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붉은인동 Lonicera japonica for. rubra ● 붉은인동 Lonicera japonica for. rubra /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식물 반상록활엽의 덩굴성 수목으로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5m까지 뻗는다. 줄기는 연한 초록빛 또는 분홍빛을 띠며, 거친 털이 빽빽히 나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3~8cm의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 2006. 6. 16.
벼룩이자리 Arenaria serpyllifolia ● 벼룩이자리 Arenaria serpyllifolia / 석죽과의 한 ·두해살이풀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밑으로 향한 털이 있으며 밑에서 갈라진 가지는 옆으로 벋어서 땅에 닿는다. 잎은 나비 1~5mm 정도로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다. 흰꽃이 4~5월에 피며 1cm 내외.. 2006. 6. 16.
6월 3일, 대모산을 넘으며 06. 06. 03 토요일 수서역에서 오르는 등산로 입구의 장승 인동 키 높이로 훌쩍 자란 땅비싸리 장대나물 벼룩이자리 홍매화 매실? 이끼용담 붉은인동 골풀 가시오가피 황금달맞이꽃 흰줄무늬사사 감자꽃 노루발풀 키 높이로 자란 땅비싸리 기름새 주름조개풀 광릉골무꽃 좁쌀풀 이고들빼기 산박하 대극.. 2006. 6. 15.
듀란타, 펠라르고늄, 아메리카블루, 클레로덴드럼, 하이비스커스 ● 듀란타 Duranta repens | golden dewdrop, pigeonberry, skyflower <span style="color: rgb(191, 219, 232);"><span style="font-size: 11pt;"> var viewer_image_url = "http://blogimgs.naver.com/blog20/blog/layout_photo/viewer/"; var photo = new PhotoLayer(parent.parent.parent); photo.Initialized(); window.onunload = function() { photo.oPhotoFrame.doFrameMainClose();.. 2006. 6. 14.
레위시아 Lewisia cotyledon 레위시아(Lewisia cotyledon)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쇠비름과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로제트형으로 펼쳐지면 다육질이고 꽃이 매우 화려하다. ● 레위시아 Lewisia cotyledon / 쇠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북아메리카의 록키 산맥 등 건조한 산악지대에 자생하는 내한성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잎.. 2006. 6. 14.
한련화 Tropaeolum majus 한련은 멕시코와 남아메리카 원산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원예에서는 한해살이풀로 다룬다. 유럽에서는 승전화(勝戰花)라고 하며 화분과 화단에 심는다. ● 한련화 Tropaeolum majus / 쥐손이풀목 한련과 한련속 덩굴성 한해살이풀 길이가 1.5m에 달하고 털이 없거나 있으며 다소 육질.. 2006. 6. 13.
유리옵스 Euryops pectinatus 유리옵스(Euryops)라는 속명은 그리스어의 "커다란 눈"(eurys=큰 ops=눈)이란 뜻으로 크고 화려한 꽃모습에서 유래되었다. 겨울에서 봄까지 피는 황금빛 꽃은 매우 아름답고 추위를 녹혀주는 듯 따뜻한 느낌을 준다. ● 유리옵스 Euryops pectinatus | Yellow Bush Daisy / 국화과 상록소관목 높이 90cm 정도.. 2006. 6. 13.
로사케아범의귀(천상초, 운간초) Saxifraga rosacea 흔히 '천상초, 운간초'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원예종은 로사케아범의귀로 국명 등록이 되어 있다. 유럽 원산의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에서는 춥고 바람이 많은 산꼭대기에서 자란다고 한다. ● 천상초 Saxifraga rosacea /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유럽이다. 춥.. 2006. 6. 13.
