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의 풀꽃나무116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울릉도에서 만난 왕매발톱나무, 아쉽게도 꽃차례만 올라와 있을 뿐 아직 꽃잎을 열려면 일 주일은 더 있어야 할 것 같다. ● 왕매발톱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관목 높이 약 2m이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오며 길이 1~2cm의 예리한 가시가 3개로 갈라져 턱잎과 함께 있다. 2년생 가지는 회색 또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며 작은 가지에는 홈이 있다. 잎은 새로 난 가지에서는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것처럼 보인다. 길이 3~8cm로 둥글거나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바늘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짧은 가지 끝에 길이 10cm 정도의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2011. 5. 18.
바위수국(Elaeagnus macrophylla) / 등수국과 바위수국 비교 범의귀과 바위수국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낙엽 덩굴식물이다. 제주도와 울릉도에 등수국과 함께 자생하는데, 헛꽃이 3-4개인 등수국과 달리 1개밖에 없는 점으로 따로 바위수국속으로 분리되었다. 수국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바위 겉에 붙어서 자라는 특성 때문에 바위수국이라 한다. 울릉도,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의 섬에서 자생한다. 울릉도 도동 ● 바위수국 Elaeagnus macrophylla / 장미목 범의귀과 바위수국속 덩굴나무 줄기 길이 10m에 이른다. 줄기에서 공기뿌리(기근)가 나와 나무나 바위 겉에 붙어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은 5~12㎝로 털이 거의 없거나 잎맥 위에 잔털이 있기도 하다. 잎자루는 길이 3~7㎝로 붉은빛이 난다. 꽃은 7월에 가지.. 2011. 5. 18.
울릉도에 핀 산복사나무 꽃 울릉도 ● 산복사나무 Prunus davidiana / 장미과의 낙엽활엽 소교목 잎은 호생하고 좁은 난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에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에 간혹 밀선이 있다. 소지는 회갈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지름 2.. 2011. 5. 18.
보리밥나무 열매 Elaeagnus macrophylla 4월 말, 울릉도엔 보리밥나무의 열매가 붉게 익어가고 있는 중이다. 지난해 늦가을에 꽃을 피워 월동한 열매가 봄을 맞아 익어가고 있는 것이다. 울릉도 사람들은 이 나무를 '뽈뚜나무', 열매를 '뽈뚜'라 부른다.  보리수나무가 봄에 꽃을 피워 가을에 열매가 익는 데 비해, 보리밥나무는 가을에 꽃이 피어 이듬해 봄에 열매가 익는다.    2011. 04. 23.  울릉도                    ●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덩굴 관목 길이 2~3m 정도로 자라며 암갈색의 수피는 껍질눈이 발달하고 노목은 세로로 길게 갈라진다. 어린가지는 비늘털로 덮이며 길게 뻗어가며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표면.. 2011. 5. 18.
느티나무 꽃봉오리 4월 하순, 울릉도의 느티나무는 아직 꽃봉오리 상태, 채 피지 않아 꽃의 세부 모습을 관찰하기 어려운 모습이다. 울릉도 아직 미성숙한 모습이지만 수술의 형태가 보인다. ●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 Sawleaf Zelkova, Elm-like Tree / 느릅나무과의 교목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 2011. 5. 18.
울릉도의 선갈퀴(Asperula odorata) 선갈퀴를 울릉도에서 만난다. 선갈퀴는 6~10장씩 돌려나는 잎 모양이 수레 같아 수레갈퀴아재비라 불리기도 한다. 줄기가 곧게 서서 짧은 꽃차례에 하얀 꽃을 피우는 모습이 덩굴성이거나 구부정한 다른 갈퀴류와는 달리 단정하고 아름답다. 마르면 짙은 녹색으로 변하고 향기가 있어 잎.. 2011. 5. 18.
우산고로쇠 Acer okamotoanum 우산고로쇠란 울릉도에서 자라는 특산종 고로쇠나무로, 잎이 5갈래로 갈라지는 고로쇠나무와 달리 우산고로쇠는 6~9갈래로 갈라지며 가지에 털이 없고 고로쇠나무에 비해 잎과 열매가 더 크다. 그러나 지금은 고로쇠나무로 통합되었다. 울릉도 ● 우산고로쇠 Acer okamotoanum / 단풍나무과 .. 2011. 5. 18.
울릉도의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의 관목 ●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 Korean spice viburnum /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마주나며 햇가지와 겨울눈에 별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3~10cm로서 넓은 달걀형 또는 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 2011. 5. 18.
금새우난초(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금새우난초는 멸종위기종으로 신안군 및 제주도가 주 분포지역으로 완도군; 경상북도 울릉군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다. 울릉도 도동과 태하의 민가에서 화분에 심어 놓은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땅속줄기는 마디가 많고 연주(連珠) 모양이며 수염뿌리가 많.. 2011. 5. 18.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에서 자란다. 벚나무에 비해 꽃이 약간 작고 꽃자루와 꽃줄기가 짧아 개벚나무와 구별된다. 해안 절벽에 관목상으로 자생하는 섬벚나무 ●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 장미과의 교목 높이 20 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작은가지는 털이 없고 겹눈은 긴 타.. 2011. 5. 18.
섬괴불나무 Lonicera insularis 섬괴불나무는 울릉도 해안 산기슭에 곳곳에 자생하는 인동과의 관목이다. 4월 중순, 울릉도의 섬괴불나무는 꽃봉오리만 살짝 내밀었을 뿐 아쉽게도 꽃이 피지 않은 상태다. ● 섬괴불나무 Lonicera insularis / 인동과의 관목 높이 5~6m이며 줄기는 올라와 우산 모양을 이루고 어린가지에는 융.. 2011. 5. 18.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울릉도 ●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 측막태좌목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60cm이다. 줄기는 둥글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밑부분이 서로 접근하여 원줄기를 감싸고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바소꼴 또는 긴 달걀 모양으.. 2007. 12. 15.
사철채송화 (송엽국), 채송화 화단 원예종으로 가장 사랑받는 꽃, 사철채송화와 채송화는 이름으로나 잎의 모양으로도 비슷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계통을 살펴보면 사철채송화는 석류풀과, 채송화는 쇠비름과로 둘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사철채송화(송엽국) Lampranthus spectabilis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류풀과.. 2007. 12. 15.
울릉도의 섬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섬백리향은 나리분지에 울릉국화와 함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철망 울타리를 쳐 놓기는 했지만 보호가 허술해 울릉국화와 함께 군데군데 파간 흔적이 보인다. 함께 있는 울릉국화는 구절초의 한 종인데 어찌하여 '섬구절초'라 하지 않고 '국화'라는 이름을 붙였.. 2007. 12. 14.
울릉도의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섬말나리는 울릉도 특산의 말나리로 잎이 층층이 돌려나는 모습이 특징이다. (하늘말나리도 2층으로 돌려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6월에 피기 시작하여 7월이면 지는데 7월 하순 성인봉 능선 심한 비바람과 안개 속에서 몇 포기의 섬말나리꽃을 운 좋게 만날 수 있었다. ● 섬말나리 Li.. 2007.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