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곰배령의 얼레지 씨에서 싹이 터 꽃이 피기까지 7년 이상 걸린다는 얼레지! 얼레지 군락지는 자연이 파괴되지 않고 보존되어 온 세월을 그대로 말해 준다. 예로부터 얼레지의 알뿌리(비늘줄기)에서 녹말가루를 얻을 만큼 많았으나, 지금은 수효가 많이 줄어 감자로 대신한다. 인제군 진동리 곰배령 ● 얼.. 2008. 5. 27.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인제군 곰배령 ●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 제비꽃과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꾸불꾸불하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며 원줄기가 없고 심장형으로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5∼10cm, 나비 6∼11cm로 끝이 점점 뾰족해진다.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하고 털이 .. 2008. 5. 26. 한계령풀 Leontice microrhyncha 강원도 깊은 산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설악산 한계령 능선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계령풀이라고 불리며, 희귀종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두해살이풀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여러해살이풀이라고 한다. 꽃이 지고 난 5월 이후부터 지상부가 말.. 2008. 5. 26. 한계령풀 Leontice microrhyncha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식물로 백두대간의 높은 산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옮겨 심으면 잘 살지 못하는 까다로운 식물인데 자생지에서 개체수는 줄어들고 있다. 2년초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다년초이다. 4월초에 개화하여 5월 중순 경에 지상부는 고사한 후.. 2008. 5. 26. 큰연영초(큰연령초) Trillium tschonoskii ● 큰연영초 Trillium tschonoskii | Tschonosk Trillium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 끝에 엽병이 없는 잎 3개가 윤생한다. 잎은 난상 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7-17cm로서 3-5맥과 그물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원줄기는 1-3개이고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끝에 3개의 잎이 윤생한다. 근경은 굵고 .. 2008. 5. 26. 산장대(큰산장대) Arabis gemmifera ● 산장대 Arabis gemmifera /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엽병이 있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3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끝이 크고 둔하며 밑부분의 열편은 작아져서 마침내 소돌기로 되어 엽병과 연결되고 정열편이 가장 크며 측열편과 더불어 둔한 톱니가 있다. 경생.. 2008. 5. 25. 산장대(큰산장대) Arabis gemmifera 큰산장대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리는데, 국가표준목록에서는 이명 처리되고 산장대가 표준명이 되었다. ● 산장대 Arabis gemmifera /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 속의 응달에서 자란다.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가 15∼30cm이며 연약하여 잘 쓰러지고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려 새싹.. 2008. 5. 25. 피나물 Hylomecon vernale ● 피나물 Hylomecon vernale ㅣ Vernal celandine /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가지를 자르면 피를 연상하게 하는 붉은 즙액이 흘러나와 피나물이라고 부른다. 그 밖에도 매미꽃, 여름매미꽃, 노랑매미꽃, 봄매미꽃 등으로도 부르지만 매미꽃이란 종이 따로 있으므로 피나물이 더 정확한 이름이다. .. 2008. 5. 25. 족도리풀(뿔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var. cornutum 꽃의 통부에 세 갈래로 갈라진 갈래조각의 끝이 뿔처럼 튀어나와 뿔족도리풀(var. cornutum)이라 하여 족도리풀(Asarum sieboldii)의 변종으로 분류하였으나 지금은 족도리풀로 통합되었다. 인제 곰배령 ●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 2008. 5. 25. 붉은참반디 Sanicula rubriflora ● 붉은참반디 Sanicula rubriflora | Redflower Sanicle /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겉에 가는 능선이 있다. 근경은 짧고 굵으며 흑갈색 수염뿌리가 뭉쳐 난다. 근생엽은 원신형이며 지름 6-20c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 2008. 5. 25. 꿩의바람꽃 2008. 5. 25.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운봉금매화, 금매화아재비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는 모데미풀. 고산성 식물로 깊은 산 북사면의 습지 또는 능선 근처 낙엽수림 하부에서 자란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환경부 보호종이다. 곰배령 ●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긴.. 2008. 5. 25. 동의나물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ㅣ Marsh marigold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다른 이름 : 동이나물, 원숭이나물, 입금화(立金花), 노제초, 수호려 산속 습지나 초원의 물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이른 봄 다른 야생화들보다 앞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산의 봄을 알리는 전령사 역할을 한다. 여름에.. 2008. 5. 25. 개구리갓 =>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왜미나리아재비는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 고산지대의 볕이 드는 골짜기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그 동안 개구리갓과 혼동되어 왔다. 개구리갓의 국생정 사진 자료조차 왜미나리아재비 이미지를 담고 있다. 개구리갓은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 잎 모양에.. 2008. 5. 25. 고산 능선의 양지꽃 고산 능선의 양지꽃은 야산이나 들녘에서 만나는 양지꽃과는 느낌이 사뭇 다르다. 꽃이 훨씬 크고 잎도 시원시원스러운데다 색상이 아주 선명하다. 거기에다 꽃잎의 안쪽에는 붉은 황색 무늬가 새겨져 있어 더욱 아름답다. (물론 이런 무늬는 이른 봄에 피는 들녘의 양지꽃에서도 살짝 .. 2008. 5. 25. 이전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