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86

흰턱수염버섯 Hydnum repandum var. album 턱수염버섯과 같으며 전체가 백색인 변종이다. 갓은 연한 육질로 비뚤어진 원형이고 물결치는 것 같은 부정형이며 표면은 매끄럽다. 자실층은 침 모양으로 부서지기 매우 쉽다. 여름~가을 침엽수, 활엽수림의 땅에 무리지어 난다. 북미 등 세계적으로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5. 10. 16. 서울 ● 흰턱수염버섯 Hydnum repandum var. album | sweet tooth, pig's trotter, ood hedgehog ↘ 꾀꼬리버섯목 턱수염버섯과 턱수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10cm로 전체가 백색이며 연한 육질이며, 비뚤어진 원형이고 물결치는 것 같은 부정형이다. 표면은 거의 매끄러우며, 아랫면의 침은 길이 1~5mm로 백색이며 내린주름살이며 부서지기 매우 쉽다.. 2025. 11. 4.
종이애기꽃버섯 Stereopsis burtiana 얼핏 구겨진 톱니겨우살이버섯을 떠올리게 하는 모양이다. 갓은 탄력있는 가죽질로 2cm가 안 될 정도로 작고 얕은 깔때기 모양이나 가장자리는 굴곡이 심하며, 담황갈색으로 중앙은 진한 색이며 광택이 있다. 자실층은 밋밋하고 방사상 주름이 있다.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에서 애기꽃버섯목 애기꽃버섯과로 분류학적 위치가 변경되었다.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 중국, 인도, 북미, 남미에 분포한다. 2025. 10. 16. 서울 ● 종이애기꽃버섯 Stereopsis burtiana ↘ 구멍장이버섯목 애기꽃버섯과 애기꽃버섯속균모는 얕은 깔때기 모양이고 0.5~2cm, 대체로 둥근 모양이며 얇은 막질이다. 표면은 담황-담갈색. 중앙은 진한 색이다. 광택이 있다. 방사상의 섬유상 무늬와 약간 불선명.. 2025. 11. 4.
콩두건버섯 Leotia lubrica 두건버섯과 두건버섯속의 아주 작은 버섯. 자실체는 젤리질로 매끄러우며 울퉁불퉁한 올리브 황색의 머리 부분과 오렌지 황색의 자루로 되어 있다. 드물게 머리 부분이 흑색에 가까운 개체가 있는데 크기가 더 작다. 종명 'lubrica'는 '윤활유처럼 미끄럽다'는 뜻의 라틴어다. 영명은 'jelly baby'. 늦봄~가을 습할 때 발생하며 숲속 모래땅 또는 식물 폐기물, 이끼류 속에서 무리지어 난다. 독성 물질이 있어 식용하지 않는다. 2025. 10. 16. 서울 ● 콩두건버섯 Leotia lubrica | jelly baby ↘ 두건버섯목 두건버섯과 두건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3~5cm이고 주먹처럼 감겨 있는 공 모양의 머리와 원주상의 자루로 구분되어 있으며 표면은 밋밋하다. 머.. 2025. 11. 4.
잣밤젖버섯 Lactarius exilis 갓 지름 6~15mm로 아주 작고, 거의 편평하며 가운데 부분에 작은 돌기가 있으며 그 주위 부분이 약간 들어간다. 표면은 다갈색을 띠고 가운데의 색이 더 진하며, 방사상의 주름이 있다. 가장자리는 습할 때 줄무늬 선이 나타난다. 조직은 연한 갈색이며 젖은 흰색이다. 주름살은 약간 성기며 내린주름살로 크림색을 띤다. 버섯대는 갓과 같은 색깔로 납작하며 속이 비었고 표면은 세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가을 참나무 등 활엽수림 지상에 발생한다. 2025. 10. 16. 서울 ● 잣밤젖버섯 Lactarius castanopsid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균모는 지름 0.7~1.7cm, 거의 편평하게 펴지고 약간 오목해지면서 중앙에 작은 돌기가 돌출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 2025. 11. 4.
