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986 들깨 Perilla frutescens, 꽃 밭에서 재배하는 꿀풀과 들깨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초가을에 총상꽃차례로 흰 꽃을 피운다. 잎과 열매는 식용으로, 씨는 기름으로 사용한다. 인도, 일본,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에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2025. 10. 08. 서울 ● 들깨 Perilla frutescens | Beefsteak mint, Korean perilla ↘ 목련강 국화아강 꿀풀목 꿀풀과 들깨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60~90㎝이고 사각이 지며 곧게 자라고 긴 털이 있다. 전체적으로 강한 냄새가 나며 줄기는 방형(方形)으로 가지가 달린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도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2㎝, 너비 5~8㎝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녹색이지만 때로는 뒷면.. 2025. 10. 25. 개갓냉이(졸속속이풀) Rorippa indica 속속이풀과 모양이 매우 유사하여 '졸속속이풀'이라고도 한다. 잎이 갈래지고 긴 뿔 모양의 열매가 짧은 속속이풀에 비해 잎이 거의 갈라지지 않으며 열매가 가늘고 2배 이상 길며, 암술대는 짧고 굵다. 중국 이름은 '蔊菜'(한채)이며, 생약명이기도 하다. 전국 각지 경작지나 길가, 도랑가 등에 잡초로서 자란다. 동북아시아에서 인도까지 걸쳐 자생하며 아메리가 일부 지역에 도입되었디. 2025. 10. 08. 서울 ● 개갓냉이 Rorippa indica ↘ 목련강 딜레니아아강 풍접초목 십자화과 개갓냉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50㎝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건강한 식물이다. 근생엽은 한군데서 모여나며퍼지고 길이 5~10㎝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2025. 10. 25. 족제비눈물버섯 Candolleomyces candolleanus 재목에서 무리지어 나는 버섯에 비해 땅에서 드문드문 발생하는 버섯은 갓이 큼직하고 색깔도 아름다워서 눈길이 절로 간다. 모양도, 크기도, 무늬와 색깔도, 서식 환경도 카멜레온처럼 다양하게 변신하는 족제비눈물버섯이다. 갓 끝에 내피막 잔유물이 붙어 있는 모습으로 그 정체를 드러내는 버섯이다. 여름~가을 흙에서도 나고 죽은 활엽수 줄기나 그루터기에서도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맛과 향기가 부드러운 식용 버섯으로 알려지고 있다. 2025. 10. 08 서울 2025. 10. 14. 서울 2025. 10. 23. 서울 ● 족제비눈물버섯 Candolleomyces candolleanus | brittlestem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족제비눈물버섯속갓의 .. 2025. 10. 25. 굽은꽃애기버섯(오렌지밀버섯) Gymnopus dryophilus 버터철쭉버섯과 혼동하기 쉬운 버섯이다. 성숙한 버터철쭉버섯은 자루나 갓이 적갈색인 편이고 주름살이 살짝 톱니가 있는 듯 고르지 않으며 자루 밑부분이 통통한 곤봉형인 데 비하여 굽은꽃애기버섯은 자루나 갓이 오렌지 황색을 띠고 주름살이 가지런하며 자루는 비교적 가늘고 길며 밑부분이 살짝 굵어진다. 단일종이 아닌 여러 종의 복합체로 알려지고 있다. 봄~가을 숲속 부식질 위나 낙엽 위에 무리지어 발생하며 가끔 균륜을 형성한다. 잔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5. 10. 08. 서울 2025. 09. 29. 서울 ● 굽은꽃애기버섯 Gymnopus dryophilus | Penny Top ↘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 갓은 2~7cm의 소형으로 반구형에서 후에.. 2025. 10. 24. 대줄무늬꽃애기버섯 Collybiopsis polygramma 갓 지름 2~5cm이고 깊은 반구형으로 편평하게 펴지지는 않으며 표면은 갈색-황갈색으로 방사상의 홈선이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털낙하산버섯(밀꽃애기버섯)과 같이 낙엽버섯과로부터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낙하산버섯속)으로 재배치되었다.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줄기, 가지, 그루터기 위에 무리지어 자란다. 식독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5. 10. 08. 서울 2025. 09. 29. 서울 ● 대줄무늬꽃애기버섯 Gymnopus polygrammus ↘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 갓 크기 2-5cm 정도로 어릴 때는 가운데가 볼록한 반원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는데 가운데가 볼록해서 완전히 퍼지기는 어렵다. 갓 표면은 습하거나 어릴 때 적갈색에서 황.. 2025. 