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나도바랭이새 Microstegium vimineum 줄기 높이 40~8cm 정도이고 가늘고 약하며 밑부분은 옆으로 눕고 가지를 많이 치며 무리로 자라는 것처럼 보인다. 가을에 접어들며 줄기 끝에 보통 가지가 1~3개 정도로 꽃이 핀다. 민바랭이새(M. japonicum)에 비해 잎은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다. 숲속, 산길 주변 그늘진 습한 풀숲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여러해살이풀로 기록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남아시아, 카프카즈, 북미 동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10. 08. 서울 2024. 09. 29. 서울 ● 나도바랭이새 Microstegium vimineum | Asian stiltgrass, Nepalese browntop, packing grass ↘ 백합강.. 2024. 10. 22. 왕바랭이 Eleusine indica 아파트 공터 언덕에 왕바랭이가 숲을 이루고 있다. 경작지 주변 길가, 빈터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벼과 왕바랭이속의 한해살이풀이다. 꽃차례가 줄기 끝에 손바닥 모양으로 달리는 것이 바랭이속 식물들과 비슷하지만 작은이삭에 많은 꽃이 들어 있어 이삭가지가 넓다. 꽃이 두 개씩 들어 있는 바랭이속과 다른 점이다. 다소 넓은 가지로 이루어진 꽃차례 모양이 거위나 까마귀발 모양 비슷해서 'goosegrass', 'crowfootgrass'라는 영명이 생겼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4. 09. 15. 서울 왼쪽은 바랭이, 오른쪽은 왕바랭이 ● 왕바랭이 Eleusine indica | goosegrass, crowfootgrass, Indian goosegrass, yard-g.. 2024. 10. 4. 비노리 Eragrostis multicaulis(E. pilosa) | 참새그령속 종 검색표 풀밭이 있는 길가에서 비노리를 만나 담아본다. 학교 운동장 구석이나 보도블록이 있는 길가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영어 이름은 'multi-stem lovegrass', 'Indian lovegrass'로 서양인에겐 사랑스러운 풀로 인식된 모양이다. 벼과 참새그령속의 한해살이풀로 보통 키가 아주 작은 편이다. 우리나라 전역 경작지, 빈터 등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북미 등에 분포한다. 2024. 09. 10. 서울 ● 비노리 Eragrostis multicaulis | multi-stem lovegrass, Indian lov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참새그령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8~30cm.. 2024. 9. 29.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산지 그늘 또는 반그늘에서 자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 밑부분은 옆으로 기면서 길게 뻗으면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댓잎 모양이지만 물결 같은 주름이 있다. 조개풀(Arthraxon hispidus) 비슷하지만 줄기 윗부분에서 잎의 기부가 줄기를 싸지 않는 점에서 조개풀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유럽 남부, 서아시아, 인도, 파키스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동남부에 분포한다. 2024. 09. 03. 서울 ●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 wavyleaf basket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주름조개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30cm 정도이다. 줄기 밑부분은 옆으로 기면서 길게 뻗으면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어긋나.. 2024. 9. 20. 방동사니대가리 Cyperus sanguinolentus 경작지 주변 습지에 높이는 20~40cm 정도로 흔히 자라는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풀이다. 꽃차례의 가지가 짧아서 전체 꽃차례가 둥글게 보이며, 작은이삭이 긴 난형인 것이 특징이다. 생긴 모양이 나도방동사니와 혼동하기 쉽다. 인도-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동북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동부, 미국 남부에 분포한다. 2024. 08. 29. 경기 구리 ● 방동사니대가리 Cyperus sanguinolentus | purple-glume flat sedge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땅속줄기가 짧게 뻗고,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 짧게 기기도 한다. 