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631

두메분취와 산각시취 백두산에서 만난 두메분취와 산각시취는 얼핏 보면 닮았다. 처음엔 이 둘을 같은 것으로 생각했는데 자세히 보니... 전자가 통통한 줄기 끝에 곷이 한 송이 달리고 후자가 여러 송이 달리며 줄기잎의 모양이 전자가 피침형이라면 후자는 달걀형으로 많이 달라 보인다. 인터넷에는 각시취로 보이는 것들이 산각시취란 이름으로 떠도는데 두메분취나 산각시취가 모두 북부지방 높은 산지에 자생하는 것이므로 잘못된 것이다. ● 두메분취 ● 두메분취 Saussurea alpicola /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갈색 솜털이 많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0∼20cm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란다. 밑동에서 나온 잎은 타원형 바소꼴이고 다소 둥글며 그 끝은 뾰족하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으로.. 2007. 12. 2.
바위구절초 바위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선모초(仙母草)·고산시베리아국이라고도 한다. 깊은 산 중턱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벋으면서 퍼진다. 전체에 털이 빽빽이 나고, 줄기는 회색빛을 띤 흰색으로 높이 15∼30cm이며 곧추 선다. 잎은 깃꼴로 깊게 갈라.. 2007. 12. 2.
구름국화 구름국화 Erigeron thunbergii var. glabrat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동국·구름금잔화·산망초·무모장씨비련(无毛臟氏飛聯)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외대로 곧게 서며 높이는 10∼35cm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주걱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5∼10cm, 나비 10∼18mm이고 .. 2007. 12. 2.
껄껄이풀 껄껄이풀 Hieracium coreanum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넓은잎조밥나물·고려조팝나물·조선산유국(朝鮮山柳菊)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다. 뿌리줄기는 검은색이고 줄기에 털이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긴 타원형 바소꼴이며 나비 2∼3cm이고 잎자루는 3∼14cm.. 2007. 12. 2.
금방망이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곧추선다.높이 45∼10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뭉쳐나며 곧게 자라고 능선(稜線)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긴 타원상 바소꼴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짧다. 7∼8월에 .. 2007. 12. 2.
설상화가 또렷한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열매가 까맣게 달라붙으며 사는 존재라 해서 가막사리란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가막사리의 잎은 깃꼴겹잎으로 끝부분의 작은잎(頂小葉)에 잎자루가 또렷한 점, 두화(頭花)에 짧지만 설상화가 있는 점 등으로 가막사리와 구별된다. 1970년대까지는 남부지방에서 드물게 발견.. 2007. 10. 16.
해국 Aster spathulifolius 중부 이남의 해변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반목본성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라며 줄기는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다. 동해안 ● 해국 Aster spathulifolius /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 반목본성 초본 높이 30-60cm이고 줄기는 목질성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기부에서 .. 2007. 10. 12.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국화과 도께비바늘속의 한해살이풀로 밭둑이나 논가가, 습지 주변에서 자란다. 설상화가 없다. 양양 습지 ●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 한해살이풀 높이 20-15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이지만 중앙.. 2007. 10. 12.
한 송이 꽃만 피운 꼬마 뚱딴지(돼지감자) 교정 정원 소나무들이 서 있는 그늘 언덕에 어디에서 씨앗이 와서 자란 것인지 뚱단지 한 녀석이 자라서 꽃을 피웠다. 그 꽃조차도 딱 한 송이... 뚱딴지로도 모자라 돼지감자라고도 불리는 푸대접이 서러워 어떤 꽃도 부럽지 않은 황금빛 꽃 송이를 피워올렸는데, 누가 눈길이라도 주었.. 2007. 9. 15.
