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86

녹두 Vigna radiata 인도 원산인 한해살이풀로 동남아시아와 중국 등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으로 전파되었다. 노란색 꽃과 털이 있는 갈색 꼬투리를 가진 콩과 동부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열매는 팥에 비해 가늘고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안에는 10~1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가 녹색이어서 녹두라 하지만 황색·녹갈색·흑갈색인 것도 있다.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한다. 2025. 10. 10. 경남 합천 삼가 녹두 열매 녹두 열매(왼쪽), 팥 열매와 씨앗(오른쪽) 팥 열매와 종자 ● 녹두 Vigna radiata | Mung bean, green gram ↘ 목련강 장미아강 콩목 콩과 동부속 한해살이풀 높이는 30∼80㎝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갈색의 퍼진 털이 있다. 잎은 어긋.. 2025. 10. 28.
단풍잎부용 Hibiscus coccineus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잎의 모양이 단풍잎을 닮은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물무궁화', '단풍잎촉규화' 등으로도 불린다. 지름 12~20cm로 5개의 넓은 꽃잎을 가진 진홍색 꽃이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다. 줄기와 잎에는 털이 없고 흰가루로 덮여 있다.부용처럼 겨울에는 지상부가 말라 죽고 이듬해 봄이 되면 다시 싹이 나와 자라서 꽃이 핀다. 전 세계에 수많은 종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미국 남동부 해안 평야의 늪, 습지, 도랑 등에서 자생하는 습지 식물이다. 2025. 10. 10. 흰 꽃이 피는 품종, 'white Texas Star' ● 단풍잎부용 Hibiscus coccineus | scarlet rosemallow, Texas star, scarlet hibiscus ↘ 아욱.. 2025. 10. 28.
벼룩아재비 Mitrasacme indica(M. prolifera) 마전과 벼룩아재비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0cm 내외로 밑에부터 가지를 치며 선형-피침형의 잎이 마주나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아주 작은 네 갈래의 흰 꽃을 피운다. 강원 양양 전남 남원과 덕산, 경기 구리 등지에 자생한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인도, 호주 등에 분포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벼룩아재비 Mitrasacme indica | Indian bishop hat, Annual mitrewort ↘ 목련강 국화아강 용담목 마전과 벼룩아재비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5~15㎝이고 섬세하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윗부분에 입자상의 돌기 이외에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전체에 걸쳐서 달리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3~8㎜, 폭 1~2㎜.. 2025. 10. 27.
낭피버섯(참낭피버섯) Cystoderma amiantinum 갓은 원뿔 모양에서 중앙이 볼록하고 편평한 모양으로 전개되고 조직은 황색이며, 끝붙은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담황색이다. 자루는 속이 비고 턱받이 위의 매끈한 줄기와 턱받이 아래의 비늘 같은 표면이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여름~가을 잣나무 등 침엽수림 가장자리 땅 위에 무리지어 난다. 유럽과 북미에 널리 분포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남부, 호주 동부, 뉴질랜드 등에 자생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참낭피버섯 Cystoderma amiantinum | common powdercap, saffron parasol, saffron powder-cap, earthy powder-cap ↘ 주름버섯목 Squamanitaceae과 낭피버섯속자실체의 갓은 원추형에서 중앙볼.. 2025. 10. 27.
자주국수버섯 Alloclavaria purpurea 패랭이버섯과의 버섯이다. 끝이 뭉뚝한 막대형~곤봉형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보라색-라벤더색이지만 오래되면 황갈색으로 바뀐다. 높이 12cm까지 자랄 수 있다. 여름~가을 소나무 등 침엽수림 내 땅 위에 다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북미 서부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 하나 양이 적어 가치가 적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자주국수버섯 Alloclavaria purpurea | purple coral, purple spindles ↘ 소나무비늘버섯목 패랭이버섯과 자주국수버섯속 자실체는 높이 2.5~12cm, 폭 1.5~5mm이고, 끝이 뭉뚝한 막대형~곤봉형으로 속이 빈다. 기부에 흰색 털이 분포한다. 자실체 색깔은 전체적으로 담자색~회자색으로 아름답다. 기부를 뺀 .. 2025. 10. 27.