아래쪽에 달리는 잎은 잎몸이 거의 없고, 위쪽의 잎몸은 길게 자라지만 줄기보다 짧다. 잎 너비는 1~3mm이.. 2024. 9. 16. 쇠방동사니 Cyperus orthostachyus 검은 열매가 달리는 쇠방동사니를 오랜만에 만나본다. 화축에 털이 있고 열매가 익으면 검은색이 되는 점으로 화축에 털이 없고 열매가 갈색을 띠는 참방동사니, 방동사니, 금방동사니 등과 쉽게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 논밭이나 습지에 자라는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러시아 아무르, 다우리아,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8. 29. 경기 구리 ● 쇠방동사니 Cyperus orthostachyus | upright-spike flatsedge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모여나며 높이 20~70cm이다. 잎은 선형, 폭 2~3cm이다. 잎집은 길고 갈색이다. 꽃싸개잎은 3~5개이고 길이는 서로 다르다. 꽃차례는 줄.. 2024. 9. 16. 가시파대가리 Kyllinga brevifolia 이곳의 파대가리는 예전에 본, 포엽이 처지는 파대가리와는 느낌이 좀 다르다. 꽃차례 크기는 작은데 가운데 포엽이 아주 길고 직립하여 줄기처럼 보인다. 파대가리속 자생종으로는 가시파대가리(K. brevifolia)와 그 변종 파대가리(var. leiolepis) 외에 북파대가리(K. kamschatica), 꽃파대가리(K. brevifolioides)가 있는데 가장 긴 포엽이 직립하는 특징이 있는 것은 기본종인 가시파대가리이다. 그런데 가시파대가리의 분포지를 국립수목원 기재문은 제주도로 기록하고 있어 의문의 여지를 남긴다. 다만 국립생물자원관은 파대가리의 기재문은 없고 가시파대가리에 대해 전국에 자란다고 기록하고 있다. 유럽 중부와 동부, 호주를 제외한 전 세계 온대~열대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 2024. 9. 16. 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금강아지풀 가을이 성큼 다가서 강아지풀이 더욱 눈에 잘 띈다. 강아지꼬리 모양의 이삭이 귀엽기도 하거니와 무리를 이루어 서 있는 모습이 가을의 정취를 더욱 북돋운다. 키가 작은 편이고 짧은 꽃이삭이 곧추서는 강아지풀, 강아지풀보다는 키가 크고 꽃차례도 두배 가까이 길어 이삭이 휘영청 늘어지는 가을강아지풀, 이삭자루가 길고 꽃이삭 또한 가늘고 길며 금빛 털이 빛나는 금강아지풀... 그 외에도 바닷가에서 자라며 강아지풀보다 더 작은 갯강아지풀, 밀집한 원추꽃차례로 큰 이삭을 이루는 모습이 조에 근접하는 수강아지풀, 강아지풀속의 왕이자 귀중한 식량자원인 조 등이 있다. 2024. 08. 18. 서울 ■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 .. 2024. 9. 4.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강아지풀보다는 훨씬 크지만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이 종은 다발털의 수가 많고 잔이삭과 같이 떨어지는 점에서, 거센털의 수가 비교적 적고 잔이삭이 떨어진 후에도 꽃차례에 거센털이 붙어 있는 강아지풀속과 구별된다. 벼과의 수크령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볕 잘 드는 산길 주변이나 숲가장자리에서 잘 자라며 식물체가 억세고 질기다. 아시아 온대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2024. 08. 18. 서울 ●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 dwarf fountain grass, foxtail fountain grass ↘ 백합강 사초목 벼과 수크령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질기며, 사방으로 뻗어가며 퍼진다. 줄기는 높이 30~80cm로 곧게 서고 덤불을 이루어 자라며 아주 .. 2024. 9. 3.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이삭이 돌려나기로 달리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밑부분에서는 돌려나지만 윗부분에서는 1∼2개씩 달린다. 화서가 오래도록 남아 있으며, 아래쪽 잎이 겨울에 말라죽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전체적인 형태가 나도겨이삭과 비슷하지만 꽃차례의 가지 아랫부분부터 작은이삭이 달리고 열매가 더 둥글다. 우리나라 강원도, 충청남도 이남에 나며,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4. 08. 10. 부안 내소사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기장풀속 여러해살이풀 많은 줄기가 모여나고, 높이 80~120cm이다. 잎몸은 길이 30~50cm이고, 너비 2~3cm로 아랫부분에서 뒤틀려 뒤집힌다. 잎혀는 막질이고, 5~10mm로 끝이 둔하다.. 2024. 8. 29.