이끼용담(히말라야안개꽃) Gypsophila cerastioides 이끼용담은 유통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히말라야안개꽃'이라고도 불린다.석죽과 대나물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케라스티오이데스대나물'로 등록되어 있다.  중국과 네팔의 히말라야 고산지대(2000-5000m) 초지나 덤불에 분포한다.     2006. 06. 03. 서울 못골 민가 정원      ● 이끼용담 Gypsophila cerastioides  /  석죽과 대나물속 여러해살이풀키는 10-25cm이다. 꽃은 여름에 핀다. 잎은 난형 또는 주걱형으로 5-15mm 크기로 부드러운 솜털로 덮여 있다. 꽃은 여러 송이가 모여서 피고 잎과 같은 포는 달걀 모양으로 2-5mm 정도이며, 꽃잎은 자줏빛 맥이 있고 크기는 5-8mm 정도이다. 2006. 6. 13.
송엽국(사철채송화) Lampranthus spectabilis 잎은 솔잎을 닮고 꽃은 국화를 닮은 송엽국, 잎이 채송화를 닮아서 '사철채송화'라고도 한다. 남아프리카 원산의 석류풀과 여러해살이 꽃으로 추위에 강해 겨울에는 잎사귀가 붉은색을 띠고 월동후 봄이 되면 푸른색을 되찾아 자라며 줄기 아래부분은 딱딱하게 목질화가 된다.  꽃말은 '나태', 또는 '나태로움'이라 한다.    2006. 06. 03. 서울      ● 사철채송화Lampranthus spectabilis  /  중심자목 석류풀과 송엽국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20cm이다. 줄기는 밑부분이 나무처럼 단단하고 옆으로 벋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두꺼운 육질이며 원통 모양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꽃은 4∼6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 붉은색, 흰색 등으로 무리지어 핀다. 국화같이.. 2006. 6. 13.
물칭개나물(Veronica undulata), 큰물칭개나물(Veronica anagallisaquatica) ● 물칭개나물 ● 물칭개나물 Veronica undulata / 현삼과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부드러우며 약간 육질이고 높이가 30∼5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자줏빛이 돌며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4∼7cm, 폭이 8∼15mm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 2006. 6. 13.
창질경이 Plantago lanceolata 유럽이 원산으로 경기도와 경상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사람들이 밟고 다니는 길에서도 질긴 생명력을 보이는 데서 질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창질경이는 잎이 꼭 창처럼 가늘고 길 뿐만 아니라 꽃이삭 모양도 창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양재천 ● 창질경이 Plantago lanc.. 2006. 6. 13.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시금초, 산장초, 오이풀, 괴싱이, 초장초, 산거초라고도 불린다. 고양이가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 이 풀을 뜯어먹는다고 해서 괭이밥이라고 부른다. 풀 속에 ‘옥살산(oxalic acid:수산)’이라는 산 성분이 있어 씹으면 신맛이 난다. 열매 모양이 오이를 닮아 오이풀이라고도 한다. 괭이밥 주.. 2006. 6. 13.
6월 3일, 서울숲 곤충식물원의 생명들 6월 3일, 서울숲 곤충식물원의 생명들 금오모자 백오모자 은세계 월토이(또는 흑토이) '달나라 토끼의 귀'라는 이름의 다육 식물. 잎사귀 둘레에 검붉은 무늬가 점점이 있으면 월토이, 짙게 이어져 있으면 흑토이, 아예 없으면 백토이라고 부른단다. 금황환 라이온금 칠변초 금호 거취옥 .. 2006. 6. 13.
6월 3일, 뚝섬에서 만난 생명들 06. 06. 03(토) 뚝섬유원지에서 한강변을 따라 서울숲을 향해 걸어가면서... (개)쉬땅나무 괭이밥 <한 무리의 원예종 꽃들> 레위시아 천상초 듀란타 유리옵스 백묘국(설국)과 비슷한데, 백묘국은 잎이 눈처럼 희다. 송엽국 이끼용담 세덤(Sedum sieboldii) 세잎꿩의비름과 비슷하다. 펠라고니움 제라늄의 .. 2006.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