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털쥐손이 꽃 진 뒤 흔히 털쥐손이라고 불리는 이 풀의 표준국명은 꽃쥐손이로, 털쥐손이는 이명 처리되고 있다. ▶ 서울대공원 야생화 야외 전시 꽃쥐손이 Geranium eriostemon Fisher ex DC.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이명 : 털쥐손이, 흰털쥐손이, 낭림쥐소니, 털손잎풀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 2008. 6. 3.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큰여우콩과 함께 노란 꽃을 피우는 콩과 여우콩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전라도 및 경상도에 분포한다. 서울대공원 야생화 야외 전시 ●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 장미목 콩과 여우콩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밑으로 향한 짧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 2008. 6. 3.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서울대공원 ●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로 줄기는 가늘고 둥글며 곧게 선다.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붉은 자주색을 띠는데 끊으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다. 잎 길이 3∼6cm, 나비 0.7∼2cm로 밑이 좁고 끝이 뭉.. 2008. 6. 3.
넓은잎쥐오줌풀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울릉도에서 독특하게 진화한 한국 고유종, 넓은잎쥐오줌풀. 잎이 넓기 때문에 넓은잎쥐오줌풀이라고 하는데, 재배된 탓인지 그런 특성이 그리 도드라져 보이지는 않는다.  쥐오줌풀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고 마디 이외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2008. 05. 23.  서울대공원 식물원         ● 넓은잎쥐오줌풀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  산토끼꽃목 마타리과 쥐오줌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35~100cm 높이로 곧게 서서 자란다. 지하에 기는줄기를 내고 마디에 흰색 털이 밀생할 뿐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 2008. 6. 3.
벼룩이울타리 Arenaria juncea ▶ 서울대공원 벼룩이울타리인데, 벼룩이자리로 잘못 적어 놓았네요. ● 벼룩이울타리 Arenaria juncea /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긴 선형이며 원줄기 높이의 1/2정도이고 경생엽은 대생하며 근생엽과 같고 밑부분이 엽초상으로 맞붙어 줄기를 감싼다. 줄기는 굵은 뿌리에서 총생하.. 2008. 6. 3.
병아리난초의 꽃이삭, 꽃, 열매 ▼ 꽃피기 직전 / 서울대공원 ▼ 병아리난초 꽃 ▼ 꽃 지고 열매 맺은 뒤 / 지리산 병아리난초 Amitostigma gracilis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 숲 속의 바위에 붙어 자란다. 높이 8∼20cm이며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뿌리가 1∼2개 있다. 잎은 약간 올라가서 1개 달리고 긴 타원형이.. 2008. 6. 3.
뻐꾹나리 어린풀, 꽃, 씨방 ▶ 서울대공원 ▶ 홍릉수목원 ▶ 양재천 뻐꾹나리 꽃 ※ 전남 영광 뻐꾹나리 씨방 ※ 홍릉수목원 2008. 6. 3.
매미꽃 노랑매미꽃이라고도 부르는 피나물과는 아주 비슷한 식물 매미꽃. 피나물이 줄기에서 꽃줄기가 나와 하나의 꽃이 달리는 데 비해 매미꽃은 꽃줄기가 뿌리에서 자라나 여러 개의 꽃이 달리는 점이 다르다. 피나물은 중부 이북의 깊은산에서 두루 자생하는 데 비해 매미꽃은 지리산, 한라산 등 남부지.. 2008. 6. 3.
뻐꾹채 ▶ 서울대공원 ▶ 홍릉수목원 뻐꾹채 Rhapontia uniflor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뻑꾹나물·대화계·루로라고도 한다.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30∼70cm이고 흰색 털로 덮여 있다. 가지가 없고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간다. 원줄기는 꽃줄기 같고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뿌.. 2008. 6. 3.
용둥굴레 ▶ 서울대공원 용둥굴레 Polygonatum involucratum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굵은 육질의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원줄기에는 능선이 있고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높이 20∼60cm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되며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뒷면이 분백색이며 가장자.. 2008. 6. 3.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물개구리밥(Azolla imbricata) 개구리밥과 물개구리밥은 이름이 비슷할 뿐더러 물 위에 떠 있는 작은 식물이라 비슷한 식물로 알기 쉽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아주 다른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둘은 계통면에서도 '혈연관계'가 없는 아주 다른 종이다. 개구리밥 : 천남성목 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 물개구리밥 : 양치식물 고사리목 생이가래과 물개구리밥속 ●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부평초'·'수평'·'머구리밥'·'자평'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는 수생식물로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 수락산 ↓ 서울대공원 ●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 Great duckweed ↘ 천남성목 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의 여러해살이풀 모체에서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 2008. 6. 3.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바닷가 모래땅에서 잘 자라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해방풍(海防風)·빈방풍(濱防風)·해사삼이라고도 한다. 서울대공원 ●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흰색 털이 나고 뿌리는 모래 속에 깊이 묻히며 높이는 20cm 정도이다. 잎자루는 길고 잎은 .. 2008. 6. 3.
고추냉이 Wasabia japonica 서울대공원 식물원 야외 전시장 ※ 국립수목원 도감 자료 ● 고추냉이 Wasabia japonica / 양귀비목 십자화과 고추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40cm이다. 굵은 원기둥 모양의 땅속줄기에 잎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땅속줄기는 굵다. 뿌리잎은 심장꼴이며 총생하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8∼10cm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0cm 정도이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감싼다. 줄기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심장꼴이며 길이 2∼4cm이다. 5∼6월에 흰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작은꽃자루는 1~3cm이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희다. 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견과로 길이는 약 17mm이다. 약간 굽었.. 2008. 6. 3.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개구리발톱의 꽃 개구리발톱 씨방 개구리발톱 어린풀(내소사) ●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여러해살이풀 개구리망·천규자라고도 한다.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20∼30cm이다. 덩이줄기는 통통하고 검으며 모양은 일정하지 않다. 줄.. 2008. 6. 2.
붓꽃 ※ 서울대공원 ※ 남한산 2008.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