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86

황소아교뿔버섯 Calocera cornea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기록되고 있는데 처음 만나는 버섯이다. 아교뿔버섯에 비해서 매우 작다. 자실체 길이 4~7m 정도의 극소형 버섯으로 세심히 살피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려울 듯하다. 끝이 뾰족한 긴 원주형이고 드물게 두 갈래로 분지되기도 한다. 단단한 젤라틴 질로 진한 황색-오렌지 황색이며 살은 흰색이다. 봄~가을 수피가 벗겨진 재목에서 비가 온 후나 습도가 높을 때 무리 지어 발생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황소아교뿔버섯 Calocera cornea | small stagshorn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아교뿔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1~1.5cm이고, 뿔 모양이며, 2~5개씩 다발로 나기도 하고, 분지하기도.. 2025. 11. 1.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임시명) Gymnopilus luteofolius 지난 주에서 발생한 자리에서 여러 개체가 발생하는데 갓 표면의 질감이 사뭇 달라서 다른 종처럼 보인다. 매끄러운 광택이 느껴지고 붉은빛이 사라졌고 인편도 작고 희미하다. 오로지 금빛 주름살은 비슷한데 더 촘촘한 듯하다. 한때 녹색미치광이버섯(G. aeruginosus)으로 오동정되었던 버섯이다. 죽은 활엽수와 침엽수에 빽빽하게 모여 자란다. 북미-남미, 유럽-러시아, 일본, 동남아시아, 호주, 남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식용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uteofolius | purple gym, yellow-gilled gymnopilus ↘ 그물버섯목 '막질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갓은 직경 2.. 2025. 11. 1.
붉은꼭지외대버섯 Entoloma quadratum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버섯이다. 원추형 갓 중심부에 작은 유두 모양 돌기가 있으며 갓 표면은 주홍색-살구색이고 주름살은 갓과 같은 색이며 끝붙은 형으로 성기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일본, 타이완, 북중미 등에 분포한다. 독버섯이다. 2025. 10. 14. 서울 ● 붉은꼭지외대버섯 Entoloma quadratum | salmon pinkgill ↘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갓의 지름은 1~4cm이고, 원추형~종형이며, 중심부에 작은 유두 모양 돌기가 있다. 갓의 표면은 주홍색 또는 짙은 살색이다. 주름살은 완전붙은형 또는 끝붙은형이고, 갓과 동색이며 약간 성글다. 자루는 크기가 5~10cm×1.5~3mm이고, 위아래 굵기가 같.. 2025. 10. 31.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갓 지름 0.5~3cm의 소형 버섯이다. 갓은 황색~오렌지색으로 둥근 산 모양에서 평평해지고 깔때기 모양으로 변하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다. 거짓주름살이 대에 내리붙으며 엽맥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활엽수의 외생균근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5. 10. 14-16. 서울 2025. 10. 15. 경기 구리 ●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 small chanterelle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균모는 지름 1.5~2cm,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한 모양이 되거나 때로는 불규칙한 모양에 가운데가 들어가기도 한다. 표면은 매끄러우며 황적색이다.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으나 후에 편평해진.. 2025. 10. 31.
애광대버섯 Amanita citrina 유황색의 노란 갓을 가진 광대버섯으로 'death cap'(죽음의 모자)라 불리는 알광대버섯((Amanita phalloides))과 비슷한 모습이어서 'false death cap'이라 불리는 광대버섯이다. 알광대버섯에 비해서는 작고 갓뿐만 아니라 턱받이도 노랗다. 북한 이름은 '작은닭알독버섯'이다. 여름~가을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혼효림, 신갈나무 숲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독버섯이다. 2025. 10. 14. 서울 ● 애광대버섯 Amanita citrina | false death cap, citron amani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균모의 지름은 4~7cm로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으며 연한 황록색, 연한.. 2025. 10. 30.
