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향모 Hierochloe odorata / 향모속의 분류 꽃샘추위 속에서 양지바른 풀밭에서 이삭을 올리고 꽃을 피우는 향모. 벌초한 묏등 언덕에서 늦은 가을에 다시 자라나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모습을 보인다. 전체에서 향기가 나는데 종소명 odorata도 그런 특성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남한산성 ● 향모 Hierochloe odorata / 화본목 벼과 향모.. 2017. 11. 5.
나도잔디 Sporobolus japonicus 다른 풀들이 별로 자라지 않는 양지바른 산등성이 다소 메마른 땅에 쇠풀과 이웃하여 무리를 지어 살고 있다. 국내에 자생하는 쥐꼬리새풀속 2종 중 1종인 한해살이풀로 쥐꼬리새풀에 비해서는 키가 작고 땅에 붙어 자라는 모습이다. 남한산성 ● 나도잔디 Sporobolus japonicus | Barundi sacaton grass ↗ 사초목 벼과 쥐꼬리새풀속 한해살이풀 높이 5-30cm이고 전체에 희미한 선점이 있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고 마디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10㎝,나비 2-5㎜이며 끝 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선점과 밑이 딱딱하게 덩어리진 털이 있다. 표면에 털이 있으며 꺼칠꺼칠하고 뒷면에는 선점이 있다. 잎혀는 거의 발달하지 않으며 털이.. 2017. 11. 5.
쇠풀 Andropogon brevifolius 남한산성 ● 쇠풀 Andropogon brevifolius / 화본목 벼과 나도솔새속 줄기는 곧추서고 기부에서 가지치며 마디사이는 길이 2~4cm이고 높이 1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 2~4cm, 폭 2~5mm로서 선형이며 급한 둔두이고 밑부분이 둥글며 엽초와 더불어 털이 없다. 꽃은 8~9월에 피며 꽃대 끝과 잎겨드랑.. 2017. 11. 5.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조개풀이 잎밑이 줄기를 깜싸는 데 비하여 줄기 윗부분에서 잎의 기부가 줄기를 싸지 않는 점으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 산지 그늘에서 자란다. 유라시아의 온대, 난대 및 열대에 분포한다.      2017. 10. 26.  남한산성             ●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  사초목목 벼과 주름조개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며 가늘고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진다.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게 선다.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cm, 폭 1~1.5cm로서 질이 부드럽고,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으로 주름지며 양면에 긴 털이 있다. 잎혀는 매우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꽃차례는 길이 6-12cm로서 6-15mm길이의 가.. 2017. 11. 5.
쌀새 Melica onoei / 쌀새속 자생 5종 벼과 쌀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왕쌀새에 비해 키가 크고 마디가 평대하며 화서는 대형으로 가지 치고 소수는 좁은 피침형으로 연한 녹색이다. 2017. 10. 26. 남한산성 ● 쌀새 Melica onoei | Broad-spike melic ↘ 화본목 벼과 쌀새속 여러해살이풀 뻗는 가지가 없고 높이 90-120cm이다. 잎은 약간 안으로 말리며 길이 15-30㎝,나비 4-10㎜이고 엽초는 마디사이보다 길며 털이 있고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0.2-0.5㎜로서 절두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25-50cm로서 곧추서고 가지는 반윤생하며 옆으로 퍼진다. 소수는 피침형이며 길이 7-10㎜로서 3-4개의 낱꽃이 들어 있고 녹색이며 짧은 대가 있다. 포영은 예두이고 첫째 것은 넓은 피침형이며 .. 2017. 11. 4.