대모산(25. 10. 16) 꽃접시버섯, 콩두건버섯, 종이꽃애기버섯, 흰턱수염버섯, 옷솔버섯, 너도송편버섯, 보라끈쩍버섯 2025. 10. 16. 서울 새주둥이버섯 꽃접시버섯 젖버섯속? 콩두건버섯 종이꽃애기버섯 볏싸리버섯 붉은알버섯 흰턱수염버섯 애기젖버섯 흰볏싸리버섯(장식볏싸리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다박싸리버섯? 옷솔버섯(기주 : 스트로브잣나무) 옷솔버섯 옆, 시루버섯 솔잎에서 발생한 마른가지선녀버섯? 갈색끈적젖버섯 네발이 난 세발버섯 담갈색무당버섯 밀짚색무당버섯? 꽃흰목이 홍릉낙엽버섯 흰테꽃구름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끈적버섯속 너도송편버섯 젖무덤광대버섯 무당버섯속 털귀신무당버섯 보라끈적버섯 담황색주름버섯 끈적버섯속 끈적버섯속 진황색난버섯 뽕모시풀 ☞ 2025. 11. 4.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선반처럼 잘 자란 갓은 깨지기 쉬운 조직이다. 갓 표면은 담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고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크림색이며 관공은 매우 작다. 노린재나무 등 주로 관목의 줄기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갓의 지름은 10cm 안팎으로 반원형 혹은 부채형이다. 갓 윗면은 짙은 갈색에서 녹슨 갈색을 띠며, 건조하면 크림색으로 변한다. 표면에는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때때로 뚜렷하지 않은 환문이 나타난다. 자실층은 흰색이나 크림색을 띠며, 구멍은 mm당 3-4개가 형성된다. 균사는 이균사형으로 클.. 2025. 11. 4.
귀느타리(노란귀느타리) Phyllotopsis nidulans 늦가을 고목 위에 노란색(마르면 황백색) 조개껍질형으로 중첩하여 자라는 버섯이다. 갓 가장자리는 아래로 강하게 말려 있고 표면은 거친 털로 덮혀 있다. 살은 부드럽고도 질기며 불쾌한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오렌지색이고 포자문은 담홍색이다. 느타리과인 느타리와 달리 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노란귀느타리'라고도 한다. 늦가을 활엽수 줄기나 가지에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러시아 중부, 북중미, 유럽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하지 않는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귀느타리 Phyllotopsis nidulans | mock oyster, orange oyster ↘ 주름버섯목 송이과 귀느타리속 갓은 너비가 2~8cm에 이르며 전후 폭은 2~5cm의 소형~중형으로 반원.. 2025. 11. 4.
이보텐광대버섯(사마귀독광대버섯) Amanita ibotengutake 마귀광대버섯으로 여겨져 왔던 버섯이다. 에서는 마귀광대버섯은 대의 기부가 부푼 것이 특징이며, 흰색의 막질 턱받이가 항상 존재하지만 이보텐광대버섯은 쉽게 소실되어 잘 관찰되지 않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혼합림 내의 땅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맹독 버섯이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이보텐광대버섯(사마귀독광대버섯) Amanita ibotengutake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은 너비 7~16cm로 반구형에서 편평해지며 가장자리가 융기하는 경우가 많다. 갈색-짙은 갈색, 황갈색을 띠며 중앙이 가장 어둡고 매끈하다. 갓 가장자리 줄무늬가 있으며 옅은 피라미드형 사마귀 또는 작은 반점의 인편이 있.. 2025. 11. 3.
자주색볏싸리버섯 Clavulina amethystinoides 볏싸리버섯속 버섯으로 주름볏싸리버섯(C. rugosa)이나 회색볏싸리버섯(C. cinerea)과 유사하면서도 색깔이나 형태가 조금 다르다. 자실체는 높이 3~8cm로 가늘고 길며 단일 개체로 나거나 위쪽 자루가 불규칙하게 분지되어 사슴뿔 모양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연한 회자색-황갈색, 오래되면 끝부분이 검은색을 띤다. 자루는 다소 납작하게 눌려 있다. 살은 흰색에 유연하고, 자루의 아래쪽은 다소 질기다. 가을 숲속의 땅 또는 이끼 사이에 난다. 중국, 일본, 북미에 분포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자주색볏싸리버섯 Clavulina amethystinoides ↘ 꾀꼬리버섯목 턱수염버섯과 볏싸리버섯속 갓은 높이 6~8cm이고, 갓과 자루가 구분이 없는 막대기형 또.. 2025. 11. 3.