'긴목흰말불버섯'(임시명) Lycoperdon albiperidium 멀리서 볼 때는 흰색의 광대버섯속 버섯 유균일까 싶을 정도로 크다. 큰 것은 높이 7~8cm 정도로 무성 기부가 당당한 긴 자루 모양을 하고 살짝 굽어 있다. 긴목말불버섯(또는 긴대말불버섯, Lycoperdon spadiceum)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국내 연구진에 의해 2016년 신종 버섯으로 발표되었다. 여름~가을, 숲속 풀밭이나 모래땅, 썩은 재목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긴목흰말불버섯' Lycoperdon albiperidiu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높이 4-8cm이고 자실체는 흰색으로 머리 부분은 공 모양이며 무성 기부인 자루 부분은 거꾸로 된 원뿔형으로 길다. 표면에는 흰가루가 묻어 있으며 성숙하면서 머리 .. 2025. 10. 27.
무자갈버섯 Hebeloma crustuliniforme 주름살이 적갈색인 밤자갈버섯에 비해 흰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며, 습기가 있을 때는 주름살에서 때때로 물방울이 흘러나와 갈색 반점으로 말라붙는 특징이 있다. 무 냄새가 나고 쓴 맛이 난다. 가을 숲속, 특히 활엽수림 땅에 무리지어 (때로는 홀로) 난다. 유럽, 북미, 러시아, 일본, 칠레, 호주 남부에 분포한다. 독버섯이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무자갈버섯 Hebeloma crustuliniforme | poison pie, fairy cakes ↘ 주름버섯목 '막질버섯과' 자갈버섯속 균모는 지름은 3~8.5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부는 언덕처럼 높다. 표면은 끈적기가 조금 있고 연한 다색이며 중앙은 적갈색에 매끄럽다. 가장자리는 아래로 감긴다.. 2025. 10. 27.
만가닥버섯과, 남빛밤버섯 Calocybe ionides 매우 드문 버섯이라는 남빛밤버섯을 만난다. 보통 갓과 자루가 라일락색-자주색인데 이 버섯은 잦은 비로 탈색된 탓인지 갓은 연한 갈색이다. 홈파진 주름살은 흰색이다. 가을 숲속의 땅에 발생한다. 일본, 중국, 인도, 러시아의 극동지방, 유럽, 북미, 일본에 분포한다. 식독은 불분명하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남빛밤버섯 Calocybe ionides | violet domecap ↘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밤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4.5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펴진다. 흔히 중앙이 약간 돌출된다. 표면은 밋밋하거나 미세한 섬유상 인편이 있다. 라일락색, 회자색-자갈색이며 중앙은 진하고 살은 백색에 가깝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 또는 홈파진 주름살로 백색.. 2025. 10. 26.
잎새버섯 Grifola frondosa, 유균 아직 자라지 못한 잎새버섯을 누군가 따서 그대로 놓아 두었다. 자라게 두었으면 '숲속의 암탉' 크기로 한아름 되었을 텐데... 안타깝다. 잘 자란 버섯은 나뭇잎 모양의 자실체가 고불고불 겹겹이 뭉쳐서 둥근 덩어리를 이룬다. 갓 표면은 연한 갈색이며 가장자리에는 진한 회갈색 띠무늬를 두르고 있다. 여름~가을 물참나무 등 활엽수 고목의 밑동에 난다.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미 등에 분포한다. 맛과 향기가 좋아 식용할 수 있다.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인공재배법이 개발되었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잎새버섯 Grifola frondosa | hen of the woods, ram's head, sheep's head ↘ 구멍장이버섯목 잎새버섯과 잎새버섯속 자실체는 무.. 2025. 10. 26.