10. 24. '장밋빛 낙하산', 앵두낙엽버섯 Marasmius pulcherripes '종이꽃낙엽버섯' 또는 '예쁜낙엽버섯'이라고 부른다. 영명은 '장밋빛 낙하산'이라는 뜻의 'Rosy parachute'. 성긴 주름살을 가진 갓은 지름 6~7mm로 아주 작고 자루는 철사처럼 검고 가늘다. 비슷한 애기낙엽버섯(M. siccus)은 주황색에 더 가깝다. 분홍빛이 도는 갈색이나 갈색을 띤 주황색인 종은 애기낙엽버섯과 유사하나 애기낙엽버섯 갓의 꼭지점에는 갈색의 돌기가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숲에서 흔히 자라지만 활엽수 아래에서도 발견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와 북미에 분포하고 있다. 2025. 10. 08. 서울 ● 앵두낙엽버섯 Marasmius pulcherripes | Rosy parachute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낙엽버섯속 균모의 지.. 2025. 10. 24. 털낙하산버섯 Collybiopsis vellerea <= 밀꽃애기버섯(Collybiopsis confluens) 갓 표면은 주황색-회주황색으로 비교적 매끄럽고 가장자리는 색깔이 옅으며 주름살은 촘촘하고 자루는 윗부분은 각과 비슷한 색이나 밑부분은 어둡다. 그 동안 밀꽃애기버섯으로 불려왔던 종으로 최근 연구에 의해 솔밭버섯과 낙하산버섯속의 털낙하산버섯으로 정리되었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땅에 흩어져 있거나 무리지어 난다. 2025. 10. 08. 서울 ● 털낙하산버섯 Collybiopsis vellerea ↘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낙하산버섯속 갓 지름 18~45mm, 반구형이며 성숙하면 가장자리가 위로 올려진다. 표면은 매끄럽고 흐릿하며 습기가 많고, 중앙은 주황색-회주황색이며 가장자리는 점차 옅어진다. 주름살은 촘촘하며 흰색이다. 자루는 15–55 × 3‒5 mm, 원통형이며 잔털.. 2025. 10. 23. 붉은테산그물버섯(칠갑산그물버섯) Xerocomus parvulus 산그물버섯속의 소형 버섯으로 갓은 황토색을 띤 올리브색에서 점차 갓 가장자리가 분홍색을 띤 연한 갈색으로 변하며 테 모양을 띠게 된다. 황색의 관공은 다각형으로 크고 엉성하며 상처에도 청변하지 않는다.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5. 10. 08. 서울 ● 붉은테산그물버섯(칠갑산그물버섯) Xerocomus parvul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산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1.5~5cm에 둥근 산 모양이다가 이후 거의 편평해진다. 표면은 건조하고 비로드상-거의 밋밋하며, 처음에는 황토색을 띤 올리브색이다가 후에 가장자리가 점차 분홍색을 띤담갈색이 되어 테 모양이 보인다. 오래된 균모는 붉은색을 잃어버리고 탁한 갈색.. 2025. 10. 23. 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어린 버섯의 갓과 자루는 맑고 반투명하며 보라색 색감이 아름답다. 애주름버섯속의 작은 버섯으로 갓 표면은 평활하고 흡습성으로 성숙해지면서 분홍색, 홍자색, 연보라색, 연자갈색 등 색 변화가 크다. 갓 가장자리는 연하며, 습할 때는 방사상으로 줄무늬가 나타난다. 영어 이름은 라일락 색감을 반영한 'lilac bonnet'(라일락보닛)이다. 종명 'pura'란 '맑은, 순수한'이라는 뜻으로 이 버섯의 맑은 색감을 반영한 이름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봄~가을에 숲속 낙엽 사이에 뭉쳐난다. 식용하기도 하나 작아서 가치가 적다. 2025. 10. 08. 서울 ● 맑은애주름버섯 Mycena pura | lilac mycena, lilac bonnet ↘ 주름버섯목 애주.. 2025. 10. 22. 할미송이 Tricholoma saponaceum 갓도 자루도 올리브 색조가 있는 노란색이다. 쪼개무당버섯(Russula ochroleuca)이나 맑은노랑무당버섯(Russula claroflava) 등 무당버섯속이려니 했는데 할미송이란다. 처음 만나는 종이라 사진 이미지로 익혔던 것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다. 침, 활엽수림 및 혼합림 내 땅 위 무리지어 나거나 흩어져 난다. 유럽, 북미, 러시아, 일본 등에 분포한다. 독버섯이다. 2025. 10. 08. 서울 ● 할미송이 Tricholoma saponaceum | soap-scented toadstool, soapy tricholoma, soapy trich, soapy knight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송이버섯속 갓은 반구형에서 중앙볼록편평형으로 전개된다. 조직은 백색이며 두텁.. 2025. 10. 22. 털개암버섯 Flammulaster erinaceellus 어린 개체는 갈색 비늘털이 고슴도치처럼 나 있는데 비교적 성숙한 개체는 갓 주변부에 비늘털이 사라진 모습이다. 버섯갓 지름 1~4㎝로 비교적 소형 버섯으로 갓 표면은 갈색에 가깝고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이것이 떨어지면 연한 노란색의 표피가 드러난다.