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땅속 줄기로 개체증식하는 큰개별꽃의 뿌리,폐쇄화 봉오리 ▶ 서울대공원 부근 산지 방추형의 뿌리가 2갈래로 나고 마디에는 폐쇄화 봉오리가 달렸다. 땅속 줄기로 새로운 개체 번식이 됨을 볼 수 있다. 뿌리가 5~6 갈래로 많이 갈라지기도 한다. 역시 땅속 줄기로 개체번식됨을 보여 준다. ●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 / 석죽과의 여러해살이.. 2008. 6. 2. 개갓냉이 2008. 6. 2. 그냥 황새냉이일까... ▶ 청계산 골짜기 부근 2008. 6. 2. 쇠별꽃 ▶ 청계산 서울 대공원 가까운 골짜기 2008. 6. 2. 조뱅이 조뱅이 Cephalonoplos segetum | Creeping thistle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밭 가장자리와 빈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순이 나와 높이 25∼50cm로 자란다. 줄기는 어긋나고 타원상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와 더불어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2008. 6. 1. 개미자리 Sagina japonica 석죽과 개미자리속(Sagina)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 개미자리 : 암술머리 5갈래, 수술 5~10여 개 큰개미자리 : 암술머리 5갈래, 수술 5~10여 개. 꽃자루와 꽃받침에 선모가 있어 개미자리와 구별된다. 갯개미자리 : 잎은 반원기둥형 줄 모양. 암술머리 3갈래, 수술 5개 ※ 금산 고.. 2008. 6. 1.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꽃이삭이 촛대처럼 홀로 서 있는 모습이 외로운 홀아비를 연상시켜서 홀아비꽃대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한 송이 꽃을 피우는 바람꽃이 홀아비바람꽃이란 이름을 얻는 것과 같다. 그런데 비슷한 종으로 옥녀꽃대라는 자생하고 있으니 홀아비꽃대는 덜 외로울 듯하다. 옥녀꽃대가 존재하여도 홀아비꽃대의 꽃말은 '외로운 사람'이다. 홀아비꽃대는 전국의 깊은 산 나무그늘에서 자생하는데, 옥녀꽃대는 경남과 전남 등 따뜻한 남부지방이나 서해안 등에 자생하고 있다. '홀아비'는 '옥녀'를 만나볼 수 없는 신세, 그래서 홀아비꽃대는 외롭다. 홀아비꽃대는 후추목 홀아비꽃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이름으로 은월초, 은연초, 홀꽃대, 등룡화, 가세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학명은 Chloranthus japonicus로 속명인 클.. 2008. 5. 31. 새모래덩굴 수꽃 Menispermum dauricum 새모래덩굴은 방기과의 새모래덩굴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암수딴그루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암꽃을 찾지 못해 수꽃만 담아서 아쉽다. 2008. 05. 10.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3∼10mm이고 잎몸의 뒷면에 달린다.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노란 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조각이 4∼6개이고 꽃잎이 6∼10개이며 수.. 2008. 5. 31. 참꽃마리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남한산 ● 참꽃마리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 지치과(Boraginaceae)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처음에는 곧추 서나 높이 10~15cm 정도 자란 다음 지면을 따라 뻗으며 전체에 압모가 있다. 뿌리잎은 모여나고(총생), 줄기잎은 어긋나고 심장모양 달걀꼴 또는 달걀꼴로 길이 1.5~4cm이며 끝은 뾰족하.. 2008. 5. 30. 설령쥐오줌풀(털쥐오줌풀) Valeriana amurensis 처음엔 그냥 쥐오줌풀로 보아 넘겼는데, 다시 보니 줄기 전체에 털이 많고 소엽이 9개인 잎이 마주나는 점 등으로 보아 설령쥐오줌풀이라는 생각이 든다. 쥐오줌풀은 줄기의 마디 부근에만 흰 털이 있고 소엽은 5~7개인 데 비하여 설령쥐오줌풀은 줄기 중간의 잎이 가장 크고 9-11개 소엽이 있다. 설령쥐오줌풀은 설령, 관모봉 등 북부지방과 무등산, 남한산성에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2008. 05. 10. 남한산성 ● 설령쥐오줌풀 Valeriana amurensis / 산토끼꽃목 마타리과 쥐오줌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굳게서며 지름 1cm에 이르고 기부에 홈줄이 있으며 역모가 다소 있고 윗부분에 퍼진 털이 있다. 근경은 짧고 수염뿌리가 뭉쳐 자라며 강렬한 향기가 난다. 잎.. 2008. 5. 30. 의문의 '초록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im for. viridis 초록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im for. viridis Y Lee for. muv. 2006년 4월 북한산에서 발견된 것으로 이영노 박사가 이름을 붙인 것이다. 기재문은 '태백제비꽃과 비슷하나 꽃이 녹색이다.'라고 간략히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태백제비꽃과 비슷한 것이 아니라 같으며, 꽃이 녹색인 점만 다른 것이 .. 2008. 5. 30. 벌깨덩굴 ▶ 광릉 ▶ 천마산 ▶ 남한산 벌깨덩굴 Meehania urticifolia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잎 모양이 깻잎을 닮았다고 해서 벌깨덩굴이라 불리며, 봄철에 산지의 숲속에서 몇 개씩 모여 자란다. 꽃이 피는 방향이 모두 같은 것이 특징이며 이것이 꽃을 더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꽃에는 가.. 2008. 5. 29. 용둥굴레, 퉁둥굴레, 왕둥굴레 용둥굴레와 퉁둥굴레는 꽃이 포엽에 싸여 핀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꽃의 크기 숫자, 색깔에서 차이가 난다. 퉁둥굴레와 왕둥굴레는 여러 개의 작은 꽃이 핀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포엽의 유무로서 확연히 구별된다. 용둥글레 꽃이 포엽에 싸여 1쌍씩 핀다. 꽃의 색깔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용둥.. 2008. 5. 29. 당개지치,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 ● 당개지치 Brachybotrys paridiformis / 지치과의여러해살이풀 높이가 40cm에 달하고 가지가 없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잎과 더불어 짧은 털이 누워난다. 뿌리줄기는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움이 돋아 군락을 이룬다. 잎은 어긋나는데 밑부분의 것은 막질의 초엽 같고 위로 가면서 긴 잎.. 2008. 5. 29. 당개지치 Brachybotrys paridiformis ● 당개지치 Brachybotrys paridiformis / 지치과의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군데군데에서 새싹이 나온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없으며, 높이는 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밑 부분의 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 같으며,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긴 .. 2008. 5. 29. 이전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