 볼리비아)로 되어 있다. 낮은 지대 숲에서 생.. 2015.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