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1138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 꽃차례는 새로 난 가지에서 달리고 푸른 하늘을 향해 곧게 서 있다. 꽃은 붉은 빛이 강하다. 묵은 가지 끝에 달린 꽃차례가 아래로 드리워지며 꽃이 분홍빛이 감도는 흰색인 털개회나무와 다른 꽃개회나무의 특징이다.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인 꽃개회나무는 우리나라 외에도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 함백산, 화악산, 치악산, 소백산 등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역으로 분포지가 제한되어 있다. 2016. 06. 04. 설악산 ●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 | Beautiful Wolf's lilac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낙엽 관목 식물체는 높이 3~4m이나 줄기는 구부러지기 때문에 실제로 줄기의 길이는 4~5m까지 되는 것이.. 2016. 6. 9. 시무나무 열매, 줄기와 수피 시무나무는 작은 가지가 흔히 가시로 변해 있는데, 그래서 한자로 '가시느릅나무'란 뜻으로 '자유(刺楡)'라 부른다. 잎 모양은 참느릅나무와 비슷하나 좁고 긴 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에만 자생하는 1속 1종의 나무이며, 한국에 서식하는 느릅나무과 나무 가운데 가장 큰 나무다. 다 자라면 높이가 20m, 지름이 2m에 이르는 큰키나무다. 시무나무 열매는 한쪽에만 날개를 가지는데, 느티나무 열매에는 날개가 없고 느릅나무와 비술나무는 열매 양쪽에 넓은 날개가 있다. 시무나무 속명 헤미프텔레아(Hemiptelea)는 날개가 절반만 있다는 뜻을 가진 말이다.('hemi'는 절반을 뜻하고 'ptelea'는 날개를 뜻한다.) 예산 봉수산 ● 시무나무 Hemiptelea davidii | Hemiptelea ↘ 쐐기풀목.. 2016. 6. 3. 골병꽃나무 Weigela hortensis 예산 봉수산 임존성 아래에 있는 대련사 부근. 붉은병꽃나무일까 해서 살펴보니 밑부분까지 완전하게 갈라져 있다. 꽃받침이 중간까지 갈라지는 붉은병꽃나무는 아니고, 꽃받침 갈래가 서로 깊이가 다르게 갈라진 소영도리나무도 아니다. 꽃이 2~3개씩 달린 것을 보니 1~2개씩 달리는 병.. 2016. 5. 31. 댕댕이나무 Lonicera coerulea var. edulis 인동과 인동속의 관목 댕댕이나무는 백두대간의 해발고도 700∼2,300m 습지에서 자란다고 하는데, 남한에서는 한라산과 설악산, 대암산의 정상부에서 제한적인 분포를 보이는 북방계 식물이다. 설악산 ● 댕댕이나무 Lonicera coerulea var. edulis | Edible deepblue honeysuckle ↘ 산토끼꽃목 인동과 인동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1.5m이고 속이 충실하며 작은 가지에 털이 많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선 바소꼴로 길이 1∼4cm, 나비 1cm 정도이다. 잎 앞면에는 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에는 융모가 있으며 톱니는 없고, 잎자루는 길이 1∼6mm이다. 5∼6월에 황백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대는 길이 2∼10mm이며 털이 있고 포(苞)는 길이 5∼8.. 2016. 5. 25. 덤불오리나무 암꽃과 수꽃, 수피 Alnus mandshurica 설악산 정상 주변에는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가 모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의 구별이 쉽지 않은데, 두메오리나무(Alnus maximowiczii)는 잎밑이 깊이 들어가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없고 열매이삭의 길이가 2~3cm로 길며, 덤불오리나무(Alnus mandshurica)는 잎밑이 둥글고 선상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강원도 이북 해발 600~2,000m의 높은 산 습원에 자생한다. 잎 뒷면의 털은 직접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잎밑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일단 덤불오리나무로 보고자 한다. ● 덤불오리나무 Alnus mandshuric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2016. 5. 25. 두메오리나무 암꽃과 수꽃 Alnus maximowiczii 두메오리나무는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소교목으로 울릉도와 설악산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 설악산 대청봉 주변에는 두메오리나무는 물론 덤불오리나무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의 구별이 쉽지 않은데, 두메오리나무(Alnus maximowiczii)는 잎밑이 깊이 들어가고(심장저)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없고 열매이삭의 길이가 2~3cm로 길며, 덤불오리나무(Alnus mandshurica)는 잎밑이 둥글고 선상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이것은 대청봉 정상 근처에 관목상으로 자라고 있는 나무의 암꽃과 수꽃을 담은 것으로 소청 능선의 오리나무와 잎 모양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일단 두메오리나무로 올려 두고 다음에.. 2016. 5. 25. 사스래나무 암꽃과 수꽃, 수피 Betula ermanii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교목으로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고, 높은 산지의 중턱 이상에서 자란다. 거제수나무에 비해 가지에 지점(脂點)이 있고, 피목이 둥글며,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점차 뾰족해지고 잎자루는 길이 5-30mm이다. 설악산 미성숙한 수꽃 암꽃과 수꽃 수피 ●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 Erman's birch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낙엽활엽 교목 높이 7∼8m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거나 갈색이며 종잇장처림 벗겨져서 오랫동안 남아 있다. 