방동사니 Cyperus amuricus 금방동사니나 참방동사니는 흔해도 방동사니는 드물다고 하는데, 그 방동사니를 월악산 정상 능선에서 만난다.  열매를 감싸는 인편 끝이 돌출되지 않은 참방동사니, 인편이 곧고 짧게 돌출하는 금방동사니와 달리 방동사니는 인편 끝이 길게 돌출하고 뒤로 살짝 젖혀지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꽃차례가 복생하지 않는 점도 특징이다.    2017. 10. 15.  월악산            ● 방동사니 Cyperus amuricus | Asian flatsedge   ↗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높이 10-60cm이고 곧추자라며 여러 개 모여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화경에서는 어긋나기하며 폭 2-6mm로서 선형이고 연하며 끝이 처진다. 꽃대는 삼각형이며 잎 사이에서 각 1개씩 나와 잎 같은 포.. 2017. 10. 26.
나래새 Stipa pekinensis, 열매 참나래속(Stipa)으로 잎 너비 0.3~0.5mm 정도인 점에서 2cm에 달하는 참나래새, 0.2cm인 수염풀과 구별된다. 나래새는 꽃차례가 줄기 끝에 달린 잎에서 나오는 점이 특이하고, 화서 가지 윗부분에만 소수가 달리며 꽃술은 노란빛이 돌고 까락은 2~3cm로 길고 꺾인 형태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햇빛이 드는 숲속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17. 09. 30.  남한산성                 ● 나래새 Stipa pekinensis  ↘  벼과 나래새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60㎝, 너비 7~15㎜이며 엽면은 거칠고 약간 안으로 말리며 엽초 구부(口部)에만 털이 있고 엽설(葉舌)은 길이 0.5~1㎜.. 2017. 10. 8.
좀돌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 피속, 쇠돌피속 자생종 남한산성 성벽에서 만난 피속의 아주 작은 벼과 풀, 키가 10cm 남짓으로 아주 작다. 좀돌피가 아닐까 싶어 집에 와서 살펴보니 "꽃대축은 굵고 기부에 가시털이 있다."는 돌피의 특징이 뚜렷이 보인다. 이러한 특징이 돌피의 변종인 좀돌피에도 나타나는지 좀돌피 기재문에는 언급이 없는데, 까락이 없는 점으로 좀돌피가 아닐까 싶다. 남한산성 ● 좀돌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 화본목 벼과 피속 한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엽신은 길이 10~30cm이고 나비 7~10mm이며 잎혀는 없다. 꽃 총이 엽축을 따라 배열하며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소수는 2개의 낱꽃으로 되어있고 제1포영은 0.6~0.8mm, 나비 0.4~0.5mm이며 제2포영은 길이 2.2~3.. 2017. 10. 7.
나래새 Stipa pekinensis 참나래속(Stipa)으로 잎 너비 0.3~0.5mm 정도인 점에서 2cm에 달하는 참나래새, 0.2cm인 수염풀과 구별된다. 나래새는 꽃차례가 줄기 끝에 달린 잎에서 나오는 점이 특이하고, 화서 가지 윗부분에만 소수가 달리며 꽃술은 노란빛이 돌고 까락은 2~3cm로 길고 꺾인 형태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햇빛이 드는 숲속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17. 09. 30.  남한산성                      ● 나래새 Stipa pekinensis  ↘  벼과 나래새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60㎝, 너비 7~15㎜이며 엽면은 거칠고 약간 안으로 말리며 엽초 구부(口部)에만 털이 있고 엽설(葉舌)은 길이 0.. 2017. 9. 28.
그령 Eragrostis ferruginea | 그령속 종 검색표 길가, 빈터, 산지 주변의 풀밭에 자라는 벼과 그령속 여러해살이풀로 아주 질기고 생명력이 강한 풀이다. 이 종은 작은이삭의 자루에 노란색으로 부푼 샘조직이 있는 점에서 포영이나 호영의 맥에 샘점이 없는 한해살이풀인 참새그령이나 좀새그령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네팔 등에 분포한다.     2017. 09 17.  남한산성            ● 그령 Eragrostis ferruginea | Korean lov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참새그령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30~80cm이고, 2~3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편평하고, 잎집 입구와 잎 아래쪽에 긴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20~40cm이고, 너비 2~7mm이다. 잎혀는.. 2017. 9. 28.
