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631 자생지에서 만난 좀개미취 민통선 안에서 자생하는 것으로는 처음으로 만나본 좀개미취이다.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 Maack Aster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5-85cm이고 자주빛이 도는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산방상이 된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 2007. 12. 31. 고려엉겅퀴(곤드레나물) ※ 남한산 고려엉겅퀴 꽃 고려엉겅퀴 줄기와 잎 고려엉겅퀴 어린풀(곤드레나물)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구멍이·도깨비엉겅퀴·고려가시나물·곤드레나물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가 곧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뿌리.. 2007. 12. 28. 참취 참취 Aster scaber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이나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높이 1∼1.5m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진다. 뿌리잎은 자루가 길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으며 꽃필 때쯤 되면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뿌리잎과 .. 2007. 12. 25. 당분취 Saussurea tanakae 줄기에 날개가 두드러지게 발달한 점이 눈에 띄는데, 국내 분포하는 취나물속(Saussurea) 식물들 중에서 줄기에 가장 넓은 날개를 가진 한국 특산종이다. 주로 백두대간 산지(강원, 경북)에 분포한다. 선자령 ● 당분취 Saussurea tanakae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 2007. 12. 24. 두메고들빼기(울릉도) Lactuca triangulata 나리분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아직 꽃이 피지 않은 모습이다. 산씀바귀와 달리 날개가 있는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잎은 삼각형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2007. 07. 24. 울릉도 나리분지 꽃맹아리가 움직거리고 있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초롱꽃목 국화과 산씀바귀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날개가 있는데, 잎자루 밑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싸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7∼8월에 노란색으.. 2007. 12. 14. 비쑥 Artemisia scoparia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국화과 쑥속의 한두해살이풀이다. 사철쑥(A. capillaris)과 아주 비슷한데, 여러해살이인 사철쑥에 비해 한두해살이 초본으로 왜소하고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되지 않으며 머리모양꽃의 지름이 1mm로 작다. 울릉도 ● 비쑥 Artemisia scoparia / 국화과 쑥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방추형이고 흔히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곧추서며 때로 붉은빛을 띠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높이는 50∼100cm이고 기부에 때로 다음해의 새싹이 나며 새싹은 끝에 잎이 로제트상으로 난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에 마르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3∼5cm이고 1∼2회 깃꼴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고 잎자루는 2∼6.5cm이며 위로 갈수록 잎은 작아진다. 꽃은 8∼.. 2007. 12. 13. 서양개보리뺑이 Lapsana communis 처음 이 녀석들을 만났을 때는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개보리뺑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그늘보리뺑이와도 다른 듯한데 본 적이 없는 낯선 모습에 도무지 그 이름을 떠올릴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울릉도의 식물들에 대한 여러 자료들을 찾다가 바로 서양개보리뺑이라는 것이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잎이나 줄기의 모습도 비슷한데다 결정적으로는 열매가 회갈색의 방추형이라는 설명을 보고는 무릎을 쳤다. 내가 담은 이미지 자료 모습 그대로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해살이풀이다. 유럽 원산이나 북·남아메리카, 하와이, 호주, 일본에 귀화되었고, 경기도 안산시 수인산업 도로변에서 채집되기도 하였다고 하며, 울릉도에도 야생화로 귀화한 것이 확인되었다. 서양개보리뺑이의 꽃 서양개보리뺑이의 열매 서양개보리뺑이의 줄기와 줄기잎 꽃이 핀.. 2007. 12. 13. 물엉겅퀴(섬엉겅퀴) Cirsium nipponicum 물엉겅퀴는 섬엉겅퀴라고도 한다. 울릉도의 엉겅퀴로 잎에 가시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울릉도의 밭 곳곳에서 채소로 기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산지의 길가에서 자란다. 작은 멋장이나비가 꿀을 빨고 있다. ●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높이가 1∼2m이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지고,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며 길이 20∼30cm의 바소꼴의 타원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고 때로는 5∼6쌍의 깃꼴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은 8∼11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頭.. 2007. 12. 10. 섬쑥부쟁이(부지깽이나물) Aster glehni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나물이라고 부르는데, 섬 곳곳 마을 주변이나 산속의 밭에는 나물로 먹기 위해 재배하고 있다. 꽃이 피기에는 많이 이른 시기였지만 아래의 꽃을 만날 수 있었다. ●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 m 내외로서 줄기에는 잔털이 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은 스러지며 타원형으로서 짧은 대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13∼19cm, 나비 4∼6cm이다. 또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1.5 cm 정도로서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총포(總苞)는 통형이고 포조각은 2∼3줄로 배열되.. 2007. 12. 10. 울릉도의 해국(왕해국) Aster spathulifolius 아직도 한여름인 7월 말, 울릉도 해안 절벽 위에 해국이 보랏빛 꽃을 피웠다. 울릉도와 제주도의 해국을 왕해국(A. spathulifolius var. oharai)이라 부르기도 하였으나 2005년 해국으로 통합되었다. ● 해국 Aster spathulifolius /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 반목본성 초본 높이 30-60cm이고 줄기는 목질성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기부에서 여러 개로 갈라진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둔두 예저이고 길이는 3~20cm, 폭은 1.5~5.5cm로서 잎 양면에 융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몇 개의 큰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3cm이다. .. 2007. 12. 5.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glabrescens 잎에 난 거센 털이 소의 혀같이 깔깔하게 감촉되어 '소의 혀나물'이란 뜻의 쇠서나물로 불려지게 되었다. ●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glabrescens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90cm 내외로서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붉은빛을 띤 갈색의 굳은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로제.. 2007. 12. 4. 도깨비엉겅퀴 Cirsium schantarense 도깨비엉겅퀴는 큰엉겅퀴처럼 두상화가 고개를 숙인 모습으로 달리는 엉겅퀴로 수그린엉겅퀴로 불리기도 하며, 경상북도·강원도를 포함하여 북부지방의 깊은 산지에 분포한다. ● 도깨비엉겅퀴 Cirsium schantarense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홈이 팬 줄이 있으며 위쪽에 거미줄 같.. 2007. 12. 4.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백두산 부근에서 만난 각시취는 두해살이풀로 남한에서는 깊은 산지에서만 만날 수 있지만 만주지역의 야지에서는 거의 잡초 수준으로 흔하게 자라는 풀이다. ●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30~150cm로 곧게 자라며 잔털이 있다. 뿌리에 달린 잎과 밑동의 잎.. 2007. 12. 4. 참나래박쥐나물 Stellaria radians 참나래박쥐나물은 백두산 주변 함경도 지역에 자라는 한국 특산종 박쥐나물로 꽃이 노랗게 피며 잎자루 날개의 톱니가 있는 점이 나래박쥐나물과 구별된다. ● 참나래박쥐나물 Stellaria radians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 밑 부분의 지름은 1.5cm이고 윗부분.. 2007. 12. 4. 어리곤달비 Ligularia intermedia 장백폭포 부근 언덕에 긴 꽃차례에 긴 꽃잎이 노랗게 달린 곰취 종류가 대군락을 이루고 있는데 바로 어리곤달비다. 백두산에는 곰취 종류로 곰취 외에 곤달비, 어리곤달비, 무산곰취, 화살곰취, 긴잎곰취 등이 자생하고 있다고 한다. 곤달비와 어리곤달비는 긴 꽃차례에 긴 꽃잎을 가졌.. 2007. 12. 4.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