개맥문동 Liriope spicata, 열매 맥문동에 비해 전초가 작으며 잎이 좁고 꽃은 보다 짧은 꽃차례에 연한 분홍으로 드문드문 달리며 열매는 작고 검게 익는다. 그리고 기는줄기가 발달한다. 중국 이름은 '山麦冬'(산맥동).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베트남, 호주 동부, 미국 남동부 등에 분포한다. 뿌리는 약용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개맥문동 Liriope spicata | creeping lily-turf, monkey grass ↘ 백합강 백합목 백합과 맥문동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고 수염뿌리는 가늘게 길며 매우 드물게 끝에 소덩이뿌리가 나오는데, 기는 가지를 뻗으며 번식한다. 잎은 근경에서 모여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30-40cm, 폭 4-7mm로서 7-11.. 2025. 11. 3.
동양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orientipurpurea 연노란색 바탕에 옅은 보라 홍색 무늬가 어울려 예쁘게 잘 익은 복숭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주름살은 거의 끝 붙은 주름살로 빽빽하며 담황백색이며 자루는 희고 연한 홍색 무늬가 있기도 하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잡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호주, 유럽,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상큼한 과일향이 나며 식용 가능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유럽종인 자주빛무당버섯과 유전자가 조금 다른 점이 밝혀지면서 동양자주빛무당버섯(Russula orientipurpurea)으로 새로이 명명되었다. 2025. 09. 15. 서울 2025. 10. 15. 경기 구리 ●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 velvet brittlegill ↘ 무당버섯목 무.. 2025. 11. 2.
게발톱버섯 Clathrus bicolumnatus, <비교> 세발버섯 이름 참 잘 지었다. 먹이를 움켜 쥐려는 게발처럼 생긴 말뚝버섯과의 버섯이다. 난형의 유균에서 게발 같은 2개의 팔이 자라나 끝부분에서 서로 결합하며, 접합부 안쪽 표면에 악취 나는 올리브 갈색 포자가 들어 있는 점액질이 자리잡고 있다. 세발버섯은 3~4개의 팔이 지실체 윗부분에서 만들어진다. 가을부터 겨울까지 대밭, 풀밭, 숲속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식용 여부는 불분명하다. 2025. 10. 15. 경기 구리 세발버섯 ● 게발톱버섯 Clathrus bicolumnatus | column stinkhorn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발톱버섯속 버섯 알의 지름은 1.5~2cm, 어린 버섯은 난형. 성숙한 자실체의 높이는 3~8cm, 집게 발처럼 2개.. 2025. 11. 2.
접시버섯 Scutellinia scutellata 자주 만나는 침접시버섯에 드문 듯하다. 노란색인 침접시버섯에 비해 붉은빛이 강하고 0.5~1㎝로 크기가 크다. 작은 자실체는 붉은 컵 모양으로 길고 검은 속눈썹 모양의 털이 있어서 '속눈썹 컵'이라는 뜻의 영명 'eyelash cup'으로 불린다. 표면은 주황색-빨간색이고 바깥쪽 표면은 옅은 갈색이며 살은 빨간색이다. 여름~가을 썩은 나무에 무리지어 나며 부생생활로 나무를 썩힌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접시버섯 Scutellinia scutellata | eyelash cup, scarlet elf cap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0.5~1㎝로 어릴 때 구형의 혹처럼 생겼다가 원추형을 거쳐 .. 2025. 11. 2.
병아리방동사니 Cyperus hakonensis 높이 2-10cm로 매우 작고 작은이삭이 꽃차례 자루 끝에 손바닥 모양으로 붙으며, 작은이삭은 맑은 녹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우산방동사니와 비슷하지만 꽃싸개잎이 꽃차례보다 길고 비늘조각이 넓은 난형이다. 논밭이나 습지 주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중부, 호주 등에 분포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병아리방동사니 Cyperus hakonensis | small flatsedge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모여나며 높이 5~25cm, 세모나다. 잎은 선형, 폭 2~3mm, 아래는 잎집으로 된다. 꽃싸개잎은 보통 1개이고 꽃차례보다 길며 폭 1~2mm, 위로 선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꽃.. 2025. 11. 2.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초롱꽃과 숫잔대속 여러해살이풀이다. 숫잔대에 비해 아주 작고 많은 가지를 내며 옆으로 기며,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흰(가끔 분홀빛을 띤) 꽃을 피운다. 중부 이남 개울가나 논둑 등 습한 땅에 자란다. 인도,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네팔 등에 분포한다. 2025. 10. 15. 경기 구리 ●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 Asian lobelia ↘ 목련강 국화아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숫잔대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연약하다.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10~20cm이다. 줄기 밑부분은 누워 자라며 곳곳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길이 1~2cm, 폭 2~4m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2025.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