쇠치기풀 Hemarthria sibirica 전국의 산 가장자리나 들 주변 습기 있는 땅에서 자란다. 중국명은 우편초(牛鞭草)라 하는데 '소를 모는 회초리 풀'란 뜻으로 우리 이름 '소를 치는 풀'이라는 뜻의 우리말 이름과 뜻이 거의 동일하다. 억세고 강한 식물의 특성을 반영한 이름이다. 벼과 쇠치기풀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 2017. 9. 25.
꽃하늘지기 Bulbostylis densa 꽃하늘지기는 다른 하늘지기와는 달리 하늘지기속이 아닌 모기골속의 한해살이풀이다. 대개의 하늘지기가 들판이나 바닷가 등에 사는 것과 달리 산지의 바위지대 모래땅에 자생한다. 높이가 5~40cm 라는데, 이곳은 생존 조건이 열악한 탓인지 10cm 미만으로 아주 작다. 북설악 ● 꽃하늘지.. 2017. 9. 20.
꽃하늘지기 Bulbostylis densa 하늘지기라는 이름을 가졌지만 하늘지기 식구가 아닌 모기골속의 한해살이풀이다. 다른 하늘지기와는 달리 산지의 바위지대의 물빠짐 좋은 모래땅에 자생한다. 북설악 ● 꽃하늘지기 Bulbostylis densa | Dense watergrass ↘ 사초목 사초과 모기골속 한해살이풀 근경이 없고 수염뿌리가 많으며 잎과 화경이 뿌리에서 모여나기한다. 줄기보다 많고 짧으며 실모양이고 폭 0.3-0.5㎜이다. 엽초는 연한 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1-4㎝이고 끝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대는 높이 5-40㎝로서 가늘며 각각 2-3개의 잎이 밑부분에 달린다. 꽃차례는 산형이고 화경끝에서 꽃대축이 2-3회 갈라지고 각 꽃자루 끝에 1개의 소수가 달린다. 정소수는 대가 없고 측소수는 길이 3-5mm, 지름 1.5mm로서 .. 2017. 9. 18.
남방개 Eleocharis dulcis / 올방개와 남방개 구별 사초과의 물풀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못자리에서 잘 자라던 풀, 모를 찌면서 '올비'라 불렀던 이 물풀을 뽑아 뿌리에 달린 덩이줄기를 까서 먹었던 추억이 새로운 풀이다. 이 덩이줄기를 '물밤'이라고도 하는데 영명도 Water Chestnut이다. 이 덩이줄기로 만든 올방개묵이 건강식으로 요즘 밥상에 종종 오르기도 한다.  연천에서 만난 이 물풀은 올방개인 줄 알았는데, 꽃이삭의 인편과 암술머리를 살펴보니 남방개이다. '남쪽의 올방개'라는 뜻의 남방개는 꽃이삭 인편이 좁은 타원형인 올방개에 비해 넓은 타원형인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암술머리는 올방개가 2~3개, 남방개는 3개이다. 남부지방(구례, 순창, 제주)에 산다는 남방개가 경기 북부에 자생한다는 것이 놀랍다.    201.. 2017. 9. 11.
올챙이고랭이 Schoenoplectus juncoides '올챙이골'이라고도 하며, 농경지나 저지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국생정에는 한해살이풀로 기록하고 있는데 에는 여러해살이풀로 기재하고 있다. 그리고 두 자료에는 근경이 짧다고 되어 있는데, 에는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덩이뿌리가 달린다."하니 어느 정보가 맞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나중 국생정 기재문이 '다년초' 등으로 수정되었다.) 올챙이고랭이는 땅속줄기가 짧게 벋고 줄기 단면이 다각형이며 수과 단면이 렌즈 모양인 것이 특징이다. 수원고랭이(S. wallichii)에 비해 작은이삭이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둔두이고 포가 길므로 구분된다.     2017. 09. 03.  연천              ● 올챙이고랭이 Schoenoplectus juncoides | Rush-like bulr.. 2017.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