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흰말채나무 Cornus alba 흰말채나무는 층층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홍서목(紅瑞木)이라고도 한다. 산지 물가에서 자란다. ● 흰말채나무 Cornus alba / 층층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붉은색이고 골속은 흰색이며 어린 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꼴 타원.. 2006. 5. 31.
족제비싸리 Amorpha fruticosa 북아메리카 원산의 콩과 관목으로 1930년경 중국 동북부를 거쳐서 한국에 들어왔다. 사방공사와 사면(斜面)의 피복자원으로서 흔히 심으며 생활력이 왕성하다. 꽃색이 족제비 색깔과 비슷하고 냄새가 나므로 족제비싸리라고 한다. ● 족제비싸리 Amorpha fruticosa / 콩과의 낙엽관목 높이 3m .. 2006. 5. 31.
배암차즈기(곰보배추) Salvia plebeia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배암차즈기는 곰보배추, 뱀배추, 문둥이배추 등으로 불린다. 약간 습기가 있는 도랑 근처나 논둑 등에서 자란다. ● 배암차즈기 Salvia plebeia /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30∼70cm이다. 네모지며 밑을 향한 잔털이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방석처럼 퍼져서 겨울을 지내.. 2006. 5. 31.
선개불알풀과 큰개불알풀 선개불알풀 줄기는 곧게 서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꽃자루 없이 1개씩 달린다. 잎이 큰개불알풀이나 개불알풀과는 달리 바소꼴로 길쭉하며 잎자루 없이 줄기에 촘촘히 달린다. 아래는 얼핏 선개불알풀처럼 보이나, 잎과 줄기의 모양이 다르다. 큰개불알풀이 전성기를 지나 무성한 풀들 속에 .. 2006. 5. 31.
5월 20일의 양재천 (2) 붉은토끼풀 개사철쑥 족제비싸리 가락지나물 말냉이 말냉이와 다닥냉이의 크기 비교 둘다 씨방이 원반 모양으로 생겼는데, 말냉이는 지름이 2센티미터에 가깝게 크고, 다닥냉이는 2-4밀리 정도로 작다. (커다란 원반 모양이 말나리, 그 위에 비스듬히 세워 놓은 것이 다닥냉이 꽃대이다.) 선개불알풀 .. 2006. 5. 30.
5월 20일의 양재천 (1) 5월 20일 토요일 햇살이 눈부시게 맑은 날 아이들과 함께 양재천으로 나섰다. 아직도 독한 감기 바이러스가 내 몸을 기진맥진케 하고 있지만, 마음만은 화창하다. 선개불알풀 도곡역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동안 잔디 화단에 잔디보다 키가 작은 이 녀석을 발견하고 얼마나 흐뭇했는지... 왜냐고? 꽃을 .. 2006. 5. 29.
삼색제비꽃 Viola tricolor 유럽 원산으로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V.tricolor과 근연종(近緣種)을 교잡시켜 만든 한두해살이 관상식물이다. ● 삼색제비꽃 Viola tricolor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2-25cm, 가지가 갈라지며 능선이 있고,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장타원형 .. 2006. 5. 28.
초롱꽃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산소채(山小菜), 풍령초, 종꽃)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긴 꽃대에 다소곳이 아래를 향해 매달린 꽃을 보면 왜 초롱꽃으로 명명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속명 ‘Campanula’는 ‘점이 있는 작은 종’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초롱꽃은 꽃받침이 5.. 2006. 5. 28.
끈끈이대나물 Silene armeria 끈끈이대나물은 유럽 원산의 석죽과 한두해살이풀로,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 끈끈이대나물 Silene armeria /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전체에 분처럼 흰빛이 돌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cm 정도이다. 줄기 윗부분 마디 밑에서 점액을 분비하는.. 2006. 5. 28.
개갓냉이, 또는 졸속속이풀 속속이풀과 닮았으나 잎이 갈라지지 않고 씨방이 더 긴 점이 다르며 졸속속이풀이라고도 한다. 중부 이남의 낮은 지대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 개갓냉이 Rorippa indica /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5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 2006. 5. 28.
작약 작약 Paeonia lactiflor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작.. 2006. 5. 28.
노랑선씀바귀 Ixeris chinensis 선씀바귀는 기본 염색체수가 n=8이고 씀바귀는 n=7이라고 하니, 선씀바귀가 씀바귀의 진화형이라고 할 수 있을는지... 선씀바귀(I. strigosa)와 닮았는데 노란 꽃이 핀다고 노랑선씀바귀라 부르지만 노랑선씀바귀를 선씀바귀속의 기본종으로 본다. 서울 태릉 ● 노랑선씀바귀 Ixeris chinensis / .. 2006. 5. 28.
흰제비꽃 => 흰들제비꽃 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 근연종 검색표 흰제비꽃으로 정리해두었던 제비꽃이 '흰들제비꽃'(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이라는 새 국명으로 발표된 모양이다. 개인적으로는 다소 길고 끝이 둔한 잎 모양에다 잎자루에 날개가 제법 발달하고 있어서 제비꽃과 호제비꽃의 중간형인 제비꽃쯤으로 생각하고 있는 제비꽃이었는데, 흰 꽃이 피는 녀석만 따로 흰들제비꽃이라 명명한 것이다. 주변에는 형태가 비슷한, 자줏빛 꽃이 피는 것도 있고 중간형의 연한 색의 꽃이 피는 것도 있다. 그럼 이 제비꽃들은 Viola betonicifolia ('들제비꽃'?)일텐데, 왜 이들에 대한 언급은 생략된 걸까?   2006. 04. 22.  대모산    2006. 04. 29. 태릉   2006. 05. 02. 남한산성 입구   2006. 05... 2006. 5. 28.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이밥(쌀밥)처럼 하얗게 피는 꽃, 그래서 이팝나무라 불렀다. 들판이나 골짜기에서 자라는 나무로 꽃 피는 모습으로 그해 벼농사의 풍흉을 점쳤으며, 치성을 드리면 풍년이 든다고 믿어 신목으로 받들기도 한 나무이다. ●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 높이 .. 2006. 5. 28.
대극 Euphorbia pekinensis 2006. 05. 16.  대모산     ● 대극Euphorbia pekinensis   /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비대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가는 털이 있다. 높이 80cm 정도이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타원형의 바소꼴로 끝은 뭉뚝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뒷면에는 짧은 털이 나고 백록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원줄기 윗부분에서는 5개의 잎이 돌려나고, 총포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꼴의 원형으로 길이 5∼12mm이다. 6월경에 황록색 꽃이 배상꽃차례(杯狀花序)를 이루고, 1개의 수술로 된 몇 개의 수꽃과 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이 작은 총포 안에 들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지름 6mm .. 2006.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