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선씀바귀 (보랏빛) Ixeris strigosa 선씀바귀는 국화과 선씀바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흰 꽃이 핀다고 하여 흰선씀바귀라고 하며, 흰 꽃이지만 붉은 빛이 엷게 또는 아주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노란 꽃이 피는 선씀바귀는 노랑선씀바귀라 부른다. 2006. 05. 15 대모산 2006. 05. 17 태릉 ● 선씀바귀 Ixeris strigosa / 국화과 선씀.. 2006. 5. 28.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중부 이남의 따뜻한 곳에 자생하는 현삼과 오동나무속의 자생 교목이다. 비슷한 나무로 참오동나무(P. tomentosa)는 울릉도 원산으로 잎 뒷면에 갈색의 털이 없고 꽃에는 자갈색의 점선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서울 대모산 ●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 Paulownia / 통화식물목 현삼과 오동나무속.. 2006. 5. 28.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2007. 05. 20 청계산 2006. 5월 대모산 ●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가 있다. 턱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다. 잎은 길이 2∼5cm로 어긋나고 세모진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2006. 5. 28. 백당나무의 무성화, 불두화 Viburnum sargentii for. sterile 부처가 태어난 4월 초파일을 전후해 꽃이 만발하는데, 꽃의 모양이 부처의 머리처럼 곱슬곱슬하므로 불두화(佛頭花)라 부른다. 절에서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 불두화 Viburnum sargentii for. sterile | Snowball Tree / 꼭두서니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높이 3~6m. 어린 가지는 털이 없고 붉은 빛을 띠는 녹색이나, 자라면서 회흑색으로 변한다. 줄기껍질은 코르크층이 발달하였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12cm의 넓은 달걀 모양이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 끝에 2개의 꿀샘이 있고, 밑에는 턱잎이 있다. 꽃은 무성화(無性花)로 5~6월에 피며, 꽃줄기 끝에 .. 2006. 5. 28. 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 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 Sargent viburnum / 인동과의 낙엽관목 높이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코르크층이 발달한다. 새가지에 잔털이 나며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2cm이다. 끝이 3개로 갈라져서 양쪽의 것은 .. 2006. 5. 28.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흔히 아카시아로 불리지만, 아카시아는 노란 꽃이 피는 열대 원산으로 흰 공이 피는 아까시나무와 다른 종이다. 아까시나무의 종소명인 'pseudoaccacia'는 '가짜 아카시아'란 뜻인데, 사람들이 아까시나무를 아카시아로 부르면서 아카시아가 되었다. ●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 False acasia.. 2006. 5. 28. 노박덩굴 양성화, 열매 대모산에서 만난 노박덩굴, 꽃을 살펴보니 암술 하나에 다섯 개의 수술이 있다. 노박덩굴은 대개 암수딴그루(二家花)로 알려져 있는데 암술 수술이 한 꽃에 피는 양성화는 드문 경우다. 암꽃에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노박덩굴 열매> 열매는 10월에 노란색으로 익으며 .. 2006. 5. 28.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멍석딸기는 산기슭 아래 쪽 산지 주변 낮은 지대에 덩굴을 벋으며 자라는 딸기이다.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 장미과의 덩굴성 낙엽관목 짧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개씩이지만 맹아(萌芽)에서는 5개인 것도 있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달걀모양 원.. 2006. 5. 28.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2006. 05. 12. 제천 ●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ㅣ Lily of the valley /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고 군데군데에서 지상으로 새순이 나오며 밑부분에 수염뿌리가 있다. 잎이 나기 전 기부에서 몇 개의 막질 초상엽이 3월 하순경에 나와 자라면서 그 속에서 2개의 잎.. 2006. 5. 28.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수영과 비슷하지만 작아사서 애기수영이라 한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중부 지방 이남에 널리 퍼져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소산모(小酸模)라는 약재로 쓰는데 항암 효과가 있으며,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에 지혈 효과가 있다고 한다. 대모산 2007. 06. 06 제천 20.. 2006. 5. 25.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죽령산, 두위봉에서 처음으로 자생지에서 만나본 분꽃나무. 이름처럼 가지 끝에 긴화관 끝에 5갈래로 갈라진 꽃의 모양이 분꽃을 닮았다. 화관의색깔이 온전히 흰 것도 있고 붉은 빛을 띤 것도 있다. ●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 인동과의 낙엽관목 높이는 2m 정도이고, 작은 가지와 겨울눈.. 2006. 5. 25.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마타리과 쥐오줌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모여서 피는 좁쌀처럼 작은 꽃들이 매우 아름답다. 마타리과의 자생종으로는 가장 일년 중 일찍 꽃이 핀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길초'라 하며 진정 효과가 있어 약용한다. 2006. 05. 13. 자미원 죽령산 쥐오줌풀 어린풀 집에서 채소로 기른 쥐오줌풀 잎 모습, 줄기 속이 텅 비었다. ●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 꼭두서니목 마타리과 쥐오줌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에서 가는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고, 뿌리는 수염뿌리이며 쥐 오줌 냄새와 비슷한 독특한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40∼80cm이며 모가 난 줄이 있고 속이 비었으며 10여 개의 마디가 .. 2006. 5. 25. 큰구슬붕이, 큰구슬봉이 흰꽃 Gentiana zollingeri 큰구슬봉이는 용담과의 두해살이풀로 필용담, 석용담(石龍膽)이라고도 한다. 로제트가 발달한 구슬봉이 종류와는 달리 큰구슬붕이는 뿌리에서 난 잎이 없거나 아주 적다. 죽령산 큰구슬봉이 흰 꽃 ● 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5.. 2006. 5. 25. 구슬붕이 Gentiana squarrosa, 봄구슬붕이 Gentiana thunbergii 구슬붕이는 용담과의 두해살이풀로 '암용담'이라고도 하며 줄기의 잎들이 비늘처럼 젖혀져 있어 중국명으로는 '인엽용담(鱗葉龍膽)'이다. 산과 들의 양지바른 언덕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잎의 넓은 로제트가 보이고 꽃받침이 젖혀진 모양으로 구슬봉이임을 알 수 있다. 비슷한 것으로 봄구슬봉이라는 것이 있는데, 꽃받침이 젖혀지지 않는 점으로 구별한다고 한다. 하지만 봄구슬붕이가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이다. 국생정의 표본 사진을 비롯하여 봄구슬붕이라며 포스팅한 사진들은 거의 구슬붕이나 큰구슬붕이, 또는 고산구슬붕이의 오동정으로 보인다. 강원도 죽령산 ● 구슬붕이 Gentiana squarrosa | squarrose gentian ↘ 용담목 용담과 용담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5∼10cm로 .. 2006. 5. 25. 토종 민들레(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 서양민들레 정선 두위봉 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 꽃이 연한 노랑색이다. 서양민들레 총포(꽃받침)가 뒤로 젖혀져 있다. 민들레꽃 (조지훈) 까닭 없이 마음 외로울 때는 노오란 민들레꽃 한 송이도 애처롭게 그리워지는데 아 얼마나한 위로이랴 소리쳐 부를 수도 없는 이 아득한 거리(距離)에 그대 조.. 2006. 5. 25. 이전 1 ··· 696 697 698 699 700 701 702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