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 한여름에 접어드는 고향의 들판과 야산 등성이 주변에 강아지풀에 비해 키가 크고 꽃차례가 길게 휘어지는 가을강아지풀이 자주 눈에 띈다. 강아지풀에 비해 줄기잎 아래가 좁아지고 화서가 길어서 휘어지며, 제2포영이 짧아 호영이 드러나 보인다. 동아시아, 유럽, 북미를 중심으로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2024. 08. 03. 합천 가회 ●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 | nodding bristle-grass, giant foxtail, nodding foxtail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강아지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거나 밑부분이 휘어지며 높이 40~100cm이다. 잎집의 가장자리에 센털이 있다. 잎혀는 막질, 길이 1~2mm의 털이 줄지어 있다. 잎몸은.. 2024. 8. 21. 별날개골풀 Juncus diastrophanthus 참비녀골풀이나 날개골풀과는 줄기의 날개가 좁고, 꽃들이 모여 달려 별 모양이며, 화피 길이가 안쪽 것이 바깥쪽 것보다 길어서 구분된다. '넓은잎비녀골'이라고도 한다. 중국 이름도 별꽃 모양인 것을 표현한 '성화등심초(星花灯心草)'이다. 우리나라 거의 전역 논, 수로, 하천과 저수지 주변, 산지의 습지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7. 고양 서삼릉 ● 별날개골풀 Juncus diastrophanthu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골풀목 골풀과 골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모여나고, 높이 15~40cm이며, 땅속줄기는 짧다. 줄기는 약간 납작하고 너비 1.0~2.5mm이며 매우 좁은 날개가 있다. 아래에는 몇 개의 잎이 달리고, 줄기에는 .. 2024. 7. 19.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이삭이 강아지 꼬리처럼 생긴 풀이기도 하지만, 이삭을 뽑아서 손바닥에 올려놓고 강아지 부르는 "요요~" 소리를 내며 손가락을 흔들며 움직임을 만들던 어린 시절의 놀이가 절로 떠오른 풀이기도 하다. 꽃말이 '동심, 노여움'이라는데 잘 어울리는 '동심'에 '노여움'이 왜 함께 하는 것일까. 벌판이나 길가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벼과 강아지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곡물인 조는 강아지풀이 인간친화적으로 진화한 강아지풀속의 농작물이다. 유라시아 원산으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2024. 07. 06. 서울 ●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 green foxtail, green bristl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강아지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곧추.. 2024. 7. 15. 개밀 Elymus tsukushiensis, 속털개밀 Elymus ciliaris 일반적으로 흔하게 만나는 개밀속(Agropyron)으로 개밀과 속털개밀이 있다. 개밀은 전체 꽃차례가 휘어져 늘어지고 작은이삭이 화축과 벌어지며 포영에 털이 없고 호영의 까락이 곧은 데 비하여, 속털개밀은 꽃차례가 곧게 서는 편이고 작은이삭이 화축에 붙어 있으며 포영에 털이 있고 포영의 가락이 마르면 뒤로 휘어지는 특성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2024. 07. 04. 서울 ● 개밀 Elymus tsukushiensi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갯보리속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고, 높이 40~100cm이며, 마디는 4~6개 있고 잎집 밖으로 나온다. 잎집은 밋밋하다. 잎몸은 길이 20~30cm이고, 너비 5~10mm이다. 잎혀는 길이 1mm 이내이고, 끝이 편평하다. 전.. 2024. 7. 9. 속털개밀 Elymus ciliaris(Agropyron ciliare) 속털개밀은 개밀과 같은 환경에서 섞여 자라는 경우가 많다. 개밀은 화서 끝이 땅쪽으로 휘어지고 소수가 축에서 비스듬히 벌어지고 내영과 호영의 길이가 같다. 속털개밀은 화서가 비스듬히 서거나 곧추 서고 영과가 짧으며 호영 가장자리에는 긴 가는털이 있으며 끝은 까락이 있다. 마르면 까락이 꺾인다. 우리나라 전역 길가나 산지 근처의 풀밭에 자라며 중국,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여러 변종이 있는데, 가는개밀(f. hackelianum)은 호영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는 점으로 긴 털이 있는 속털개밀과 구별된다. 아래는 속털개밀로 보인다. 2024. 06. 23. 서울 ● 속털개밀 Elymus ciliaris | slender wheatgrass ↘ 백합강 사초목 벼과 갯보리속 .. 2024. 6. 28. 이전 1 2 3 4 5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