노랑코스모스 Cosmos sulphureus 노랑코스모스는 멕시코 원산의 국화과 한해살이풀이다. 1930~1945 년 무렵에 한국에 들어왔고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고 있으며 일부 일출되어 야생화되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기재문에는 줄기에 털이 없다고 하는데, 아래에서 보다시피 털이 많이 보인다. ●노랑코스모스 Cosmos sulphureus | Yellow Cosmos, Orange Cosmos / 초롱꽃목 국화과 코스모스속 한해살이풀 40-100㎝ 높이로 자라고 곧추 서며 가지를 많이 치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는데 아래쪽의 잎에는 긴 잎자루가 있다. 잎새는 윤곽이 세모꼴 달걀모양인데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타원형이나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양면 모두 털이 없다. 위쪽의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1-2회 깃꼴로 깊게 갈라.. 2007. 8. 4.
여우오줌(왕담배풀) Carpesium macrocephalum 지금은 담배라는 식물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1970년대 농촌의 들판은 누에를 치기 위한 뽕밭만큼이나 담배를 얻기 위한 담배밭이 아주 흔했디. 까칠까칠하고 끈끈한 점성이 있는 넓은 잎들이 달고 자라는 담배밭에는 담배다운 독특한 향기를 풍겼다. 지금 산에서 만나는 담배풀속 종들의 이름은 그러한 담배에 비해서는 아주 작지만 담배잎을 연상시키는 잎 모양에서 유래된 것이다. 담배풀속(Carpesium) 자생종으로는 담배풀 외에도 긴담배풀, 천일담배풀, 두메담배풀, 애기담배풀, 좀담배풀, 여우오줌 등이 있는데, 여우오줌은 담배풀 중에서도 전초의 모든 부분이 커서 '왕담배풀'이라 불린다. 다른 담배풀 종들에 비해 가지도 늠름히 벋고 잎과 꽃, 총포 등이 아주 큰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여우오줌 Carpes.. 2007. 7. 20.
나래박쥐나물 꽃 Parasenecio auriculatus var. kamtschatica 나래박쥐나물은 잎자루에 톱니 없는 날개가 있고 잎자루 밑이 귓볼처럼 둥글어지며 줄기를 감싼다. ● 나래박쥐나물 Parasenecio auriculatus var. kamtschatica / 초롱꽃목 국화과 박쥐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60-120cm이고 윗부분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엉킨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중앙 이하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쯤 되면 쓰러지고 그 윗부분의 잎은 3~4개가 드문드문 달리며 콩팥모양이고 끝이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길이 7~17cm, 폭 11~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좌우 밑부분에 1~2개의 돌기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4.5~9cm로서 기부가 귀처럼 넓다. 꽃은 8.. 2007. 7. 20.
곰취 Ligularia fischeri ● 곰취 Ligularia fischeri / 초롱꽃목 국화과 곰취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2m 정도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홈줄이 있고 담갈색의 거미줄털이 밀생한다. 굵은 근경이 있으며, 사방으로 뿌리가 뻗어 있다. 근생엽은 길이가 85cm에 달하는 것이 있으며 콩팥모양이고, 길이 32cm, 폭 40cm로 가에는.. 2007. 7. 20.
망초, 또는 잔꽃풀 2007. 07. 02 대모산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망초는 이 땅에서도 가장 흔한 잡초로서 끈질긴 생명력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원줄기 끝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잔꽃풀'이라고도 불리는데, 자잘한 .. 2007. 7. 5.
캐모마일 Chamomile 캐모마일은 카밀레라고도 하는 국화과의 풀인데, 흔히 차로 애용하고 있다. 사과와 같은 향이 나는 식물 이라 '땅-사과'를 가리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개꽃아재비(Anthemis cotula)나 길뚝개꽃(Anthemis arvensis), 족제비쑥(Matricaria matricariodes)도 캐모마일과 유사종이다. 남한산성 입구 민가 ● 캐모마일 Chamomile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저먼 캐모마일(German Chamomile: Matricaria recutica)과 로만 캐모마일(Roman Chamomile: Anthemis nobilis), 보데골드 캐모마일(Bodegold Chamomile), 다이어스 캐모마일(Dyer's Chamomile) 등이 있는데.. 2007.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