시루버섯(물렁시루버섯, 물렁개떡버섯) Climacocystis borealis 소나무 낙지 잘린 면에서 발생하였다. 흰 버섯의 표면에 솜털이 밀생하고 있고 아래쪽 자실층은 미세한 관공이 나 있다. 조직은 가죽질로 질기며 시간이 지나면 황갈색으로 변한다. 여름~가을 침엽수의 재목이나 그루터기, 가지 등에서 홀로 또는 층을 이루어 발생한다. 유럽, 러시아, 북중미 등에 분포한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5. 10. 14. 서울 자실층 관공 ● 시루버섯 Climacocystis borealis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시루버섯속 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주걱 모양이며 짧은 자루가 있기도 한다. 표면은 거친 털이 섬유상으로 밀생하고 방사상 요철 홈이 있다. 흰색에서 밀짚색으로 변한다. 조직은 섬유질-가죽질-연골질로 질기고 탄력성이 있으며 백색-크림색이다. .. 2025. 10. 30.
'악취오징어' 세발버섯 Pseudocolus fusiformis, 성균과 유균 흰 알 모양 유균 윗부분에서 세 갈래로 갈라진 오징어발 모양의 자실체가 솟아나와 꼭대기에서 접합되는 주황색 버섯이다. 발의 안쪽에 붙어 있는 끈끈한 홀씨덩어리에서는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영어 이름은 '악취 오징어'라는 뜻의 'stinky squid'. 여름~가을에 숲속의 땅, 정원, 길가 등 비옥한 곳에 하나씩 또는 흩어져 자란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조지아, 북미 동부, 호주 동부와 뉴질랜드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2025. 10. 14. 서울 ● 세발버섯 Pseudocolus fusiformis(Pseudocolus schellenbergiae) | stinky squid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세발버섯속자실체는 어릴 때 알 모양이고 지름 2~3cm. 밑동에는 뿌리 모.. 2025. 10. 30.
'프라이드 치킨',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만가닥버섯과 만가닥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회흑색-회색-회갈색으로 매끈하고 마르면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굽는다. 살은 가운데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으며 탄력이 있다. 여름~가을에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의 습한 땅에 홀로 또는 뭉쳐난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전 세계 온대~냉대지역에 분포한다. 맛 좋은 식용 버섯이다. 2025. 10. 14. 서울 ●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 fried chicken mushroom, clustered domecap ↘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만가닥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6~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은 약간 돌출하거나 드물게 오목한 것도 있다. 표면은 털이 .. 2025. 10. 29.
'마녀의 모자', 꽃버섯 Hygrocybe conica 귤빛 노란색 또는 귤빛 붉은색 갓이 꽃처럼 아름다운 버섯이지만 상처가 나거나 시간이 지나면 점차 검게 변하는 특성이 있다. 노화하면 자실체 전체가 검게 변하기 때문에 영국에서는 'blackening waxcap', 북미에서는 'witch's hat(마녀의 모자)'라 부른다. 여름~가을 풀밭이나 길가의 관목 아래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전 세계애 널리 분포한다. 식독은 불분명하지만 독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5. 10. 14. 서울 ● 꽃버섯 Hygrocybe conica | blackening waxcap, witch's hat, conical wax cap ↘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꽃버섯속갓은 원추형이며 점차 편평하게 펴지며, 1~4cm 정도로 자란다. 갓 표면.. 2025. 10. 29.
나팔꽃 Ipomoea nil 메꽃과 나팔꽃속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둥근잎나팔꽃(I. purpurea)에 비해 잎이 3갈래로 갈라져 있다. 미국나팔꽃(I. hederacea)에 비해 잎이 얕게 갈라지고 꽃이 크며 꽃받침에 거친 털이 없고 꽃받침 갈래 조각이 곧게 펴져 있다. 많은 품종이 있다. 멕시코와 중남미가 원산지이며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다 야생화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2025. 10. 12. 경남 합천 가회 ● 나팔꽃 Ipomoea nil | picotee morning glory, ivy morning glory ↘ 목련강 국화아강 가지목 메꽃과 나팔꽃속(고구마속) 덩굴성 한해살이풀 원줄기는 덩굴성으로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길이 3m정도 자라고 전체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 2025. 10. 29.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국화과 도깨비바늘속의 한해살이풀로 대롱꽃만 있고 설상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흰 설상화가 있는 변종이 흰도깨비바늘(var. minor)이다. 아메리카가 원산 귀화식물로 울산 장생포, 방어진과 경북 포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5. 10. 11-12. 경남 합천 가회 2025. 10. 23. 서울 ●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 hitch hikers, black-jack, beggarticks, cobblers pegs ↘ 국화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 한해살이풀 높이가 50~110㎝이다. 줄기는 가는털로 덮힌다. 잎은 마주나기나 상단으로 가면서 어긋나기 한다. 3~5소엽의 1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상피침형 예두, 잎몸은 세모(細毛.. 2025. 10. 29.