왕씀배 Prenanthes ochroleuca 지리산 고산 능선에서 만나본 지 14년 만에 왕씀배 꽃을 서울 가까운 야산의 너른 숲에서 만난다. 왕씀배는 국화과 왕씀배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씀바귀아재비', '호랑이씀바귀', '왕씀바귀아재비' 등 딴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높이 70~100cm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줄기에는 자주색 털이 있다. 잎은 화살촉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9월에 줄기 끝에서 원뿔 모양의 꽃차례로 노란 꽃이 핀다. 산지의 응달에서 자라는데, 국내 취약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만나기 쉽지 않은 풀이다. 남양주, 양평, 포천, 태안, 제주도, 지리산 등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중국 길림성, 러시아 극동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왕씀배 .. 2025. 10. 26.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임시명) Gymnopilus luteofolius 소나무 그루터기에서 몇 개체가 발생하였다. 처음에는 솔버섯으로 오인하였는데 갓의 인편, 금빛 주름살과 피막의 형태 등이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임시명)의 특징으로 확인된다. 한때 녹색미치광이버섯(G. aeruginosus)으로 오동정되었던 버섯이다. 죽은 활엽수와 침엽수에 빽빽하게 모여 자란다. 북미-남미, 유럽-러시아, 일본, 동남아시아, 호주, 남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식용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uteofolius | purple gym, yellow-gilled gymnopilus ↘ 그물버섯목 '막질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갓은 직경 2~11cm, 가장자리는 아래로 말려 있으며 붉은색-보.. 2025. 10. 26.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풀밭에서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인데 환경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많은 듯, 이 버섯은 좀 어두운 색깔이다.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북미에 널리 분포하며 일본, 네팔, 칠레, 유럽에서도 드물게 발견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terrestrial scalycap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 2025. 10. 26.
유관버섯(적갈색유관버섯) Abortiporus biennis 갓 표면은 흰색-황갈색으로 상처를 입거나 마르면 적갈색이 된다. 연한 털과 고리 무늬, 줄무늬 홈선이 있다. 살은 2층이며 상층은 섬유상갯솜질, 하층은 가죽질이며 자루는 1~5cm이다. 흰 덩어리 모양의 유균은 붉은 물방울을 분비하는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활엽수 그루터기나 뿌리, 살아 있는 나무의 밑동,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발생한다.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유관버섯 Abortiporus biennis | blushing rosette ↘ 구멍장이버섯목 배꽃버섯과 유관버섯속 갓의 크기는 3~15cm, 두께는0.5~1.5cm이고, 갓의 모양은 반원형에서 부채형이다. 갓표면은 황백색에 홍백색, 방사상으로 난 부정형 주름과 희미한 고.. 2025. 10. 26.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Rostellularia procumbens) 풀밭 벌초를 한 뒤에 융단처럼 펼쳐진 잔가지에서 분홍의 작은 꽃들이 만발한 모습이 아름답다.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속의 한해살이풀로 꽃이 핀 이삭꽃차례가 쥐고리를 닮은 모양인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꽃이 가지 끝 이삭꽃차례에 붙고 꽃부리 위아래 열편이 모두 아래쪽을 향하는 점에서 가지 끝 잎겨드랑이에 1개씩 피며 꽃부리 위아래 열편이 각각 위아래 쪽으로 벌어지는 입술망초속의 입술망초(Peristrophe japonica)와 구별된다. 경기도 이남 산기슭이나 밭둑에서 자란다.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5. 10. 09. 경기 구리 ●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 | Oriental water-willow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쥐꼬.. 2025. 10. 25.
10. 09. 동구릉 | 쥐꼬리망초, 왕씀배, 벼룩아재비, 석류풀, 검은비늘버섯, 땅비늘버섯, 볏싸리버섯,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 부채버섯, 잎새버섯, 남빛밤버섯, 자주국수버섯, 참낭피버섯 주말 고향에서의 가족 모임을 떠나기 하루 전 날 동구릉을 찾았다. 생각지도 못한 왕씀배 꽃을 만나고 참빗처럼 가지런히 무리지어 자란 싱싱한 자주국수버섯을 비롯하여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 남빛밤버섯, 무자갈버섯 등도 뜻밖에 대면하였다. 혹시나 싶었던 잎새버섯도 만났지만 누군가가 자라지도 못한 어린 버섯을 따 놓은 모습이어서 아쉬웠다. 2025. 10. 09. 경기 구리 검은비늘버섯 쥐꼬리망초 볏싸리버섯 땀버섯속 땅비늘버섯 적갈색유관버섯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임시명) Gymnopilus luteofolius 잡색땀버섯 왕씀배 부채버섯 잎새버섯 남빛밤버섯 무당버섯속 석류풀 무자갈버섯? '갈색누룬젖버섯'? 무당버섯속 긴목말불버섯.. 2025.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