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물골풀(개골풀) Juncus gracillimus 골풀과는 열매의 생김새가 다르다. 갯골풀의 열매보다 더 둥글며 꽃줄기의 길이도 더 길다. 전국 각처의 습지에서 자란다.   2008. 07. 05.  홍릉수목원      ●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 Slender Rush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백록색으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가늘며 윗면이 구부러지고 나비는 1㎜가량이며 엽초 윗부분의 귀같은 돌기는 작다. 높이 40-70cm이고 원줄기가 둥글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는다. 꽃은 5-7월에 피고 길이 6-15㎝의 복취산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길거나 짧다. 화피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2㎜가량이며 뒷면은 흑자색이고 양쪽 가장자리는 적갈색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2008. 7. 25.
방울고랭이 ▶ 홍릉수목원 그리고 보름 뒤 종자가 여문 모습 방울고랭이 Scirpus wichurae 외떡잎식물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왕굴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가 짧다. 줄기는 빽빽이 나고 두꺼우며 마디가 5∼8개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 30∼40cm, 나비 5∼15mm이고 .. 2008. 7. 25.
길골풀(풀골) Juncus tenuis 우리나라 전역 길가와 산지의 응달진 풀밭에 자라는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풀골'이라고도 하며 줄기 밑부분에 잎이 있는 점에서 비늘잎으로 구성된 다른 골풀속의 종들과 구별된다. 물골풀(J. gracillimus)과 유사하지만, 화피조각의 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별된다.     2008. 07. 03.  남한산 골짜기 습한 풀밭     ● 길골풀 Juncus tenuis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며 나비 1mm정도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위로 다소 말리며 귀같은 돌기는 타원형이고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다. 근경에서 총생하며 높이 30~60cm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가지에 다수의 작은 담녹색 꽃이 모여 핀다. 화서 기부에 고르지 않은 포가 3-4개.. 2008. 7. 24.
김의털 Festuca ovina 남한산 묏등 풀밭 주변에서 본 김의털 1. 양지 바른 묏등 풀밭 2. 그늘진 수풀 근처 ● 김의털 Festuca ovina / 화본목 벼과 김의털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50cm이고 모여나기한다. 근경은 짧다. 잎은 길이 5-20cm로서 녹색 또는 백록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mm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 2008. 7. 9.
속털개밀일까? ▶ 남한산 속털개밀 Agropyron ciliare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두해살이풀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30∼90cm이다. 잎은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5∼15cm, 나비 4∼10mm이다. 잎혀는 길이 1mm이며 끝이 수평으로서 갈색이고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피고 꽃이삭은 연한 녹색이며 밑으로 처진다. 작은이삭은 .. 2008. 7. 9.
개밀 2 (광릉개밀일까...?) ▶ 남한산 등산로 주변 햇빛 잘 드는 풀섶 호영의 까락이 자주색이어서 광릉개밀일지도 모른다. 개밀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평지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40∼100cm이다. 줄기는 뭉쳐나며, 밑이 옆으로 벋다가 끝이 곧게 선다. 잎은 길이 20∼30cm, 나비 5.. 2008. 7. 9.
개밀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남한산 ● 개밀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 화본목 벼과 개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00cm이다. 줄기는 뭉쳐나며, 밑이 옆으로 벋다가 끝이 곧게 선다. 잎은 길이 20∼30cm, 나비 5∼10mm로 잎몸은 납작하고 잎집은 뭉툭하며 막질이다. 잎혀는 길이 0.6∼0.8mm로 막질이다. 꽃은 6∼7월에 수.. 2008. 7. 9.
갈풀 Phalaris arundinacea 벼과 갈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갈대와 닮은 풀이어서 갈풀이라 한다. 속명 팔라리스(Phalaris)는 갈풀의 그리스 옛 이름이며, 종소명 아룬디나체(arundinacea)는 갈대를 닮았다는 의미의 라틴어다. 영명도 '갈개-풀'이라는 뜻의 'reed-grass'이다.  볕이 잘 드는 물가 땅에서 잘 자란다.     2008. 06. 15.  남한산성    2008. 05. 30. 대모산     ● 갈풀 Phalaris arundinacea  /  벼과 갈풀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줄기는 높이 70∼180cm로 곧게 자란다. 잎몸은 길이 20∼30cm, 나비 12mm 정도이고 까실까실하다. 잎집은 막질이며 3∼4mm이다. 꽃은 6월에 이삭 모양의 원추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며 길이.. 2008. 7. 8.
길골풀(풀골) Juncus tenuis 우리나라 전역 길가와 산지의 응달진 풀밭에 자라는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풀골'이라고도 하며 줄기 밑부분에 잎이 있는 점에서 비늘잎으로 구성된 다른 골풀속의 종들과 구별된다. 물골풀(J. gracillimus)과 유사하지만, 화피조각의 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별된다.     2008. 06. 15.  남한산성 골짜기 그늘지고 습한 등산로     ● 길골풀 Juncus tenuis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며 나비 1mm정도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위로 다소 말리며 귀같은 돌기는 타원형이고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다. 근경에서 총생하며 높이 30~60cm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가지에 다수의 작은 담녹색 꽃이 모여 핀다. 화서 기부에 고르지 않은.. 2008. 7. 8.
잠자리피 Trisetum bifidum 잠자리피는 져과으 여러해살이풀로 평지의 풀밭이나 길가 등에서 흔히 자란다. 이삭에 꼬이고 꺾인 까끄라기와 함께 털이 모여난 모습이 특징이다. 남한산 등산로 초입, 약간 트인 풀섶 ● 잠자리피 Trisetum bifidum /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 정도이다. 줄기 밑부분 마디에서 굽지만.. 2008. 7. 8.
털개밀(?) 이창복 도감 이미지에 비추어 털개밀로 동정했는데, 털개밀은 태백산 및 북부지방의 고원지대에서 자란다고 되어 있는 점에서 의문점을 남긴다. 개밀이나 속털개밀과의 차이점을 아직 제대로 모르는 상태라 나중에 확인되는 대로 수정하리라... 잘 아시는 분은 댓글 주시기를~ ▶ 진주 남강변 털개밀 .. 2008. 7. 5.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꽃차례 가지가 사방으로 펼쳐진 모습이 우산을 닮은 잔디여서 우산잔디라고 한다. 강원도 낙산사 근처에서부터 남쪽으로 동해안을 따라 바닷가에서 자라고, 전세계의 열대와 난대에 널리 분포한다. 진주 남강변 ●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 Bermuda grass / 화본목 벼과 우산잔디속 여러해살.. 2008. 7. 5.
도랭이피, 김의털 ● 도랭이피 ● 김의털 2008. 6. 24.
참새귀리 Bromus japonicus 귀리 식구에는 이삭에 까락이 없거나 하나 정도 있는 귀리 외에도 메귀리, 빕새귀리, 민둥빕새귀리, 까락빕새귀리, 참새귀리, 털빕새귀리, 개빕새귀리 등 종류가 다양하다. 작은이삭에 열매가 배열된 모양이나 개수, 까락 등의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 참새귀리는 귀리 중에서 작은이삭.. 2008. 6. 24.
도랭이피 Koeleria cristata 도랭이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지나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데, 특히 산소가 있는 풀밭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대모산 ● 도랭이피 Koeleria cristata /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가지를 치며, 대는 뭉쳐나는데 가늘며 길고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높이는 50cm 정.. 2008.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