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고목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홀로 발생한다. 일번,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2025. 10. 08. 서울 ● 털개암버섯 Flammulaster erinaceellus | powder-scale pholiota ↘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털개암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1~4cm로 처음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 또는 원추상 모양이었다가 거의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처음 녹슨 갈색, 짙은 오렌지 갈색 또는 황토갈색 .. 2025. 10. 22. 흰맥주름버섯(흰크림애주름버섯) Phloeomana alba(Mycena alba) 비가 내린 뒤 아름드리 참나무 밑동 수피에서 발생한 갓 지름 6-7mm의 극소형 버섯으로 방사상 주름이 뚜렷하고 주름살은 약간 내림형이다. 흰맥주름버섯(흰크림애주름버섯)으로 보이는데, 유럽과 북미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버섯으로 gbif에는 동아시아 발생 기록이 없다. 조덕현이 '흰맥주름버섯'이라는 국명으로 기록하고 있고 '흰크림애주름버섯'으로 불리고 있기도 하다. 봄~가을, 이끼류로 덮여 있는 나무껍질에 난다. 너무 작아서 식용 가치는 없다. 2025. 10. 08. 서울 ● 흰맥주름버섯(흰크림애주름버섯) Phloeomana alba(Mycena alba) ↘ 주름버섯목 구멍젖꼭지버섯과 맥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0.3~1.3cm로 어릴 때는 반구형이었다가 후에 둥근 산 모양-평평한.. 2025. 10. 22.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국화과 멸가치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두상꽃차례는 5개의 꽃잎이 있는 흰 꽃들로 구성되는데 중앙에 수꽃이 있고 주변에 있는 암꽃이 있다. 곤봉 모양의 열매는 끈적끈적한 샘으로 덮여 있어 동물의 털과 사람의 옷에 붙어 멀리 씨앗을 퍼뜨린다. 우리나라 전역 숲속 그늘지고 습한 땅에 자란다. 중국, 일본, 히말라야(인도 북부-네팔), 러시아 우수리에 널리 분포한다. 2025. 10. 05. 강촌 ●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 Asian trailplant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멸가치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50~100㎝이고 줄기는 보통 한 대씩 나와 곧게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대가 있는 선이 있고 샘털이 밀생한다. 근경이 포복하며 마디에.. 2025. 10. 21. 벌완두 Vicia amurensis, 꽃과 열매 턱잎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고 작은잎의 측맥이 예각으로 갈라지는 갈퀴나물에 비해 작은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은 둔각으로 갈라진다. 중부 이북 산지의 양지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 중북부-동북부, 몽골,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한다. 2025. 10. 04. 춘천 ● 벌완두 Vicia amurensis | Amur vetch ↘ 목련강 장미아강 콩목 콩과 나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길이는 1m 정도로 자란다. 근경은 옆으로 뻗음. 잎은 어긋나기하며 5~8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깃모양겹잎으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길이 15~33㎜, 나비2~6㎜로서 타원형 또는 긴타원 모양이고 탁엽은 톱니가 있거나 2개로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피고 남자색이며 .. 2025. 10. 21. 큰실베짱이 Elimaea fallax 메뚜기목 여치과 곤충으로 실베짱이류 중 가장 큰 종이다. 녹색-황록색의 몸은 길이 34~54mm이며 중앙에 1개의 황색 세로 줄이 있다. 더듬이는 흑갈색인데 중간에 황백색 무늬가 있다. 한국, 러시아 극동(연해주),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2025. 10. 04. 춘천 ● 큰실베짱이 Elimaea fallax ↘ 절지동물문 곤충강 메뚜기목 여치과 큰실베짱이속 몸길이는 50-55 ㎜이며 녹색-황록색이다. 앞가슴은 뒷쪽의 폭이 약간 넓고 작은 흑색 점이 있고 뒷가두리는 둥그렇다. 중앙에 1개의 황색 세로 줄이 있다. 앞날개에 세포 모양의 특징적인 시맥이 발달한다. 뒷날개는 앞날개보다 길다. 다리는 가늘고 길며 어두운 황색이고 배는 짧고 굵으며 산란관도 굵으며 옆으로 넓적하고 윗쪽으로.. 2025.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