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390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수락산 ●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누운털이 있고 뿌리는 통통하며 목질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높이는 20cm 정도이다. 잎은 대개 밑동에서 뭉쳐나며 잎자루는 길다. 줄기잎은 3출 또는 깃꼴이며 1∼2쌍이고 밑쪽의 잎은 작다. 작은잎은 달걀.. 2008. 7. 2. 국수나무의 변종, 나비국수나무(?) 수락산에서 만난 특이한 잎을 가진 국수나무! 잎밑이 깊게 패이다 못해서 세잎나기처럼 갈라진 작은잎에는 잎자루가 보이기까지 하는 등 잎모양이 예사롭지는 않다. 혹시 나비국수나무일까 싶어 표본과 비교해 보니 잎끝이 뾰족한 점이 다르다. 부근의 다른 국수나무는 잎끝이 둥글어 .. 2008. 7. 2. 앵두 열매 Prunus tomentosa ● 앵두나무 Prunus tomentosa | korean cherry /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는 3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나무 껍질이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빽빽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7cm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 2008. 6. 24.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산기슭이나 숲가장자, 볕이 드는 밭둑이나 덤불 주변 플밭에서 자라는 덩굴성 딸기이다. 줄기는 기어서 멍석처럼 펼쳐지고 전체에 샘털이 많지 않으며, 잎 뒷면은 희고 꽃은 연분홍색인 점으로 다른 딸기와 구분된다.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 Trailing Rapsberry / 장미목 장미과의 덩굴성 .. 2008. 6. 21.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약재로 재배하여 온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소교목이다. 그리 크지 않고 풍성한 수형에 5월에 피는 흰 꽃뿐만 아니라 꽃이 지고 난 자리에 주렁주렁 달리는 붉은 열매도 아름다워 정원이나 공원의 조경수로 심을 만하다. 남한산성 ●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 May tree, Chinese haw / 장미목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낙엽활엽 소교목 높이 6m. 줄기는 대부분 회색을 띠며 어린줄기에는 예리한 1~2cm 길이의 가시가 있다.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능상 달걀모양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 너비 4 ~ 7cm로서 5~9개의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열편은 흔히 주맥까지 갈라지고 양면의 주맥과 측맥.. 2008. 6. 19. 찔레꽃(연한 붉은색) Rosa multiflora 새하얀 꽃을 피우는 여느 찔레꽃과는 달리 연분홍의 꽃이 피었다. 가시가 있는 흔히 장미과의 이 관목을 국어사전에서는 '찔레' 또는 '찔레나무'라 하고, 찔레나무의 꽃을 '찔레꽃'이라 하는데, 우리 식물학자들은 식물명을 '찔레꽃'이라 올려 놓아 참으로 어색하다. ● 찔레꽃 Rosa multiflora.. 2008. 6. 16. 피라칸타 Pyracantha 서울대공원 ● 피라칸타 Pyracantha / 장미목 장미과 피라칸타속 식물의 총칭 유럽 남쪽에서 중국 서남부에 걸쳐 6종이 자란다. 한국에서는 중국 서남부산인 앙구스티폴리아(P. angustifolia)를 흔히 심으며 속명인 피라칸타로 통하고 있다. 근래에는 남유럽에서 아시아 서부 원산인 콕키네아(P. .. 2008. 6. 3.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국수나무는 등산로 주변에서 잔가지가 덤불을 이루고 있는 모습으로 흔히 만나게 되는 장미과의 관목이다. 국수나무 덤불은 온갖 산새들의 서식처일뿐 아니라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처로서 생태계의 순환을 이어주는 장소를 제공한다. 가지를 벗기면 국수같은 하얀 줄기가 나온다고 국.. 2008. 5. 30. 민눈양지꽃 Potentilla yokusaiana 천마산 ● 민눈양지꽃 Potentilla yokusaiana / 장미과 양지꽃속 높이는 10∼20cm이고, 기는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는다. 잎은 세 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지고,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짧다. 작은잎은 잎자루가 없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1.5∼4cm, 폭이 1.2.. 2008. 5. 29. 야광나무 Malus baccata 나무를 온통 뒤덮어 새하얗게 꽃이 피어나 봄날 밤을 환하게 비춘다고 야광나무라고 부른다. 사과나무에 가까운 친척이라 잎과 꽃이 사과나무를 닮았지만 열매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콩알만하다. 천마산 ● 야광나무 Malus baccata | Siberian crap-apple / 장미과의 소교목 수고 12m이고 수피는 회.. 2008. 5. 28. 나도양지꽃(Waldsteinia ternata) 나도양지꽃은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로 대관령 부근, 발왕산, 오대산, 설악산, 점봉산 등 중부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딸기아재비 또는 금강금매화라고도 불린다. 양지꽃이라는 이름임에도 너도양지꽃(Sibbaldia procumbens)과 함께 양지꽃속(Potentill.. 2008. 5. 25. 나도양지꽃(Waldsteinia ternata) 나도양지꽃은 깊은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 나도양지꽃 이야기 => http://blog.daum.net/kheenn/14724846 ↓ 곰배령 ● 나도양지꽃 Waldsteinia ternata 뿌리줄기는 가늘며 옆으로 길게 벋는다. 전체에 털이 많으며 높이가 10∼20cm이다. 잎은 뿌리.. 2008. 5. 25. 귀룽나무 Prunus padus 귀룽나무는 가지가 분산형으로 신장하고 수형은 원개형인 기본종으로, 서울귀룽나무는 가지가 아래로 늘어지고 꽃자루가 비교적 긴 귀룽나무의 변종이다. 벚나무 속 중에서는 총상꽃차례가 가장 긴 종으로 꽃차례 아래똑에는 잎이 달리는 점에서 꽃차례에 잎이 달리지 않는 개벚지나무와 구별된다. 인제 진동계곡 ● 귀룽나무 Prunus padus | European Bird Cherry / 장미과의 낙엽활엽교목 수고 15m정도. 어린 가지를 꺾으면 냄새 나고 수피는 흑갈색으로 세로로 벌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2cm, 폭 3-6㎝로서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갈색이며 맥액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 2008. 5. 24.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장미과 마가목속의 교목. 봄에 피는 흰 꽃과 가을에 달리는 팥알 같은 붉은 열매가 매우 아름답고, 빗살처럼 가지런하고 또렷한 10여 쌍의 잎맥이 특징적인 나무이다. 북한산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 장미목 장미과 마가목속 높이 15m. 일년생가지에 껍질눈이 뚜렷하고 나무껍질은 회갈.. 2008. 5. 19. 산복사나무(개복숭아나무) Prunus davidiana 과수용으로 재배하는 복숭아나무를 복사나무라 하고, 산골짜기 등 산지에 자생하는 것을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라 한다. 산복사나무는 산림청의 추천 국명이고 국어사전의 표준어는 개복숭아나무이다.(식물학자들의 언어 탈선은 한번쯤 진지한 점검이 필요할 듯!) 꽃의 형태나 모습은.. 2008. 5. 1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6 다음