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섬초롱꽃(C. takesimana)에 비해 꽃이 희거나 노랑빛이 도는 흰색이고 꽃부리 안쪽에 털이 많이 나 있다. 평북에는 꽃이 홍자색으로 피고 약간 짙은 반점이 있는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이라는 변종이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2006. 06. 04.  천마산         2007. 07. 14.  매봉산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꼴의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세모꼴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 .. 2006. 6. 19.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금대봉에서 만난 갈퀴나물류, 처음에는 광릉갈퀴로 생각했는데 나중에야 아주 비슷한 종으로 선등갈퀴라는 것이 존재하는 걸 알게 되었다. 짝수깃꼴겹잎 등 잎 모양이나 꽃의 모양 등 특성이 매우 닮았는데, 기재문의 내용도 거의 같아서 둘의 차이를 알기가 어렵다. 그러나 실물을 보면 꽃줄기(화경)의 길이가 크게 차이 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광릉갈퀴는 화경이 꽃이삭보다 훨씬 길어서 꽃이 길게 늘어져 달린 듯한 모습이고 선등갈퀴는 화경이 꽃차례보다 짧아서 잎겨드랑이에 꽃이 달린 듯한 모습이다. 금대봉 ●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80∼100cm로 줄기는 곧추 서고 약간 능각이 있으며 때로 분지하고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4~6쌍의 짝수깃꼴겹잎으로 덩.. 2006. 6. 19.
곰딸기 Rubus phoenicolasius 붉은가시딸기라고도 하는 곰딸기, 붉은 갈색의 샘털이 가득한 꽃봉오리가 곰을 연상시켜서 붙은 이름일까...? 나무 밑이나 그늘진 습지에서 자란다. ● 곰딸기 Rubus phoenicolasius / 장미과의 낙엽 관목 높이 약 2~3m이다. 줄기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 붉은 선모가 빽빽.. 2006. 6. 19.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남한산 2007. 06. 23 천마산 2006. 06. 04 왼쪽은 천남성, 오른쪽이 두루미 천남성 비늘 줄기 왼쪽이 천남성, 오른쪽이 두루미천남성 불염포, 육수꽃차례 ●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알줄기는 편평한 구형이고 위에 몇 개의 작은 알줄기가 붙는다. 헛줄기는 서.. 2006. 6. 19.
가시꽈리 Physaliastrum japonicum 가시꽈리는 가지과의 풀로 가시꽈리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성숙해진 열매를 감싸고 있는 꽃받침에 가시 같은 돌기가 나 있어 가시꽈리라 한다.      2006. 06. 04.  천마산       ● 가시꽈리 Physaliastrum japonicum  ↘  가지목 가지과 가시꽈리속의 여러해살이풀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높이 50~70cm이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계란 모양 또는 원형으로 짧게 뾰족해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8월에 중심부가 녹색인 연한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밑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은 술잔 같고 가시 같은 털이 있으며, 끝이 5가닥으로 갈라진다.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있고 수술 5개, 암술 1개가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하얗게 익고,.. 2006. 6. 19.
긴사상자 Osmorhiza aristata 2006. 06. 04 천마산 2007. 05. 26. 죽엽산 이렇게 열매가 길어서 긴사상자라고 한다. ● 긴사상자 Osmorhiza aristata / 산형화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나고 높이는 40∼60cm이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삼각형이며 잎이 2~3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 2006. 6. 19.
함박꽃나무(산목련) Magnolia sieboldii 초여름 깊은 산 속 짙어가는 녹음 속 큰 잎새 사이로 수줍은 듯 하얀 꽃을 피우는 함박꽃나무! 천녀목란 또는 천녀화라는 신선세계를 연상시키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보통은 산목련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목란이라고 부르며 국화로 삼고 있는 꽃이다. 큼지막하고 화사하게 피는 하얀 .. 2006. 6. 19.
비짜루 Asparagus schoberioides 백합과인 비짜루와 방울비짜루는 잔가지가 잎처럼 보이고 잎은 비늘 조각으로 퇴화하여 잘 보이지 않는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잔가지가 발달한 식물체 전체 모습이 빗자루를 연상시킨다. 방울비짜루는 꽃자루가 제법 길쭉하여 꽃이 대롱대롱 매달린 모습으로 피는 데 비하여 비짜루.. 2006. 6. 19.
개감수 열매 Euphorbia sieboldiana 천마산 ●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로 줄기는 가늘고 둥글며 곧게 선다.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붉은 자주색을 띠는데 끊으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다. 잎 길이 3∼6cm, 나비 0.7∼2cm로 밑이 좁고 끝이 뭉뚝하.. 2006. 6. 19.
