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민청가시덩굴 Smilax sieboldii var. inermis 민청가시덩굴은 백합과의 덩굴 관목으로 본종인 청가시덩굴과 달리 가시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2006. 05. 28 / ● 민청가시덩굴 Smilax sieboldii var. inermis / 백합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 길이 5~10m이다. 줄기는 녹색이며 가시가 없다. 가지에는 검은 반점이 있으며 털은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길.. 2006. 6. 10.
선괭이밥 Oxalis stricta ● 선괭이밥 Oxalis stricta / 쥐손이풀목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길게 벋으며 비늘잎에 싸인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 끝에서 3개의 작은잎이 옆으로 퍼져 난다. 작은잎은 거꾸로 된 심장 모양이고 밑부.. 2006. 6. 10.
쪽동백나무, 꽃과 열매 Styrax obassia 쪽동백나무는 때죽나무과의 나무로 꽃과 열매가 때죽나무와 아주 많이 닮았다. 심지어 가지 끝에 달리는 벌레집조차도 비슷하다. 다만 잎이 때죽나무에 비해 훨씬 넓고 크며, 꽃차례가 길다. 나무에 '동백'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은 머리 기름이 나오기 때문이라 한다. 쪽동백나무 꽃 200.. 2006. 6. 10.
5월 28일, 남한산 그리고 대모산 언덕 <남한산성을 오르며> 나비나물 은대난초 아쉽게도 이미 꽃이 진 모습이고, 주변엔 다른 개체가 하나도 눈에 띄지 않았다. 천남성 비짜루 활량나물 민청가시덩굴 선괭이밥 조희풀 쪽동백 좀깨잎나무 노랑물봉선 물봉선 까마귀밥여름나무 선괴불주머니 영춘화 ? 약사사 뒤편 산성 위로 올려다 본 .. 2006. 6. 9.
닥나무 암꽃 Broussonetia kazinoki 2006. 05. 27 / 대모산 ●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 paper mulberry /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3m에 달하고 작은 가지에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5∼20cm이며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끝 부분이 길고 뾰족하며 밑 부분은 둥글.. 2006. 6. 9.
수염패랭이꽃 Dianthus barbatus var. asiaticus 수염 모양의 가늘고 작은 포가 뚜렷해 수염패랭이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을 비롯하여 유럽, 중국 북·동부,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 수염패랭이꽃 Dianthus barbatus var. asiaticus | sweet william / 중심자목 석죽과 패랭이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 하부는 원주형이고 상부는 네모졌.. 2006. 6. 9.
오천항, 오천성, 갈매못 성지 돌아보기 06. 05. 27(토) 오천항 주변 민박집 입구 화단에 핀 수염패랭이 아침 식사하러 나서는데 비는 내리고. 오천성 돌아보기 성 안에서 본 성문 팽나무 오천성은 충청 수영이 있던 곳이다. 충청수영성(忠淸水營城)은 서해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위해 돌로 높이 쌓아올린 석성(石城)이다. 조선 중종 4년(1509)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이장생(李長生)이 축성, 충청수영(忠淸水營)의 외곽을 두른 1,650m의 장대한 성(城)으로 자라(鱉)모형의 지형을 이용 높은 곳에 치성(稚城) 또는 곡성을 두어 바다와 섬의 동정을 살폈고 해안방어의 요충지였다. 사방(四方)에 4대 성문(城門)과 소서문(少西門)을 두었고, 동헌을 비롯한 관아건물 영보정(永保亭), 관덕정(觀德亭), 대섭루(待燮樓), 능허각(凌虛閣), 고소대(姑蘇.. 2006. 6. 9.
돌나물(Sedum sarmentosum) 꽃 돌나물은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땅 들판의 습한 곳에는 어김없이 살고 있는 생명력 강한 잡초이지만 최고의 봄나물로 꼽히기도 한다. '돼지에게 먹이는 풀'이란 뜻으로 돈나물, 또는 돗나물이란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리는데, 한자 이름으로 돌나물이란 뜻의 석상채(石.. 2006. 6. 9.
덩굴장미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찔레(Rosa multiflora)의 변종으로 중국에 야생하는 것을 원예화한 것이다. ● 덩굴장미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 덩굴관목 줄기는 길이 5m에 달하고 전체에 밑을 향하는 가시가 드문드문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 5-7개가 모인 깃꼴겹잎이며,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도.. 2006. 6. 9.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2006. 05. 25 / 대모산 입구 어느 교정 ●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소교목 가지는 퍼지고 털이 없으며 어릴 때는 자줏빛이 돈다. 높이는 4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는 5∼12cm, 나비는 3∼9cm이다. 꽃은 6.. 2006. 6. 9.
감나무 Diospyros kaki 감꽃 경기도 이남에서 자라는 감나무과의 교목으로 우리 민족의 정서가 짙겨 배어 있는 과실수이다. 하지만 원산지는 중국 중남부로 동북아시아에에서만 재배해온 온대 과일나무다. 우리나라에는 청동기시대에 들어온 것으로 보이는데, 고려 중엽 이후에 문헌 기록이 남아 있다. 열대지방에.. 2006. 6. 9.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ohiensis 닭의장풀과 비슷하지만 닭의장풀에 비해 키가 크고 꽃이 자주색으로 짙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일제 시기에 도입되어 관상용으로 심는다. ●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ohiensis / 닭의장풀목 닭의장풀과 자주달개비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0cm 정도이고, 줄기는 무더기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2006. 6. 8.
봄여뀌 Persicaria vulgaris ● 봄여뀌 Persicaria vulgaris /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한해살이풀 높이 20-60cm이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서며 연모(軟毛)가 있고 홍자색이 돌며 윗부분에는 털이 없으나 기부에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006. 6. 8.
봄망초(?) 망초 속에는 망초와 개망초만 있는 줄 알았는데, 봄망초라는 것이 따로 있단다. 개망초와 거의 비슷한 종인데, 여름이 되어야 피는 개망초와는 달리 봄에 피어서 봄망초이다. 꽃이 개망초보다는 살짝 크고 희지만 연분홍빛이 도는 것이 있단다. 개망초라고 부르는 것들을 살펴보면 잎이나 꽃의 생김새.. 2006. 6. 8.
씀바귀 Ixeris dentata ● 씀바귀 Ixeris dentata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5∼5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 2006.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