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나도냉이 뿌리잎과 줄기잎, 씨방 뿌리잎과 줄기잎 씨방(열매) 줄기잎(아랫부분) 줄기잎(윗부분) 2008. 6. 16.
새모래덩굴 수꽃 Menispermum dauricum 가막덩굴이라고도 하며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방기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달린다.  잎몸은 원형으로 가장자리에 3~7개의 얕은 결각이 있는 점에서 밋밋한 함박이(Stephania japonica)와 구별된다. 함박이는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성 식물이다.    2008. 05. 24.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Asiatic Moonseed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털이 없고 길이 1-3cm로서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녹색의 원주형이다. 뿌리를 만주방기(滿洲防己)라 한다. 잎은 호생하며 첨두 심장저이고 3-7각이거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2008. 6. 16.
씀바귀꽃, 줄기잎, 뿌리잎 아래 이미지는 숲그늘에서 꽃이 필 때 씀바귀의 모습이다. 씀바귀의 꽃 씀바귀의 줄기잎 씀바귀의 뿌리잎 ● 씀바귀 Ixeris dentata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5∼5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며 거꾸로 .. 2008. 6. 16.
큰개별꽃의 폐쇄화와 뿌리 ● 큰개별꽃의 폐쇄화 긴 꽃자루에 갈색으로 시든 것이 정상화이고 짧은 자루에 검은색으로 달린 열매가 �쇄화로 달린 열매이다. ● 큰개별꽃의 뿌리 뿌리는 흔히 태자삼으로 불리는데, 인터넷에 상식처럼 떠도는 의견은 큰개별꽃의 뿌리는 3갈래로 되어 있다는 것. 그러나 아래에.. 2008. 6. 16.
사생이나물(전호) ▶ 서울대공원 식물원 2008. 6. 3.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잎자루 제1, 제2 마디에 작은잎턱잎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 분포하는 꿩의다리속 식물 가운데 금꿩의다리(T. rochebrunianum) 다음으로 크게 자란다. ●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고 분지하며 원.. 2008. 6. 3.
만삼 Codonopsis pilosula 만삼은 더덕이나 소경불알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그 뿌리는 당삼(黨蔘) 또는 삼이라고 하며 거담제로 사용하거나 식용한다. 지리산 천왕봉 근처나 강원도 이북의 깊은 산에 자생한다. 서울대공원 식물원 인제산촌박물관 ● 만삼 蔓蔘 Codonopsis pilosula /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자.. 2008. 6. 3.
울릉산마늘 Allium ochotense => Allium ulleungense(2020) 백합과 부추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뿌리 등의 식물체 전체에서 마늘 냄새가 나므로 산마늘이라 하며 울릉도에 자생하는 산마늘을 울릉산마늘이라 한다. 산마늘은 잎이 좁은 타원형이고 잎집은 적갈색이지만 울릉산마늘은 잎이 타원형에서 난형이고 잎집이 연녹색인 점으로 구분된.. 2008. 6. 3.
오랑캐장구채 Silene repens 백두산 등 북부지방의 높은 산 개울가, 자갈밭,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과 러시아를 거처 북아메리카 북서부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서울대공원 ● 오랑캐장구채 Silene repens | Creeping catchfly / 중심자목 석죽과 장구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60cm 내외이고 밑.. 2008. 6. 3.
개벼룩(개벼룩이자리, 홀별꽃) Moehringia lateriflora 흰 꽃잎 속의 세 개의 긴 암술대가 눈에 띄는, 석죽과 개벼룩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중부 이북의 산지 풀밭에서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북반구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다. 서울대공원 식물원 ● 개벼룩 Moehringia lateriflora / 중심자목 석죽과 개벼룩속.. 2008. 6. 3.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남서해안의 섬들(거문도, 진도, 보길도, 거제도, 제주도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노루귀에 비해 잎에 흰 무늬가 있고 잎몸의 길이와 너비가 각각 2, 4cm로 전체적으로 작고 열편의 끝이 다소 둔하다. 서울대공원 ●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 Seaside liverleaf / 미나리아재비과 노루.. 2008. 6. 3.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서울대공원 ●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 Bigleaf Thorowax /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곧게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2열로 어긋나고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이저로서 원.. 2008. 6. 3.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족도리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보다 두껍고 무늬가 있는 것이 다르다. 종명 maculatum은 '반점이 있다.'는 뜻으로 잎에 무늬가 있는 개족도리풀의 측성을 반영한 이름이다. 서울대공원 ●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의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비스듬히 서며 길이 1-6cm, .. 2008. 6. 3.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미나리아재비속의 두해살이풀로 털개구리미나리와 아주 닮았다.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잎이 가늘게 갈라지고 열매가 원기둥형으로 길다.     2008. 05. 23.  서울대공원        ●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 Chinese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두해살이풀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높이 40-60cm로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속은 비어 있다. 근경은 짧고 끝에 근생엽이 뭉쳐 난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3출복엽으로서 폭 5-8cm이지만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지고 잎도 작아지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소엽은 3개로 깊게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도피침형 예두(銳頭)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복모가 있다. .. 2008. 6. 3.
연잎꿩의다리 Thalictrum coreanum 설악산과 강원 충북 석회암지대, 영양 청송에서 자생하는 한국 특산식물로, 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 보호식물이다. 잎자루가 잎의 중간에 달라 붙어 있고 둥근 잎 모양이 연잎을 닮아서 연잎꿩의다리라 부른다. 꽃잎이 없는 대신, 흰빛이 나는 붉은색의 꽃받침이 있어 꽃잎처럼.. 2008.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