박쥐나무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천마산 홍릉수목원 ● 박쥐나무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 박쥐나무과의 낙엽관목 높이 3m 정도이다. 줄기는 밑에서 올라와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외피가 흔히 벗겨진다. 작은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고 어릴 때는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사각 모양 원.. 2006. 6. 19.
감자난초 Oreorchis patens, 두잎감자난초 Oreorchis coreana 뿌리와 줄기 사이에 달리는 비늘줄기 비슷한 부분이 둥근 감자를 닮았기 때문에 감자난이라 불린다. 속명 Oreorchis는 그리스어의 'oreos(산)'와 orchis(고환)'의 합성어로 가짜비늘줄기(僞鱗莖)가 동물 고환처럼 생겨서 유래한 것이다. 잎은 댓잎 모양으로 세로맥이 잘 발달해 있는데, 땅 위에서 하나씩 올라와 땅 위에 누운 듯 펼쳐진다. 아주 드물게 두 장이 나오는 것을 두잎감자난초라고 한다. 감자난초의 변종으로 처리되기도 하는데, 제주도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이란다. 그럼 천마산에서 만난 것은 두잎감자난초 아닌가? ● 감자난초 Oreorchis patens 가짜비늘줄기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 1.5-2cm이다. 잎은 1~2개씩 나오고 길이 20~40cm, 나비7~30mm 정도로서 위구(僞球)에서.. 2006. 6. 19.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도깨비부채는 여섯 장의 부채가 수레바퀴처럼, 또는 우산처럼 펼쳐져 있는 독특한 모양의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우·작합산·수레부채라고도 하며 깊은 산에서 자란다. 도깨비부채 꽃차례, 열매 ●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 장미목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크고 굵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손바닥 모양 겹잎으로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3∼6개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5개가 나오며 큰 것은 지름 50cm 정도이고 윗부분의 것은 1∼4개의 작은잎이 나온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또한 작은잎은 길이 15∼35cm, 나비 10∼25cm로 뒷면 맥 위에 잎자루의 윗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 2006. 6. 19.
고비, 영양엽과 생식엽 고비(Osmunda japonica)는 고비과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산과 들에서 자란다. 땅속줄기는 짧고 굵으며 덩이 모양이고 많은 잎이 뭉쳐난다. 높이는 60∼100cm이다. 잎은 영양엽과 포자엽으로 구별되고 어릴 때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솜털이 빽빽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홍릉수목원 영양엽은 2회 깃꼴로 갈라지고 잎조각의 길이가 20∼30cm이며 가장 밑에 있는 것이 가장 크다. 작은 잎조각은 바소꼴이거나 넓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5∼10cm, 폭이 1∼2.5cm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자루가 없다. 천마산 포자엽은 봄에 영양엽보다 먼저 나오고 곧게 서며 자루가 있고 길이가 20∼30cm이다. 작은 잎조각은 줄 모양이고 짙은 갈색이며 포자낭이 포도.. 2006. 6. 19.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암꽃과 수꽃, 새순 승마라는 국명을 가진 자생종들이 다 범의귀과에 속하는데, 눈개승마는 장미과에 속한다.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하여 이른 봄 새순을 나물무침이나 볶음으로 식용한다. 종명 dioicus는 암수딴그루를 의미한다. 기본종(Aruncus dioicus)은 '참눈개승마'라 하는데 유럽 아시아 북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한다. 눈개승마 수꽃 수꽃 접사 눈개승마 암꽃과 열매 시든 수꽃차례(왼쪽), 열매를 단 암꽃차례 눈개승마 새순 ●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장미목 장미과 눈개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뿌리줄기는 나무처럼 단단하고 굵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2∼3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2006. 6. 19.
자란초(큰잎조개나물) Ajuga spectabilis 높이 자란 줄기에 큼직한 잎을 달고 조개나물이나 금창초를 연상시키는 꽃을 피우는 자란초. '큰잎조개나물'이라고도 불리며 금창초, 조개나물 등 조개나물속(Ajuga)의 자생종 중 가장 대형종이다.한국 특산종으로서 중부 이남 산지에 분포한다.   2006. 06. 04.  천마산           ● 자란초(紫蘭草) Ajuga spectabilis  /  꿀풀목 꿀풀과 조개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약 5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는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 약 17cm, 나비 약 9cm이고 잎자루가 있다. 밑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끝은 뾰족해지며 밑은 좁아져서 잎자루가 된다. 가장자리에는 거칠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털이 나며 양면 맥 위에도 털이 난다. 꽃은 6월에.. 2006.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