작은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며 기름샘(脂點)과 둥근 피목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의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5∼10cm, 나비 4∼7cm이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에 가깝다. 가장자리에 불.. 2016. 5. 25. 나래회나무 Euonymus macroptera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의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한반도 전역의 백두대간 산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녹색 꽃잎은 4개이며 둥근 열매는 삭과로 프로펠러 같은 4개의 날개가 뚜렷한 점으로 동속의 다른 나무들과 구별된다. 설악산 대청봉 기슭 ● 나래회나무 Euonymus macroptera | Ussuri splindletree ↘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5∼7m이며 가지가 둥글고 약간 굵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길이가 5∼12cm, 폭이 3∼7cm이고 끝이 급하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윗면에 홈이 있으며 길이가 5∼12mm이다. 꽃은 6월에 녹색으로 피고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가지에 작은 꽃.. 2016. 5. 25.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개울길 따라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산딸기가 하얀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자연림 속에서는 살지 않고 인간의 손길과 발길이 닿는 숲 가장자리 양지에서 자라는 산딸기, 하지만 아열대 등 더운 지역에서는 살지 못하고 저녁이 되면 선선해지는 산지를 좋아한다. 잎은 3갈래 혹은 5갈래로 .. 2016. 5. 17. 나래회나무 Euonymus macroptera 노박덩굴과 잎이 Euonymus속 나무로는 잎이 아주 큰 종이지만, 꽃은 아주 작은 편이어서 이미지를 담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바람까지 불어대니... 회나무나 참회나무가 꽃이 5수성이라면 나래회나무는 회잎나무처럼 4수성이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명지산 나래회나무 수피 ● 나래회나무 E.. 2016. 5. 11. 산뽕나무 Morus bombycis, 수꽃과 암꽃 한반도 전역 산기슭이나 야지에 자라는 뽕나무과의 자생종으로 많은 야생 뽕나무의 기본종(Morus bombycis)이다. 암수딴그루(자웅이주)로 자라지만 암수한그루(잡성주)인 나무도 있다. 재배하는 뽕나무(M. alba)와는 달리 암술대가 씨방보다 길고 열매가 익은 후에도 길게 남아 있으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보다 예리한 점으로 구별된다. 2016. 05. 05. 명지산 산뽕나무 암꽃 산뽕나무 수꽃 산뽕나무 줄기, 수피 ● 산뽕나무 Morus bombycis | Mountain mulberry ↘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나무속 소교목 높이 7~8m, 지름 1m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얕게 벗겨진다. 일년생가지는 잔털이 있거나 없고 점차 흑갈.. 2016. 5. 11. 가래나무 암꽃 수꽃, 수피 Juglans mandshurica 가래나무는 호두나무와 아주 닮아 '추자목(楸子木)'이라고도 하고 열매를 '추자(楸子)'라고도 하는데, 열매 속의 속살은 호두에 비해 아주 작아 식용 가치는 별로 없는 나무이다. 호두나무가 중국에서 도입된 재배종인데 비해 가래나무는 자생하는 토종 나무이다. 호두나무는 고려 말에 유청신이라는 사신이 몽골에서 가져와 천안 광덕사에 심은 것으로부터 퍼져나간 것이라 한다. 호두나무 암술은 녹색이지만 가래나무 암술은 붉고, 호두나무 열매는 두어 개가 뭉쳐 달리지만 가래나무 열매는 길게 모여 달린다. 중부 이북지방의 비교적 서늘한 산기슭 양지쪽이나 계곡 주변에서 잘 자라는데, 만주 시베리아 지역까지 널리 분포한다. 명지산 가래나무 수피 호두나무 작은 잎이 3~7개라면 가래나무 작은 잎은 7~17개로 많으며, 호두나무.. 2016. 5. 10. 신나무 Acer ginnala 명지산 ● 신나무 Acer ginnala / 단풍나무과의 낙엽소교목 높이 약 8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세모진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며 밑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진다. 길이 4∼8cm, 나비 3∼6cm로서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과 겹톱니가 .. 2016. 5. 10.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세 장씩 달린 잎, 희고 작은 꽃의 모양이 고추의 잎과 꽃을 빼닮아 고추나무라 불린다. 신록이 녹음으로 바뀌는 초여름이 시작되는 계절에 흰 빛을 띤 꽃들이 피는 것은 짙은 녹음 속에서 꽃가루받이를 할 곤충을 불러 모으려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명지산 ●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 .. 2016. 5. 10. 비목나무 꽃, 수피 Lindera erythrocarpa 비목나무는 녹나무과 생강나무속의 나무이다. 대개의 생강나무속 나무들이 그러하듯 비목나무도 이른봄인 4월 초중순에 꽃을 피운다. 5월에 접어든 시기에 꽃을 피운 비목나무를 만난 것은 뜻밖이다. 백암산 ●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 Red-fruit spicebush ↗ 목련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 나무껍질은 황백색이며 노목의 나무껍질은 작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일년생가지는 담황색이다. 어긋나기로 잎은 두껍고 타원형으로 3출맥과 깃모양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7~18cm, 넓이 3~5cm로서 잎표면은 윤채가 나고 뒷면은 회녹색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잎자루는 길이 4~8㎜로서 붉은빛이 돈다. 노란색 단풍이 .. 2016. 5. 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