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벌씀바귀 Ixeris polycephala 들씀바귀라고도 하며 봄날 논둑이나 벌판에서 흔히 자라며 꽃을 피운다. 잎이 줄기를 감싸고 잎끝이 쐐기꼴로 뾰족해진다. ● 벌씀바귀 Ixeris polycephala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15∼40cm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지만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털이 없다. 뿌리에 달린 잎은 줄 모양 .. 2006. 6. 8. 누운주름잎 Mazus japonicus 누운주름잎은 여러해살이풀로 사방으로 기는줄기(匍匐莖)가 발달하며 뿌리잎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중 꽃이 피는 주름잎과 다르게 5월 전후에만 꽃이 핀다. 누운주름잎은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주름잎은 한해살이풀로 연중 계속해서 꽃을 피우며 꽃자루가 길어지고, 기는줄기가 없다. 선주름잎은 줄기가 서고 주름잎이나 누운주름잎에 비해 꽃이 크고 꽃자루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 누운주름잎 Mazus miquelii | Miquel's mazus / 통화식물목 현삼과 주름잎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5-15cm이며, 아랫부분에서 기는줄기가 나와 사방으로 벋어 번식한다. 뿌리잎은 모여 나며, 도란형으로 길이 2-5cm, 폭 1.5-2.0cm,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기는줄기에 달리는 .. 2006. 6. 8. 감자 Solanum tuberosum 감자는 페루·칠레 등 남미 안데스 산맥 원산으로 지리상의 발견 이후에 전 세계로 널리 퍼져 재배하게 된 근대적인 농작물이다. 우리 나라에는 조선 후기에 도입되어 고구마와 함께 대표적인 구황식물로 자리잡았다. 마령서(馬鈴薯)·하지감자·북감저(北甘藷)라고도 한다. 태릉 ● 감.. 2006. 6. 8. 무 Raphanus sativus 배추와 함께 십자화과의 대표적인 채소이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 중국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 인도 및 서남아시아라는 설 등이 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 비문에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재배 역사는 아주 오랜 듯하다. 중국에서는 BC 400년부터 재배되었으.. 2006. 6. 8. 다채(비타민채)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꼬마 배추라 부를 만한 녹황색 중국 채소로, 다채는 비타민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비타민채라고도 한다. 비타민 A의 함유량이 생체의 경우 시금치의 2배 정도이다. 본래는 포기를 크게 키우는 것이지만 주로 새싹 채소나 쌈채로 이용되고 있다. 숟가락 모양으로 자라는 잎은 광택이 있는 .. 2006. 6. 8. 청경채 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잎과 줄기가 푸른 데서 청경채(靑莖菜)라 하는데, 중국 화중 지방 원산으로 중국 배추의 일종이다. 중국 요리에 자주 등장하는 채소로 비타민이 풍부하다. 포기째 먹는 야채에 수분이 많아 아삭하게 씹히는 식감이 신선하지만 특별한 맛은 없다. 경기도 용인은 국내 대표적인 청경채 산지.. 2006. 6. 8. 큰꽃으아리 Clematis patens 횡성군 안흥 사진 : 최성수 ● 큰꽃으아리 Clematis patens /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식물 줄기는 가늘고 갈색이며 길이가 2∼4cm이고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4∼10cm이며 .. 2006. 6. 8. 봉화산 주변에서 만난 꽃들 2006. 05. 26 금요일 봉화산과 주변 배밭, 그리고 태릉고등학교 화단 등에서. 주름잎 청경채? 비타민채라고도 하는 다채 개갓냉이(졸속속이풀) 가지 벌씀바귀 다닥냉이 뽀리뱅이 씀바귀 벌씀바귀 봄망초 개구리자리 무꽃 감자꽃 완두 봄여뀌 깨꽃(샐비어) 돼지풀 개발나물 산딸기 고들빼기 .. 2006. 6. 7. 쇠채 Scorzonera albicaulis 쇠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볕 잘 드는 산기슭이나 바닷가 풀밭 등에서 자란다. 민들레처럼 활짝 꽃을 피우는데, 대모산 무덤 언덕에서 자라는 이 쇠채는 수 차례 찾아 관찰했지만 꽃을 활짝 피운 모습을 좀체로 볼 수 없다. 꽃 피우는 시기나 시간을 못 맞춘 것인지 이 곳의 꽃만 유.. 2006. 6. 6. 엉겅퀴 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 Thistle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가시나물, 항가새라고도 불린다. 피를 멈추고 엉기게 한다고 해서 엉겅퀴라고 부른다. 13세기 덴마크와 스코틀랜드가 전쟁을 벌였다. 덴마크는 스코틀랜드를 몰아붙여서 성을 포위했다. 성벽을 넘어 공격해 들어가.. 2006. 6. 6. 홍자단(코토네아스터) Cotoneaster horizontalis 홍자단은 중국 서부지방이 원산지이며 cotoneaster에 속하고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자생하고 있는 상록 반낙엽성 식물이다. 5월의 광택나는 푸른 잎과 6월에 피는 연분홍색의 작은 꽃, 가을에 붉게 물드는 잎과 보석 같은 붉은 열매가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다. ● 홍.. 2006. 6. 6. 꽈리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꽈리'라 불리는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이 1.5cm 정도로 빨갛게 익으며 먹을 수 있다. 빨갛게 익은 열매는 씨를 빼내어 입에 넣고 공기를 채웠다가 아랫입술과 윗니로 지긋이 누르면 소리가 나 어린이들의 좋은 놀이감이 된다. ● 꽈리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 가지과의 여러해살이.. 2006. 6. 6. 때죽나무의 꽃과 열매 Styrax japonica 중부 이남 산골짜기와 들의 물가 지대에서 자라는 때죽나무과의 나무로, 5월에 흰 꽃이 꽃등처럼 아래를 향해 만발한다. 꽃 향기가 아주 진하며, 열매의 껍질은 물고기가 '떼'로 '죽'을 정도로 독성이 있어서 '때죽나무'라 부른다는 속설이 있다. 2006. 05. 21 / 서울 대모산 2007. 08. 15 / 경남 합.. 2006. 6. 3. 백정화 Serissa japonica 중국 남부 원산의 꼭두서니과 관목으로 흰 꽃이 丁자 모양으로 피어 백정화(白丁花)라는 이름이 생겼다. 만천성(滿天星)이라고도 한다. 중국 남쪽에서부터 동남아에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쓰고 울타리에 많이 심는다. 원예품종으로는 겹꽃·만첩꽃, 잎에 반점이 있는 것 등을 개발하였다... 2006. 6. 3. 털마삭줄 Trachelospermum jasminoides var. pubescens 남해안에 가야 볼 수 있는 상록 덩굴나무 마삭줄을 서울에서 만난다. 바람을 막아주는 나무들이 울을 이룬 북쪽 산발치에 기대어 남쪽으로 볕바라기하는 따뜻한 민가... 갓 피기 시작한 꽃까지 마주하니 참으로 행운이다. 그냥 마삭줄인 줄 알았더니 화통에 털이 있고 화통 밖으로 꽃밥이.. 2006. 6. 3. 이전 1 ··· 693 694 695 696 697 698 699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