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631 브라키스코메(Brachyscome), Swan River Daisy Brachyscome속은 사계국화에 비해 전체가 가늘어 '가는잎사계국화'라 부르기도 하는 모양이다. 수많은 원예종이 개발되어 있는데, 흔히 보는 애기코스모스(Brachyscome iberidifolia)의 길고 가느다란 잎 모양과는 잎이 잘게 여러 겹(3회 깃꼴)으로 갈라져 있는 점이 좀 다른 느낌이다. 검색해 보니 Brachyscome multifida (Cut-leaved daisy)와 비슷하고, 그 한 품종으로 보이는 Brachyscome multifida 'Amethyst'(Amethyst Brachyscome)인 듯하다. 2008. 6. 21. 주걱개망초 Erigeron strigosus,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 주걱개망초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잎이 주걱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주걱개망초.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경기도 서해안의 대부도, 여주,서울의 한강 고수부지에서 발견되었다. 대모산 ● 주걱망초 Erigeron strigosus / 초롱꽃목 국화과 개망초속 높이 30-100㎝이다. 줄기에 상방으로.. 2008. 6. 21. 엉겅퀴 이 땅을 숨쉬며 살아온 분들이 항가새라고 불렀던 꽃, 온 몸에 저항의 가시를 곤두세우고 불을 토하며 메마른 산천에 지천으로 피어나는 억센 민중을 닮은 풀꽃. 엉겅퀴를 만나면 애잔한 한을 담은 노래 하나를 떠올리고 읊조리게 된다. 시인 민영이 쓴 시에 이정란이 곡을 붙인 민요 가락... 엉겅퀴야 .. 2008. 6. 21. 씀바귀꽃, 줄기잎, 뿌리잎 아래 이미지는 숲그늘에서 꽃이 필 때 씀바귀의 모습이다. 씀바귀의 꽃 씀바귀의 줄기잎 씀바귀의 뿌리잎 ● 씀바귀 Ixeris dentata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5∼5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며 거꾸로 .. 2008. 6. 16. 클레이니아 Kleinia grantii(Senecio grantii) 클레이니아속은 카나리아제도, 열대아프리카, 인도 등지에 분포하는 50여 종을 포괄하는 국화과의 다육 식물이다. 쑥방망이속(Senecio)과 가까운 종으로 줄기와 잎에 수액이 많은 특징으로 구별된다. 원산지는 동아프리카(이디오피아, 소말리아, 케냐, 탄자니아, 잠비아 등))이며 해발 500–1900m 초원과 열린 숲 지대, 종종 암석지대에서 자란다. ● 클레이니아 Kleinia grantii / 국화과 클레이니아속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 최대 0.5m 높이로 자란다. 줄기는 매끄럽고 지름 1cm이며 땅을 따라 기울어져 있다. 잎은 줄기 주위에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타원형으로 길이 3-11cm, 너비 0.5-3cm이며 회색에서 푸른 녹색으로 매끄럽고 부드럽고 톱니가 없다. 꽃차례는 9-50cm 높이의 꽃 줄기.. 2008. 6. 8. 쑥국화(탠지) Tanacetum vulgare 흔히 탠지라는 허브 원예종으로 널리 알려진 쑥국화는 우리 나라 북부지방에서부터 동시베리아 일대에까지 자생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오랜 옛날부터 죽지 않는다는 뜻의 그리스어 '아타나시아(Athanasia)'로 알려져 있는데, 한여름에서 초겨울까지 계속 피어 있거나 마른 꽃이 .. 2008. 6. 3. 마거리트 Chrysanthemum frutescens 아프리카 카나리아 제도가 원산지로 줄기와 잎이 쑥갓 같아서 나무쑥갓이라고도 불린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국화를 닮은 꽃이 피는데, 짙은 녹색의 잎과 흰 꽃의 조화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100∼200종, 한국에는 17종의 다양한 원예 품종이 있다. 꽃.. 2008. 6. 3. 뻐꾹채 ▶ 서울대공원 ▶ 홍릉수목원 뻐꾹채 Rhapontia uniflor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뻑꾹나물·대화계·루로라고도 한다.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30∼70cm이고 흰색 털로 덮여 있다. 가지가 없고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간다. 원줄기는 꽃줄기 같고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뿌.. 2008. 6. 3. 조뱅이 조뱅이 Cephalonoplos segetum | Creeping thistle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밭 가장자리와 빈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순이 나와 높이 25∼50cm로 자란다. 줄기는 어긋나고 타원상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와 더불어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2008. 6. 1. 선씀바귀 Ixeris strigosa 선씀바귀는 국화과 선씀바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흔히 흰 꽃이 핀다고 하여 흰선씀바귀라고 하며 흰 꽃이지만 붉은 빛이 엷게 또는 아주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노란 꽃이 피는 선씀바귀는 노랑선씀바귀라 부른다. 선씀바귀 뿌리잎 ● 선씀바귀 Ixeris strigosa / 국화과 선씀바귀속의 .. 2008. 5. 12. 솜나물꽃(부싯깃나물) 솜나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인데, 볕이 아주 잘 드는 곳에 잘 자란다. 꽃은 어린 봉오리일 때는 분홍빛이 진했다가 점차 옅어지는데, 주로 흰색이지만 연한 분홍빛이 돌기도 한다. 갓 싹이 터 자라난 온몸에 흰 섬유질이 솜처럼 덮여 있어 '솜나물'이라 하였다. 솜다리, 솜방망이, 솜대, 솜.. 2008. 3. 30. 솜나물 Leibnitzia anandria 국화과 솜나물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풀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촘촘히 나 있어 솜나물이라 부르며, 솜이 귀할 때에 이 풀의 잎을 말려서 부싯깃솜으로 쓴다고 해서 부싯깃나물이라고도 한다. 또 잎으로 떡을 만들어 먹기도 해 떡취라고 하며 까치취라고도 한다. ● 솜나물 Leibni.. 2008. 3. 30. 털도깨비바늘 Bidens biternata 털도깨비바늘은 잎에 털이 더 많으며, 작은잎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많은 톱니가 있다. 도깨비바늘의 설상화가 1~3개인 데 비해 5개의 설상화가 온전하게 달리는 경우도 흔하다. 남한산성 ● 털도깨비바늘 Bidens biternata / 국화과 가막사리속 한해살이풀 높이 30∼150cm이다. 줄기는 .. 2008. 2. 10. 금불초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 금불초 金佛草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하는데 높이 30∼60cm이고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잔톱니가 있다. 잎 길이 5∼10cm, 나비 1∼3cm.. 2008. 2. 10. 상추 꽃 Lactuca sativa 상추는 널리 재배되는 쌈채소로 우리의 식탁에 없어서는 안 될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중국을 통해 전래되었다. ● 상추 Lactuca sativa | lettuce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가 90∼12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나온 잎.. 2007. 12. 31.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