쑥부쟁이(Aster indicus), 개쑥부쟁이(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마당 끝 정원에 쑥부쟁이와 개쑥부쟁이(갯쑥부쟁이) 두 종의 쑥부쟁이가 동시에 꽃을 피웠다. 얼핏 같은 쑥부쟁이로 보일 수 있지만 살펴보면 사뭇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쑥부쟁이에 비해 쑥부쟁이는 꽃, 잎, 높이 등에서 전체적으로 작다. 이 두 종은 한, 중, 일, 라시아 연해주 등 동아시아에 공통적으로 분포한다. 2025. 10. 11. 경남 합천 가회 ● 쑥부쟁이 Aster indicus | field aster, Indian aster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100㎝ 정도이다. 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띠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며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 2025. 10. 29.
별넓적꽃등에 Eupeodes corollae 흰꽃나도사프란 꽃술에 별넓적꽃등에가 정지비행하고 있다. 몸길이는 개개 1cm 이하로 작고 머리 폭이 가슴보다 넓다. 몸은 검고 가슴등판은 청흑색인데 금속성 광택이 많고 옆구리는 황금빛 광택이 있다. 파리목 꽃등에과 꽃등에족의 곤충이다.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지방, 아프리카 남부와 북부에 널리 분포한다. 2025. 10. 11. 경남 합천 가회 ● 별넓적꽃등에 Eupeodes corollae | migrant hoverfly ↘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등에아목 꽃등에과 꽃등에족 큰거품벌레속 몸길이는 8~10 mm이다. 몸은 흑색이고, 머리는 가슴보다 폭이 넓다. 가슴등판은 청흑색인데, 금속성 광택이 많고 옆구리는 황금빛 광택이 있다. 날개는 폭이 넓고 무색이다. 다리는 황색 내지 황.. 2025. 10. 29.
흰꽃나도사프란 Zephyranthes candida 시골집 마당에 남미 원산의 수선화속 여러해살이풀 흰꽃나도사프란이 꽃을 피웠다. 분홍꽃이 피는 나도사프란(Zephyranthes carinata)에 비해 흰 꽃이 피며 잎이 녹색인 점이 다르다. 사프란(Crocus sativus)이 붓꽃과인 데 비해 나도사프란은 수선화과로 계통상 서로 다른 식물이다. 전 세계에 널리 퍼져 분포한다. 2025. 10. 11. 경남 합천 가회 ● 흰꽃나도사프란 Zephyranthes candida | autumn zephyrlily, white windflower, white rain lily, Peruvian swamp lily ↘ 백합목 수선화과 나도사프란속 여러해살이풀 파 같은 비늘줄기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잎은 가늘고 두꺼우며, 짙은 녹색으로 꽃.. 2025. 10. 29.
기와버섯 Russula virescens 초대형으로 큰 버섯이 길가 풀섶에 오직 홀로 발생하였다. 갓 표면에 다각형의 진한 풀빛 무늬가 방사상으로 흩어져 있는 모습이 아름다운 버섯이다. 어린 버섯은 크림갈색에 가깝고 자라며 점차 푸른 빛을 띤다. 흰 자루는 문지르니 갈색빛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비슷한 이름의 기와무당버섯(Russula crustosa)은 갓이 주로 황토갈색으로 다른 종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잡목림 내 땅 위에 몇몇 개체가 무리지어 자란다.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히말라야, 유럽, 북미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5. 10. 11. 경남 합천 가회 ● 기와버섯 Russula virescens | green-cracking russula, green brittlegill, quilte.. 2025.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